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뉴스] 북한군 ‘강제노동’ 혹사…‘자유권 규약 위배’ 알려야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북한 군인들이 심각한 강제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는 우려가 국제사회에서 커지고 있습니다. 유엔과 전문가들은 이런 실태가 북한이 비준한 자유권 규약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고 전직 북한 군인들은 이런 권리가 있다는 것을 북한군에게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북한 군인들이 심각한 강제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는 우려가 국제사회에서 커지고 있습니다. 유엔과 전문가들은 이런 실태가 북한이 비준한 자유권 규약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고 전직 북한 군인들은 이런 권리가 있다는 것을 북한군에게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제임스 히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은 지난 16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발표한 북한의 강제노동 실태 보고서와 관련해 제네바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히난 소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 군인들에 대한 강제노동의 심각성을 지적하면서 북한의 징집병들은 10년 이상 복무해야 하며, 농업이나 건설 분야에서 일하도록 강요를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임스 히난 /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
““(북한 군인들의) 노동은 힘들고, 위험하며, 지치게 합니다. 건강과 안전 조치가 거의 없고, 음식도 부족하며, 때로는 쉴 공간도 거의 마련되지 않습니다. 군 병원의 간호사는 ‘병사들 대부분이 영양실조 상태로 병원에 오고, 결핵에 걸립니다. 강제노동으로 체력이 약해지고 힘들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북한에서 13년간 특수부대에 복무한 뒤 탈북한 이웅길 씨는 18일 VOA에 영양실조와 결핵에 시달리는 병사들이 많았고 배고픔은 일상이었다면서 한국 입국 후 한국 강연을 갔던 군부대의 식단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이웅길 / 북한 폭풍군단 출신 탈북민
“(육군) 22사단에 처음 강의 갔을 때 아니 이렇게 밥을 주면 나는 평생 (군에) 복무하겠다. 일단 내가 밥을 원 없이 먹을 수 있잖아요. 이게 대단한 거죠. 여기서 일단 놀랐고. 이거면 끝난 거죠.”

유엔 보고서 발표 다음 날인 17일 한국 국방부는 북한군이 최근 비무장지대 DMZ 북한 측 지역에서 지뢰 매설과 불모지 조성, 방벽 설치를 무리해서 진행하다가 10여 차례 폭발 사고가 발생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북한군은 임시형 천막 등 열악한 숙소에서 생활하며, 휴일도 없이 병력을 교대하지 않고 하루 평균 12∼13시간씩 작업을 계속하며, 철야 작업은 물론이고, 일부 지역에선 여군도 동원된 게 확인됐다고 전했습니다.

유엔 인권기구는 보고서에서 북한 징집병은 주기적으로 건설과 농업 분야에서 무급 노동을 해야 하고, 건설 현장에서 사망하면 피해자 가족은 국가로부터 별다른 보상도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정하늘 / 북한군 복무 중 탈북
“안타깝죠. 그 친구들도 상명하복에 따라 최고사령관의 명령에 따라 자신의 목숨이 날아가더라도, 동료의 목숨이 날아가더라도, 거기서 지뢰 작업 등을 하고 있는데. 저는 선배로서 안타까운 거죠. 운이 안 좋았으면 제가 (희생이) 됐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저는 감사하게도 여기에 와 있죠.”

최정훈 대표 / 북한인민해방전선(북민전)
“북한 군인들이 10년 동안 강제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을 국제사회가 인지하고 있을 뿐이지. 북한 군에선 그렇게 생각 안 해요. 그러니까 북한 안에선 전혀 모르거든요. 자기네가 (겪는) 그 게 강제노동인지 자체를 인지를 못해요.”

최 대표 등 북한군 출신 탈북민들은 이 같은 국제 권리와 군인 복지의 중요성을 정보 유입을 통해 북한 군인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VOA는 지난 16일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에 유엔 보고서에 대한 논평을 요청했지만 18일 현재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