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대통령이 6년여간 공석이던 북한인권특사를 지명했습니다. 백악관은 국무부 민주주의 인권 노동국의 줄리 터너 동아태 담당을 지명하고, 북한 인권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뤄왔다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백악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의 줄리 터너 동아시아·태평양 담당을 대사급인 북한인권특사로 지명했다고 23일 밝혔습니다.
전임자인 로버트 킹 특사가 2017년 1월 퇴임한 이후 6년 만에 이뤄진 후임 인선입니다.
터너 지명자는 국무부 인턴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해 국무부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NSC에서 근무한 현직 여성 관리입니다.
백악관은 터너 지명자가 앞서 백악관 NSC의 동남아 국장을 역임했고,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국에 16년 이상 근무하면서 북한인권특사실 특별보좌관을 비롯해 북한의 인권 증진과 관련 있는 사안에 주로 집중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서부 페퍼다인대학을 나왔고 동부 메릴랜드대학 칼리지 파크 캠퍼스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프랑스어와 한국어를 구사한다고 백악관은 설명했습니다.
백악관은 터너 지명자에 대한 인준요청서를 이날 상원에 보냈습니다.
북한인권특사 재임 시절 터너 지명자와 함께 일한 경험이 있다고 밝힌 로버트 킹 전 북한인권특사는 터너 지명자가 북한 인권 사안에 대해 잘 아는 적임자로서 의회 인준 절차도 순조로울 것이라며 이번 인선을 환영했습니다.
로버트 킹 / 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별대사
“미국 정부가 인선을 발표해서 매우 기쁩니다. (북한인권특사 재임 시절) 저는 터너 지명자와 많은 프로젝트를 함께했습니다. 경험이 많고 북한 문제와 북한 인권 사안에 대해 잘 압니다. 그녀가 이 자리에 맞는 자격을 갖췄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2004년 발효된 '북한인권법'에 따라 신설된 북한인권특별대사는 미국 정부의 북한 인권정책 수립과 집행 전반에 관여하는 대사급 직책입니다.
이 자리에는 2005년 8월 선임된 제이 레프코위츠 초대 북한인권특사에 이어 로버트 킹 전 특사가 2009년부터 2017년 1월까지 7년여간 재임했습니다.
이후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약 6년간 공석이 이어졌고, 미국 정치권 인사들과 인권 단체들은 북한인권특사를 조속히 임명할 것을 촉구해왔습니다.
앞서 한국의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2022년 7월 여성 학자인 이신화 고려대 교수를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로 임명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