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헬로서울] 한국 내 탈북자 이야기 연극으로 그려


한국에서 정착한 탈북자의 삶을 그려낸 연극 '목란 언니' 공연 장면.
한국에서 정착한 탈북자의 삶을 그려낸 연극 '목란 언니' 공연 장면.

한국에 거주하는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그린 연극이 관객들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한반도 통일과 북한, 탈북자와 관련한 한국 내 움직임을 살펴보는 ‘헬로 서울,’ 서울에서 김미영 기자입니다.

[헬로서울 오디오] 한국 내 탈북자 이야기 연극으로 그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6:14 0:00


한 해 수 천여 명의 탈북자가 한국으로 들어오는 상황에서 더 이상 탈북자는 낯선 자가 아닌 남한사회 새로운 구성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삶을 위해 목숨을 걸고 북한을 넘어 남한에 온 탈북자들의 이야기가 연극무대에 올려지고 있습니다.

[녹취: 공연 현장음]

연극 `목란 언니'는 북한을 탈북한 목란의 남한 생활과 가족을 그리워하는 마음, 또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제 3국을 떠돌게 되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녹취: 공연 현장음 계속]

평양예술학교에서 아코디언을 전공한 조목란이 뜻하지 않은 일에 휘말려 한국으로 오게 됐는데요, 브로커에게 속아 정착금과 임대아파트 보증금을 잃게 됩니다. 부모님께 보낼 돈 5천만원이 필요한데요, 술집을 운영하며 세 남매를 키운 조 대자는 우울증을 겪고 아들 태산의 간병인으로 목란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목란 언니 연출가 전인철 씹니다.

[녹취: 전인철 연출] "뜻하지 않은 사건에 연루되어서 탈북을 하게 되고 남한에 정착하게 된 조목란 이라는 인물, 북에서 남으로 온 조목란 이라는 탈북 여성의 눈을 통해서 2017년 대한민국에서 우리가 어떤 얼굴로 또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그린 작품입니다."

연극 목란 언니는 2012년 처음 무대에 올려졌습니다. 그때 2만 명이던 남한 내 탈북자는 현재 3만 명으로 늘었고, 초연 당시 탈북자 브로커 역의 극 중 이름이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바뀌었습니다. 내용면에서는 설명과 웃음을 과감하게 생략하고, 관객의 판단에 맡기고 있습니다.

[녹취: 전인철 연출] "달라진 점, 2012년이 초연이었는데 지금 한 5년의 시간이 지났는데 김정일이 죽고 김정은이 권력의 중심에 있게 된 거가 가장 큰 변화인 것 같고, 작품 내적으로 보면 전에는 아주 잘 만들어진 한편의 연극을 목표로 작업을 했었는데, 전에는 좀 연극적이었고 지금은 조금 더 현실적인 된 부분들이 차이가 될 것 같아요."

탈북자가 북한을 탈출해 남한으로 오기까지 짧게는 6개월, 길게는 몇 년의 시간이 걸립니다. 힘들게 남한으로 넘어왔지만, 정착 과정에서는 북한과 다른 문화와 낯선 환경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기도 하는데요, 연극 목란 언니는 이런 탈북자의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그 중 탈북자들이 가장 힘든 건 가족에 대한 그리움인데요, 극 중에서도 이런 그리운 마음이 대사로 이어집니다.

[녹취: 공연 현장음]

극중 목란 언니 역을 맡은 배우 김정민 씨는 탈북자 역을 연기하며, 남한에서 살고 있는 탈북자들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고 했습니다.

[녹취: 배우 김정민] "사실 가고 싶다라는 게 저는 제 입장에서는 너무 공감이 안 되는, 제가 여기 사는 저로써는, 그런데 그 부분에 대해서 우리가 살아가면서 간절히 원하는 것들이 있잖아요. 내가 얼만큼 그걸 간절히 원하고 있고, 그걸 위해서 나는 무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 극에서 실제로 그게 살아있게 내가 살아있게 할 수 있는 게 뭘까 그런 것들을 고민하는 것 같아요.

극중에서 목란이는 조 대자의 가정을 변화시킵니다. 조 대자의 눈에 비친 목란은 계산적이지 않은 순수한 인물인데요, 가족들과 어느새 정이 쌓이고, 다름을 인정하고 있었습니다.

[녹취: 공연 현장음]

목란 언니 역을 맡은 배우 김정민 씨는 극중에서 분단된 남북처럼 갈라진 사람들의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다면서 서로를 이해하는 마음이 가장 필요하다고 이야기 하기도 했습니다.

[녹취: 배우 김정민] "서로 어떻게 보면 저희 다 분열되어 있잖아요. 서로 어떻게 보면 저희 자신도 굉장히 분열되어 있는 것 같은데, 서로 어떻게든 예기치 않게 만나지려 하는데 결국 또 못 만나지 않는 비극적인 그런 내용이 비극적인 정서가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애정과 관심, 만난다는 거에 대한 관심? 그리고 폭 넓은 사고를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녹취: 공연 현장음]

전인철 연출은 어느 새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 와 있지만, 여전히 먼 이웃이기도 한 탈북자의 눈을 통해서 남한사회 모습을 그려보고 싶었다고 이야기 합니다.

[녹취: 전인철 연출] "사실 남한이 너무 사실은 우리도 하루하루 지내는 게 몹시 분주하고 사건 사고도 많잖아요. 그런데 사실 지금도 북에서 남으로 오신 분들이 많고 아직 중국에 머문 분들도 많고 좀 우리의 모습을 보고 어떻게 하면 조금 더 행복해 질 수 있을까 그런 생각으로 이 작품을 만들게 됐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김미영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