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첫 합작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 가르치고 돌아온 미국인이 이 학교의 인터넷 현황과 수업환경 등 다양한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백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미국 서부 워싱턴 주립대학에서 컴퓨터 공학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윌 스코트 씨는 지난 가을 학기를 북한에서 보냈습니다.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 3개월 간 컴퓨터 운영체제와 데이터베이스 과목을 가르치면서 미국인으로는 이례적으로 북한 체제와 학제를 경험했습니다.
별 주저없이 평양과기대 교수 모집 공고에 응한 건 소외된 미지의 국가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You know I thought like it was the country that don’t understand…”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교류를 통해 더 나은 길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데도 기여할 여지가 있어 보였다는 겁니다.
스코트 씨는 평양과기대의 인터넷 환경이 상대적으로 자유롭지만, 제약이 없는 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We have internet. It’s available for the faculty and graduate students…”
교수진과 대학원생들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지만 학부생들은 그렇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또 대학원생들도 학교 컴퓨터 실습실에서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명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검색 기록이 남아 감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연구와 조사 목적 외에 인터넷 검색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이와 관련해 문제가 불거진 경우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전력 사정으로 1주일에 두 번, 2시간 가량 정전이 될 때마다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했던 기억 역시 남아 있습니다.
스코트 씨는 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상당히 뛰어나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I was really impressed by their English…”
학생들은 과기대에 입학해 추가로 영어 수업을 받게 되는데, 그 이후엔 전공과목을 따라가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겁니다.
학생들과는 과학기술과 관련 기업들, 스포츠 등에 관한 대화를 많이 나눴으며, 정치나 식량 문제 등은 주제로 올리지 않았습니다.
마침 장성택 처형 소식이 보도됐지만, 이 문제를 거론하거나 동요하는 학생들은 없었다고 떠올렸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You know it was in the newspaper…”
스코트 씨는 북한 당국으로부터 언행을 조심하라는 주의를 받지 않았지만, 동료 교수들이 수업 중 관련 주제 외에 다른 얘기는 삼갈 것을 조언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일상적인 대화를 나눌 때도 학생들이 주제를 선택하도록 유도했다고 밝혔습니다.
대부분 특권층 자녀들이어서인지 북한사회에 대한 특별한 불만은 없어 보였습니다.
또 학생들이 삼성 등 한국 기업들에 대해선 비교적 잘 알면서도,
미국이 한국을 종속시켜 통일을 가로막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They know about South Korean companies…”
스코트 씨는 지난 가을 학기 60명 정도의 외국인 교수들이 평양과기대에 상주하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대부분은 한국계 미국인이고, 자신처럼 백인 미국인이 20명에서 30명, 나머지는 영국, 스페인, 캐나다, 호주 등 다양한 나라 출신이라는 설명입니다.
스코트 씨는 자신이 적성국 학생들을 가르친 걸 비난하는 사람도 있지만, 북한에서의 경험은 귀중한 기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The benefit of getting human interaction and cross cultural exchange…”
북한의 새로운 세대를 미국인과의 인적, 문화적 교류에 노출시키는 것이 그들을 ‘얼굴없는 적’으로 남겨두는 것보다 낫다는 겁니다.
스코트 씨는 북한 당국이 외국인 교수들의 체류비자 시한을 한 학기에서 1년으로 연장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며, 언젠가는 다시 평양으로 돌아가 학생들을 가르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
미국 서부 워싱턴 주립대학에서 컴퓨터 공학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윌 스코트 씨는 지난 가을 학기를 북한에서 보냈습니다.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 3개월 간 컴퓨터 운영체제와 데이터베이스 과목을 가르치면서 미국인으로는 이례적으로 북한 체제와 학제를 경험했습니다.
별 주저없이 평양과기대 교수 모집 공고에 응한 건 소외된 미지의 국가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You know I thought like it was the country that don’t understand…”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교류를 통해 더 나은 길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데도 기여할 여지가 있어 보였다는 겁니다.
스코트 씨는 평양과기대의 인터넷 환경이 상대적으로 자유롭지만, 제약이 없는 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We have internet. It’s available for the faculty and graduate students…”
교수진과 대학원생들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지만 학부생들은 그렇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또 대학원생들도 학교 컴퓨터 실습실에서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명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검색 기록이 남아 감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연구와 조사 목적 외에 인터넷 검색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이와 관련해 문제가 불거진 경우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전력 사정으로 1주일에 두 번, 2시간 가량 정전이 될 때마다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했던 기억 역시 남아 있습니다.
스코트 씨는 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상당히 뛰어나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I was really impressed by their English…”
학생들은 과기대에 입학해 추가로 영어 수업을 받게 되는데, 그 이후엔 전공과목을 따라가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겁니다.
학생들과는 과학기술과 관련 기업들, 스포츠 등에 관한 대화를 많이 나눴으며, 정치나 식량 문제 등은 주제로 올리지 않았습니다.
마침 장성택 처형 소식이 보도됐지만, 이 문제를 거론하거나 동요하는 학생들은 없었다고 떠올렸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You know it was in the newspaper…”
스코트 씨는 북한 당국으로부터 언행을 조심하라는 주의를 받지 않았지만, 동료 교수들이 수업 중 관련 주제 외에 다른 얘기는 삼갈 것을 조언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일상적인 대화를 나눌 때도 학생들이 주제를 선택하도록 유도했다고 밝혔습니다.
대부분 특권층 자녀들이어서인지 북한사회에 대한 특별한 불만은 없어 보였습니다.
또 학생들이 삼성 등 한국 기업들에 대해선 비교적 잘 알면서도,
미국이 한국을 종속시켜 통일을 가로막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They know about South Korean companies…”
스코트 씨는 지난 가을 학기 60명 정도의 외국인 교수들이 평양과기대에 상주하고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대부분은 한국계 미국인이고, 자신처럼 백인 미국인이 20명에서 30명, 나머지는 영국, 스페인, 캐나다, 호주 등 다양한 나라 출신이라는 설명입니다.
스코트 씨는 자신이 적성국 학생들을 가르친 걸 비난하는 사람도 있지만, 북한에서의 경험은 귀중한 기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윌 스코트 씨] “The benefit of getting human interaction and cross cultural exchange…”
북한의 새로운 세대를 미국인과의 인적, 문화적 교류에 노출시키는 것이 그들을 ‘얼굴없는 적’으로 남겨두는 것보다 낫다는 겁니다.
스코트 씨는 북한 당국이 외국인 교수들의 체류비자 시한을 한 학기에서 1년으로 연장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며, 언젠가는 다시 평양으로 돌아가 학생들을 가르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