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투자하는 중국 민간 사업가들이 늘고 있다고 홍콩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많은 국제 투자자들이 불안정한 정치 상황 등 부정적 요인 때문에 대북 투자를 피하고 있지만 중국 투자자들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인데요, 이연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에서 사업상의 기회를 노리는 중국인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고,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신문이 18일 보도했습니다.
예측불가능한 북한의 정치 상황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잠재력에 매력을 느끼는 중국인 민간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신문은 그러면서, 올해에만 9 차례 북한을 방문한 중국인 사업가 하오쩌 씨를 예로 들었습니다.
한국전쟁에 참전한 할아버지 때문에 북한에 관심을 갖게 된 하오 씨는 지난 2004년 처음 북한을 방문했고, 2010년부터 북한에서 인삼과 꿀을 수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북한에서 자동차부품 제조와 식당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큰 돈을 번 하오 씨는 앞으로 북한 광산에 3천6백만 위안, 미화약 6백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하오 씨는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1980년대의 중국과 같아서 위험이 크지만 기회를 잡으면 이익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북-중 경제협력에 관한 글을 발표한 한국 수출입은행의 김중호 선임연구원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사업가들이 대북 투자를 선호하는 이유로 두 가지를 꼽았습니다.
[녹취: 김중호 한국수출입은행] “중국에서 임금이 상승하고 있고, 자원 수요가 증대하는 상황에서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필요하겠죠.”
신문에 따르면 2011년 말까지 중국 사업가들이 북한에 투자한 총 누계금액은 약 60억 달러로 추산됩니다.
또 2010년 현재 북한에 등록된 중국 기업은 138개로 집계됐고, 이 가운데 41%가 북한 광산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문은 중국의 많은 민간 투자자들이 당국에 등록하지 않고 북한과 사업을 하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투자회사는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대북 투자에 따른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해 중국의 시양그룹이 북한 광산에 투자했다가 북한 당국의 계약 파기로 5천5백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고 밝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같은 사건이 중국인 투자자들의 대북 투자 열의를 약화시키지는 못했으며, 하오 씨 같은 경우 여전히 북한의 값싼 노동력과 적은 운영비용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2007년 3백 명의 중국인 사업가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서 약 90%가 북한에서 이익을 내고 있다고 답했다는 것입니다.
신문은 그러면서, 갈수록 늘고 있는 중국의 대북 투자가 북한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2011년까지 적자였던 북한경제가 지난 2년 간 흑자로 돌아선 데는 중국인들의 투자가 큰 역할을 했다는 것입니다.
한편 서방 전문가들은 중국의 대북 투자 증가가 북한의 도발적 행위를 부추길 위험이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습니다.
더 많은 자본을 유치한 북한의 핵 야욕이 더욱 대담해질 수 있고, 경제적 변화를 모색할 필요를 덜 느끼게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반면 다른 분석가들은 외국인 투자로 인해 북한이 외부세계나 국제사회와 의미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가 조성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
북한에서 사업상의 기회를 노리는 중국인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고,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신문이 18일 보도했습니다.
예측불가능한 북한의 정치 상황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잠재력에 매력을 느끼는 중국인 민간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신문은 그러면서, 올해에만 9 차례 북한을 방문한 중국인 사업가 하오쩌 씨를 예로 들었습니다.
한국전쟁에 참전한 할아버지 때문에 북한에 관심을 갖게 된 하오 씨는 지난 2004년 처음 북한을 방문했고, 2010년부터 북한에서 인삼과 꿀을 수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북한에서 자동차부품 제조와 식당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큰 돈을 번 하오 씨는 앞으로 북한 광산에 3천6백만 위안, 미화약 6백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하오 씨는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1980년대의 중국과 같아서 위험이 크지만 기회를 잡으면 이익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북-중 경제협력에 관한 글을 발표한 한국 수출입은행의 김중호 선임연구원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사업가들이 대북 투자를 선호하는 이유로 두 가지를 꼽았습니다.
[녹취: 김중호 한국수출입은행] “중국에서 임금이 상승하고 있고, 자원 수요가 증대하는 상황에서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필요하겠죠.”
신문에 따르면 2011년 말까지 중국 사업가들이 북한에 투자한 총 누계금액은 약 60억 달러로 추산됩니다.
또 2010년 현재 북한에 등록된 중국 기업은 138개로 집계됐고, 이 가운데 41%가 북한 광산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문은 중국의 많은 민간 투자자들이 당국에 등록하지 않고 북한과 사업을 하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투자회사는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대북 투자에 따른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해 중국의 시양그룹이 북한 광산에 투자했다가 북한 당국의 계약 파기로 5천5백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고 밝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같은 사건이 중국인 투자자들의 대북 투자 열의를 약화시키지는 못했으며, 하오 씨 같은 경우 여전히 북한의 값싼 노동력과 적은 운영비용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2007년 3백 명의 중국인 사업가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서 약 90%가 북한에서 이익을 내고 있다고 답했다는 것입니다.
신문은 그러면서, 갈수록 늘고 있는 중국의 대북 투자가 북한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2011년까지 적자였던 북한경제가 지난 2년 간 흑자로 돌아선 데는 중국인들의 투자가 큰 역할을 했다는 것입니다.
한편 서방 전문가들은 중국의 대북 투자 증가가 북한의 도발적 행위를 부추길 위험이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습니다.
더 많은 자본을 유치한 북한의 핵 야욕이 더욱 대담해질 수 있고, 경제적 변화를 모색할 필요를 덜 느끼게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반면 다른 분석가들은 외국인 투자로 인해 북한이 외부세계나 국제사회와 의미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가 조성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