매주 화요일 화제성 소식을 전해 드리는 `뉴스 투데이 풍경’입니다. 미국 내 탈북자들은 2014년 새해를 맞으면서 몸은 비록 이국땅에 있어도 마음만은 한결같이 떠나온 북한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장양희 기자가 새해를 맞는 탈북자들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주에 거주하는 탈북 남성 박명남 씨는 늙은 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고등학생 아들과 미국에서 산 지 10년이 넘었습니다.
미국 땅을 처음 밟았을 때는 꿈과 기대가 있고 포부도 컸지만, 지난 삶을 돌아보면 도망자였고 방랑자였다고 말합니다.
[녹취: 박명남] “계속 방랑자 생활을 하다 보니까, 진이 빠졌어요. 지쳤어요. 고향에 가야 방랑 생활이 끝나는 거죠. 어차피 남의 집에서 항상 마음이 허전하고 죄 지은 기분이죠…”
박 씨는 미 국방부 계약직으로 일하며 가족과 함께 남들이 보기엔 단란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지만 마음 한 구석은 늘 비어있는 채로 살아간다고 말합니다.
같은 주에 거주하는 50살 여성 최안나 씨도 고향에 대한 생각은 여느 탈북자와 다르지 않습니다.
미국 생활 5년째인 최 씨는 옷 만드는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지난 2013년 교통사고 보상금으로 받은 4천 달러로 꿈에 그리던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최 씨는 2014년엔 미국 시민권도 얻고 원하는 직업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해가 될 거라며 기대에 부풀어 있습니다.
[녹취: 최안나] “4천 불이 아까워서 끊을 수도 없고 지금 배운 걸로 취직은 못하고 그래서 공부하고 있어요. 내 년 한 해면 얼마든지 끝낼 수 있어요. 조금만 더 하면 취직이 돼요. 제 능력으로는 취직할 수 있다고 선생님이 그러는데 저로서는 모르는 게 많다고 생각해요. 당당하게 누구보다 잘하는 전문가가 되고 싶어요.”
최 씨는 새해에 소망을 갖고 계획을 세우는 이유에 대해 `미국에서 받은 도움에 대한 보답이자 고향에 대한 소명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녹취: 최안나] “ 북한에 대한 선교의 마음을 가지고 있고 사명을 갖고 있어요. 지금 버는 돈 가지고 얼마든지 먹고 살 수 있어요. 하지만 보답은 할 수 없어요. 나를 위해서 공부하는 목적이 아니기 떄문에 하나님께서 도와 주시시라 믿습니다.”
2013년 한 해 미국에서 북한인권 관련 활동을 해 온 서울의 민간단체인 `NK지식인연대’ 대표 현인애 이화여대 교수는 북한 사람이니까 북한에 소망을 두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내년 새해 소망 역시 여느 해와 다르지 않다고 설명합니다.
[녹취:현인애] “ 2013년은 하늘도 보고 땅도 보고 산 좋은 해였구요. 탈북자들의 소원이 따로 없죠. 북한이 잘 됐으면 하는 거죠. 북한이 올해 생각했던 것 보다 어려웠거든요. 새해에는 잘 먹고 조금이라도 여유로워지기를 하는 바램입니다.”
곧 한국으로 돌아가는 현 교수는 올해로 10년째 탈북자로 살아가고 있는데요, “행복이라는 게 어떤 건지 몰라도 늘 행복하게 살고 있다”며, 새해에는 학지로서 더 열심히 북한 연구에 몰두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주탈북자선교단체를 운영하고 있는 마영애 씨는 탈북자로서 첫 번째 임무는 북한인권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새해에는 김정은 정권의 붕괴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마 씨는 개인적으로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자들을 돌보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며, 최근 미국에 모시고 온 한 탈북 노인의 진갑 잔치를 1월에 열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마영애] “ 저를 딸이라고 하는데 어르신의 진갑상을 차리는 시간을 가질 거예요. 탈북인들이 많이 모이게 됩니다. 어르신의 눈에 눈물이 고이지 않게끔 할 거고..”
북한을 떠나온 세월과는 상관없이 개인이 처한 상황에서 고향을 잊어 본 적이 없는 탈북자들.
또 다른 해를 맞아도 고향에 대한 마음은 전과 다름이 없는데요, 이런 마음은 새해의 소망이자 삶의 소망이기도 합니다. 박명남 씨와 최안나 씨는 북에 두고 온 가족에게 새해 인사를 전했습니다.
[녹취: 박명남, 최안나] “제가 막내니까 큰 형은 65세쯤 됐겠죠. 아프지 말고 굶지 말고, 좋은 세상을 보기 위해서라도 오래 살아달라는 거죠. 북한 땅에 무슨 일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인간 이하의 삶을 살고 있으니까./ 꼭 이산가족 없이 만나는 날이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가족들이 떨어져 있어도 헛되이 살지 않고 있다는 거.. 그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VOA 뉴스 장양희 입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주에 거주하는 탈북 남성 박명남 씨는 늙은 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고등학생 아들과 미국에서 산 지 10년이 넘었습니다.
미국 땅을 처음 밟았을 때는 꿈과 기대가 있고 포부도 컸지만, 지난 삶을 돌아보면 도망자였고 방랑자였다고 말합니다.
[녹취: 박명남] “계속 방랑자 생활을 하다 보니까, 진이 빠졌어요. 지쳤어요. 고향에 가야 방랑 생활이 끝나는 거죠. 어차피 남의 집에서 항상 마음이 허전하고 죄 지은 기분이죠…”
박 씨는 미 국방부 계약직으로 일하며 가족과 함께 남들이 보기엔 단란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지만 마음 한 구석은 늘 비어있는 채로 살아간다고 말합니다.
같은 주에 거주하는 50살 여성 최안나 씨도 고향에 대한 생각은 여느 탈북자와 다르지 않습니다.
미국 생활 5년째인 최 씨는 옷 만드는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지난 2013년 교통사고 보상금으로 받은 4천 달러로 꿈에 그리던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최 씨는 2014년엔 미국 시민권도 얻고 원하는 직업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해가 될 거라며 기대에 부풀어 있습니다.
[녹취: 최안나] “4천 불이 아까워서 끊을 수도 없고 지금 배운 걸로 취직은 못하고 그래서 공부하고 있어요. 내 년 한 해면 얼마든지 끝낼 수 있어요. 조금만 더 하면 취직이 돼요. 제 능력으로는 취직할 수 있다고 선생님이 그러는데 저로서는 모르는 게 많다고 생각해요. 당당하게 누구보다 잘하는 전문가가 되고 싶어요.”
최 씨는 새해에 소망을 갖고 계획을 세우는 이유에 대해 `미국에서 받은 도움에 대한 보답이자 고향에 대한 소명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녹취: 최안나] “ 북한에 대한 선교의 마음을 가지고 있고 사명을 갖고 있어요. 지금 버는 돈 가지고 얼마든지 먹고 살 수 있어요. 하지만 보답은 할 수 없어요. 나를 위해서 공부하는 목적이 아니기 떄문에 하나님께서 도와 주시시라 믿습니다.”
2013년 한 해 미국에서 북한인권 관련 활동을 해 온 서울의 민간단체인 `NK지식인연대’ 대표 현인애 이화여대 교수는 북한 사람이니까 북한에 소망을 두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내년 새해 소망 역시 여느 해와 다르지 않다고 설명합니다.
[녹취:현인애] “ 2013년은 하늘도 보고 땅도 보고 산 좋은 해였구요. 탈북자들의 소원이 따로 없죠. 북한이 잘 됐으면 하는 거죠. 북한이 올해 생각했던 것 보다 어려웠거든요. 새해에는 잘 먹고 조금이라도 여유로워지기를 하는 바램입니다.”
곧 한국으로 돌아가는 현 교수는 올해로 10년째 탈북자로 살아가고 있는데요, “행복이라는 게 어떤 건지 몰라도 늘 행복하게 살고 있다”며, 새해에는 학지로서 더 열심히 북한 연구에 몰두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주탈북자선교단체를 운영하고 있는 마영애 씨는 탈북자로서 첫 번째 임무는 북한인권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새해에는 김정은 정권의 붕괴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마 씨는 개인적으로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자들을 돌보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며, 최근 미국에 모시고 온 한 탈북 노인의 진갑 잔치를 1월에 열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마영애] “ 저를 딸이라고 하는데 어르신의 진갑상을 차리는 시간을 가질 거예요. 탈북인들이 많이 모이게 됩니다. 어르신의 눈에 눈물이 고이지 않게끔 할 거고..”
북한을 떠나온 세월과는 상관없이 개인이 처한 상황에서 고향을 잊어 본 적이 없는 탈북자들.
또 다른 해를 맞아도 고향에 대한 마음은 전과 다름이 없는데요, 이런 마음은 새해의 소망이자 삶의 소망이기도 합니다. 박명남 씨와 최안나 씨는 북에 두고 온 가족에게 새해 인사를 전했습니다.
[녹취: 박명남, 최안나] “제가 막내니까 큰 형은 65세쯤 됐겠죠. 아프지 말고 굶지 말고, 좋은 세상을 보기 위해서라도 오래 살아달라는 거죠. 북한 땅에 무슨 일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인간 이하의 삶을 살고 있으니까./ 꼭 이산가족 없이 만나는 날이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가족들이 떨어져 있어도 헛되이 살지 않고 있다는 거.. 그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VOA 뉴스 장양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