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서울] 음악으로 듣는 전쟁과 평화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7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전쟁과 평화 음악회가 열리고 있다.

6.25 한국전쟁의 달을 맞아 서울에서 평화를 기원하는 음악회가 열렸습니다. 한반도 통일과 북한, 탈북자와 관련한 한국 내 움직임을 살펴보는 ‘헬로 서울,’ 서울에서 김미영 기자입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헬로서울 오디오] 음악으로 듣는 전쟁과 평화


서울 광화문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 나와있습니다.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특별한 공연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공연은 전쟁의 아픔과 평화에 대한 의미를 새길 수 있는 음악으로 듣는 전쟁과 평화라는 공연이 열렸습니다.

[녹취: 공연 현장음]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이번 공연은 작곡가 정예경의 가족사를 토대로 작곡 및 편곡한 작품을 연주했습니다. 작곡가 정예경 씨는 6.25 전쟁에 참여했던 조부 정의석 중사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함께 선보이고 있습니다.

[녹취: 염경화 학예연구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교류홍보과 학예연구관 염경화입니다. 저희 박물관 특성에 맞는 근.현대사 문화공연을 하는데 되도록이면 시의적절한 주제를 잡아요.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잖아요. 호국보훈의 달에 맞는 공연을 마련했고 다행히도 이번 주 일요일까지 국군 유해발굴단 특별전이 개최되고 있어요. 오늘도 공연이 끝나면 전시 설명까지도 연계되는 저희 박물관에서만 들을 수 있는 특화된 근.현대사 문화공연입니다."

[녹취: 공연 현장음]

1950년 6월25일 북한 황해도 연백군, 갑자기 발발한 전쟁에 지역에서 촉망 받던 한 청년이 있었습니다.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홀로 월남해 자진입대를 한 이 청년은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며 전쟁터에서 죽기 살기로 싸웠습니다. 그러던 중 불침번을 서던 청년은 최전방 전투에서 이기는데 결정적인 공을 세우고 화랑무공훈장까지 받게 됩니다.

[녹취: 공연 실황/정예경] "그래서 그 백마고지를 탈환을 해서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 큰 공을 세웠는데요, 할아버지가 또 수류탄 파편에 맞아서 총상처럼 입어서 흉터도 있고, 무공훈장증입니다. 하사였는데 중사로 제대하셨죠."

휴전이 되자 남한에 홀로 남겨진 청년은 가족들과 영영 생이별을 하게 됐습니다. 오갈 데 없는 딱한 청년의 사정을 들은 한 사람이 이 청년을 집에 머물게 해 줬고, 머지 않아 이 청년은 그 집 딸과 사랑에 빠져 결혼하게 됐습니다.

[녹취: 공연 실황/정예경] "어떤 이름을 가진 사람이 불광동에 산다고 하더라, 그런데 할아버지가 엄마 이름이예요. 아 엄마가 월남을 했구나, 그래서 막 물어 물어서 불광동에 찾아갔는데 엄마가 아니예요. 동명이인이었던 거예요. 그래서 딱한 사정을 듣는데 그 분도 북에서 내려 오신 거예요 그래서 너 내 아들 하자 라고 지내시다."

[녹취: 공연 현장음]

세월이 흘러 청년은 노인이 됐고, 피땀 흘려 번 돈으로 4 살배기 손녀에게 피아노를 사줬습니다. 후에 손녀는 자라나 작곡가가 되어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이렇게 음악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한 군인의 인생 이야기이면서, 또 한반도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전쟁과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리고 이루어 낸 소중한 평화의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음악회를 지켜 본 관객들도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되고, 평화를 지켜야 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녹취: 관객] "생각도 하고 이래야죠 사람이 잊어버리면 안되죠 6.25 일어나서 아주 슬픈 일도 많았고 했는데 잊어버리지 말고 음악회 하며 생각도 해 보고 이런 일이 많아야죠."- 관객1

"그런 가족사 이야기도 들으면서 역사 이야기를 들으니까 잘 들리는 것 같고 또 음악도 같이 접하니까 새로운 경험인 것 같아요. 지난 역사를 알아야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고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역사적으로 많이 관련 있다고 느끼는 중이라서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배워 나가야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관객2

[녹취: 공연 현장음]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열린 음악으로 듣는 전쟁과 평화, 이 공연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진행됐습니다. 이번 공연을 마련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는 참전군인의 가족사를 이야기화 해서 새로운 형식의 클래식 공연으로 풀어냈다는 의미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녹취: 공연 현장음]

서울에서 VOA 뉴스 김미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