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남북 관계를 남녀 간의 사랑으로 묘사한 연극 '두 코리아의 통일'


남북 관계를 남녀간의 사랑으로 묘사한 연극 '두 코리아의 통일' 중 '결혼' 에피소드의 한 장면.
남북 관계를 남녀간의 사랑으로 묘사한 연극 '두 코리아의 통일' 중 '결혼' 에피소드의 한 장면.

남한과 북한을 남녀로 상징화 해, 이들의 사랑을 소재로 다룬 연극이 서울에서 공연되고 있습니다. 극본을 쓴 프랑스 작가는 남과 북의 이산가족들이 상봉할 때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면서 ‘두 코리아의 통일’이란 연극 제목을 생각했다고 합니다. 서울에서 박은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남북 관계를 남녀 간의 사랑으로 묘사한 연극 '두 코리아의 통일'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6:16 0:00

[녹취: 현장음]

사랑과 이별, 돈 등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여러 가지 이야기를 소재로 한 단막극 17 편으로 이뤄진 연극 ‘두 코리아의 통일’은 서로 이질적인 남녀를 남과 북으로 상징화 해 표현합니다.

이 작품은 2009년 창단 이후 매년 동시대 불어권 희곡을 번역해 한국에 소개하는 극단 프랑코포니의 신작인데요, 결혼식 날 드러난 신랑과 세 자매의 비밀, 학부모의 뒤틀린 자식 사랑과 교사의 학생 사랑, 부부의 사랑과 동성 간 우정과 사랑 등 일상 속에 등장하는 여러 사랑의 형태가 무대 위에 펼쳐집니다. 임혜경 프랑코포니 대푭니다.

[녹취: 임혜경, 프랑코포니 대표] “조엘 폼므라의 2013년도 작품입니다. 그러니까 아주 최근작이죠. 작년에 2015년에 또 새로운 작품을 발표를 하셨지만, 저희로서는 2013년도의 아주 최근의 작품을 발빠르게 번역해서 새롭게 소개를 해 드리는 작품입니다. 이데올로기의 어떤 부분, 정치적인 어떤 그런 해석보다는 우리 인류 보편적인 주제인 사랑의 문제를, 인간과의 관계의 문제를 가지고 여기서 탐구를 하고 있는 아주 예리한 현대적인 작품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각각의 다른 이야기들이 결국은 하나의 주제인 사랑을 말하고 있는데요, ‘결혼’에서는 결혼식장으로 입장하려던 신랑이 신부의 자매들과 나눈 비밀스러운 애정 행각이 들통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녹취: 현장음]

또 ‘사랑’부분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 사랑이 그려지기도 합니다.

[녹취: 현장음]

이번 '두 코리아의 통일'은 한-불 수교 130주년을 맞이 해 진행 중인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식 인증사업으로 지정되기도 했는데요, 이 작품을 쓴 프랑스 작가 조엘 폼므라는 남과 북으로 흩어져 살고 있는 이산가족이 상봉할 때 눈물 흘리는 장면을 인상 깊게 보고 ‘두 코리아의 통일’이라는 제목을 생각해 냈습니다. 한국이 통일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을 사랑에 대입한 건데요, 까띠 라뺑 상임연출가는 어느 나라든, 사랑이 존재하는 만큼, 각 장면이 한국사회와 얼마든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까띠 라뺑, 연출가] “이 작가는 굉장히 보편적이고 국제적인 주제들을 많이 다루는데요, 이번에는 가장 보편적인 사랑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일인 다역으로 연기하기 때문에 배우들의 어려움이 많은데요,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은 만큼 배우들도 이번 작품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배우 성여진, 김시영 씹니다.

[녹취: 성여진, 배우] “번역극이, 모든 번역극이 다 우리나라 창작극처럼 대사들이 입에 착착 감기지는 않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작품 두 코리아의 통일은 각 에피소드마다 사랑이라는 걸 주제로 가지고 굉장히 독특하게 사랑의 아픔, 갈등, 위로 이런 것들을 잘 풀어내서, 대사를 소화하고 그러는 데 큰 어려움이나 그런 거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녹취: 김시영, 배우] “프랑스 작품을 ‘무대게임’을 통해서 접했는데, 상당히 매력적이었던 것 같기는 해요. 텍스트 안의 밀도와 깊이라든가 이런 거를 사실 무대에서 공연하면서 물론 더 좋은 작품들이 많지만 그런 걸 내가 갖고 가기가 쉽지가 않은데, ‘이 아이’ 할 때도 좋았고, ‘무대게임’도 좋았고. 사실 이번에 에피소드가 너무 많아서 배우들도 많고, 많아서 살짝 염려는 스러웠지만 워낙 까띠 라뺑 선생님이나 임혜경 선생님이나, 워낙 좋으신 분들이고, 배우진들, 스텝들 다 말 할 것도 없어요. 여기는 다 출연진이나 스텝들 모두 좋아서 즐겁게 작업을 한 것 같고요.”

[녹취: 현장음]

연극 ‘두 코리아의 통일’은 오는 4월 3일까지 서울 대학로 미마지 아트센터 눈빛극장에서 열립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박은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