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다음달 미·한·일 합참의장 회담 추진...북한 위협 대응 논의


지난해 3월 한국을 방문한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왼쪽)이 서울 용산구 합동참모본부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최윤희 한국 합참의장과 함께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해 3월 한국을 방문한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왼쪽)이 서울 용산구 합동참모본부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최윤희 한국 합참의장과 함께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자료사진)

미국과 한국, 일본 3국 합참의장 회담이 이르면 다음달 개최될 전망입니다. 북한의 전격적인 4차 핵실험에 따른 미-한-일 공조와 협력 복원의 연장선으로 평가됩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한-일 군 당국은 조지프 던포드 미국 합참의장과 이순진 한국 합참의장, 가와노 가쓰토시 일본 통합막료장이 참석하는 3국 합참의장 회담 개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3국 방위협력 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한국 국방부 나승용 공보담당관의 21일 정례브리핑 내용입니다.

[녹취: 나승용 한국 국방부 공보담당관]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개최 관련돼서 현재 합참 내에서도 논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시기나 방법 또 방식 이런 것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를 받았습니다.”

이에 앞서 일본의 한 언론은 미-한-일 3국이 합참의장 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21일 보도했습니다.

미-한-일 합참의장 회담은 지난 2014년 7월 미국 하와이에서 처음 열렸고 이번 회담이 성사된다면 2번째가 됩니다.

미-한-일 3국은 최근 북한의 제4차 핵실험 이후 공조-협력 체제 복원에 탄력을 받아 왔으며 3국 합참의장 회담 개최는 이의 연장선상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한-일 외교차관 협의회에서 3국은 북한 핵실험에 대한 새롭고 강력한 제재 결의에 합의함으로써 세 나라의 포괄적인 공조 복원에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임성남 한국 외교부 제1차관입니다.

[녹취: 임성남 한국 외교부 제1차관] “금번 북한 핵실험에 대해 보다 철저하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대응해 가야 한다는 점에 합의했습니다.”

특히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국과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서 역사적 합의를 했다면서 앞으로 더욱 강고한 관계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아시아 재균형’을 위한 전략적 핵심축인 한국과 일본이 그동안 일본 군 위안부와 역사 문제 등 과거사로 인한 갈등을 빚으면서 우려를 나타내 왔습니다.

그러다 지난해 연말 한국과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전격 합의하고 지난 6일 북한이 4차 핵실험을 단행하면서 미-한-일 공조 복원의 기회가 됐습니다.

한국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 김현욱 교수는 미국 오바마 정부가 현재 대외정책과 아시아정책에 적극적으로 힘을 실어주고 있는 만큼 미-한-일 공조가 꾸준히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미-한-일 3국 공조가 한-일 간 역사 문제 외에도 중국의 급부상으로 이완된 측면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으로 현재는 중국이 미-한-일 공조에 반대할 명분이 약해진 상황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중국 입장에서는 결국 이런 분위기를 미리 알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작년에 북-중 관계를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그 전에 중-러 관계를 상당히 복원했고 이런 게 다 미국의 한-미-일 공조를 바탕으로 한 미국의 공세적인 대중국 정책에 대해서 대비를 하려고 했던 것이거든요. 중국도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반대를 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 한-미-일이 북한 핵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공조를 강화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명분을 내세우기 쉽지 않은 상황이죠.”

김 교수는 아울러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과 존 케리 국무장관의 연이은 방중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그동안 양자 제재를 통해 북한 길들이기를 해온 만큼 국제사회가 원하는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한상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