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아시아계 유권자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했습니다. ‘VOA 심층인터뷰’ 오늘은 마크 김 미 버지니아 주 하원의원을 모시고 아시아계 유권자들의 투표 성향에 대해 말씀 나누어 보겠습니다. 대담에는 이지원 기자입니다.
기자) 나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마크 김 의원) 안녕하세요.
기자) 이번 대통령 선거 과정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아시아계 유권자들의 참여가 이렇게 활발할 것을 예상하셨습니까?
마크 김 의원)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지난 11월 6일 선거뿐 아니라 약 10년간 미국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활동은 매년, 또 매 선거 때 마다 더욱 활발해졌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이번 대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일부 전문가들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관심사가 이제는 대외정책에서 의료시설이나 교육 등 국내정책으로 변했다고 말하는데요. 김 의원님도 같은 생각이십니까?
마크 김 의원) 이번 대선에서 가장 큰 쟁점은 경제와 일자리였습니다. 이 두 가지는 국내 쟁점일 뿐 만 아니라 국제적 쟁점이기도 하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대체적으로 그 같은 견해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한국계 미국인으로써 한인 공동체에 대해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아시아계 이민은 지난 60년대와 70년대에 늘어가니 시작해, 그 뒤로 두드러지게 인구가 팽창했습니다. 당시 이민자들에게는 고국에서 일어나는 일이 가장 큰 관심사였죠. 하지만 여기에서 태어나거나 자란 아시아계 미국인들, 그러니까 1.5세 이민자들에게는 교육과 의료, 일자리, 경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입니다. 대외정책은 이들이 매일 생각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입니다.
기자) 지난 선거와 비교해 볼 때,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이번 선거 때 어떻게 단합을 하게 됐는지 얘기해 주시죠.
마크 김 의원) 한국계 미국인들은 오랫동안 미국 정치에 참여 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대선이 최고의 수준이었다는 점은 말씀하신대로 맞습니다. 풀뿌리 단체와 전국적 연결조직이 늘어났고,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투표 참가자 수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저는 지난 1998년에 처음으로 대통령 선거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당시에는 민주당의 마이클 두카키스 후보나 공화당의 조지 H.W. 부시 후보의 선거 운동에 참여한 한인 숫자가 전국적으로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였습니다. 당시 선거 운동에 참가한 6-7개월 동안 한번도 한국계 봉사자와 만난 적이 없습니다. 24년이 지난 오늘, 제가 대변하는 버지니아 주나 또는 전국 어디에서라도 정치 행사에 참가하면 한인 봉사자들을 꼭 만나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한국계 미국인들의 정치 참여가 많이 발전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계 인구가 늘어나면서 미국 전체의 인구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늘어나는 인종입니다. 미국 전체 인구가 3억2천만인데 아시아계가 약 1천7백만에서 8백만에 달합니다. 그러니까 전체 인구의 6%에 육박한다는 뜻인데요. 그런데 아시아계 유권자 인구는 전체 유권자 수의3%밖에 되지 않아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봅니다.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해외에서 태어났고 또는 현재 너무 어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히스패닉계와 아시아계 미국인의 인구 증가로 미뤄볼 때 앞으로는 여기서 태어나거나 자란 이민자들이 미래 선거 결과를 좌우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매우 중요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자) 해가 갈수록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참여가 늘어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이 같은 추세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있어야 합니까?
마크 김 의원) 정치란 어떤 사람을 뽑는데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가장 쉽지요. 하지만 정치인은 누구든지 재직 중 보좌관들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정치인들 밑에서 일하면서 정부라는 기관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구나 의회나 정부기관에 로비를 하러 갈 때 의원이 자리에 없으면 보좌관들과 면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보좌관으로 일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죠.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풀뿌리 단체와 모금행사에 참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들의 의견이 선거 운동 기간 중 반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언론에 진출하는 것입니다.
기자)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정치에 입문하는 것이 미국의 대북 정책에 있어 얼마나 중요합니까?
마크 김 의원) 매우 중요합니다. 10년 전에 저는 한국계 미국인 공동체와 함께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한국계 미국인의 목소리”라는 단체를 설립한 바 있습니다. 이 단체의 설립 이유는 빌 페리 전 국방장관 등이 미국의 대북 정책의 기조를 세우는 문서를 작성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문서를 작성하는 이들은 워싱턴 D.C. 내 전문가들로 매우 유능한 사람들이었지만 불행하게도 그 과정에 한국계 미국인들의 의견은 고려되지 않았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그 같은 임시 단체를 세웠고요, 저희들의 견해를 첨가했습니다. 당연히 저희는 평화를 강조했습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한반도에 인명피해가 나거나 정치적인 목적으로 폭력사태가 일어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저희는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한반도에 평화가 찾아올 때 양국 경제에 도움이 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인권 유린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있어야 하고 이 같은 의견이 반영되길 촉구했습니다.
저 같이 생긴, 그러니까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견해가 대북 정책에 꼭 반영되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앞으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기자)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기자) 나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마크 김 의원) 안녕하세요.
기자) 이번 대통령 선거 과정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아시아계 유권자들의 참여가 이렇게 활발할 것을 예상하셨습니까?
마크 김 의원)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지난 11월 6일 선거뿐 아니라 약 10년간 미국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활동은 매년, 또 매 선거 때 마다 더욱 활발해졌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이번 대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일부 전문가들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관심사가 이제는 대외정책에서 의료시설이나 교육 등 국내정책으로 변했다고 말하는데요. 김 의원님도 같은 생각이십니까?
마크 김 의원) 이번 대선에서 가장 큰 쟁점은 경제와 일자리였습니다. 이 두 가지는 국내 쟁점일 뿐 만 아니라 국제적 쟁점이기도 하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대체적으로 그 같은 견해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한국계 미국인으로써 한인 공동체에 대해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아시아계 이민은 지난 60년대와 70년대에 늘어가니 시작해, 그 뒤로 두드러지게 인구가 팽창했습니다. 당시 이민자들에게는 고국에서 일어나는 일이 가장 큰 관심사였죠. 하지만 여기에서 태어나거나 자란 아시아계 미국인들, 그러니까 1.5세 이민자들에게는 교육과 의료, 일자리, 경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입니다. 대외정책은 이들이 매일 생각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입니다.
기자) 지난 선거와 비교해 볼 때,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이번 선거 때 어떻게 단합을 하게 됐는지 얘기해 주시죠.
마크 김 의원) 한국계 미국인들은 오랫동안 미국 정치에 참여 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대선이 최고의 수준이었다는 점은 말씀하신대로 맞습니다. 풀뿌리 단체와 전국적 연결조직이 늘어났고,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투표 참가자 수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저는 지난 1998년에 처음으로 대통령 선거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당시에는 민주당의 마이클 두카키스 후보나 공화당의 조지 H.W. 부시 후보의 선거 운동에 참여한 한인 숫자가 전국적으로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였습니다. 당시 선거 운동에 참가한 6-7개월 동안 한번도 한국계 봉사자와 만난 적이 없습니다. 24년이 지난 오늘, 제가 대변하는 버지니아 주나 또는 전국 어디에서라도 정치 행사에 참가하면 한인 봉사자들을 꼭 만나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한국계 미국인들의 정치 참여가 많이 발전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계 인구가 늘어나면서 미국 전체의 인구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늘어나는 인종입니다. 미국 전체 인구가 3억2천만인데 아시아계가 약 1천7백만에서 8백만에 달합니다. 그러니까 전체 인구의 6%에 육박한다는 뜻인데요. 그런데 아시아계 유권자 인구는 전체 유권자 수의3%밖에 되지 않아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봅니다.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해외에서 태어났고 또는 현재 너무 어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히스패닉계와 아시아계 미국인의 인구 증가로 미뤄볼 때 앞으로는 여기서 태어나거나 자란 이민자들이 미래 선거 결과를 좌우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매우 중요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자) 해가 갈수록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참여가 늘어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이 같은 추세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있어야 합니까?
마크 김 의원) 정치란 어떤 사람을 뽑는데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가장 쉽지요. 하지만 정치인은 누구든지 재직 중 보좌관들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정치인들 밑에서 일하면서 정부라는 기관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구나 의회나 정부기관에 로비를 하러 갈 때 의원이 자리에 없으면 보좌관들과 면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보좌관으로 일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죠.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풀뿌리 단체와 모금행사에 참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들의 의견이 선거 운동 기간 중 반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언론에 진출하는 것입니다.
기자)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정치에 입문하는 것이 미국의 대북 정책에 있어 얼마나 중요합니까?
마크 김 의원) 매우 중요합니다. 10년 전에 저는 한국계 미국인 공동체와 함께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한국계 미국인의 목소리”라는 단체를 설립한 바 있습니다. 이 단체의 설립 이유는 빌 페리 전 국방장관 등이 미국의 대북 정책의 기조를 세우는 문서를 작성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문서를 작성하는 이들은 워싱턴 D.C. 내 전문가들로 매우 유능한 사람들이었지만 불행하게도 그 과정에 한국계 미국인들의 의견은 고려되지 않았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그 같은 임시 단체를 세웠고요, 저희들의 견해를 첨가했습니다. 당연히 저희는 평화를 강조했습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한반도에 인명피해가 나거나 정치적인 목적으로 폭력사태가 일어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저희는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한반도에 평화가 찾아올 때 양국 경제에 도움이 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인권 유린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있어야 하고 이 같은 의견이 반영되길 촉구했습니다.
저 같이 생긴, 그러니까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견해가 대북 정책에 꼭 반영되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앞으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기자)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