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제재 여파로 북한 대체의학 연구에 집중.. 보건의료 악화 징후”


북한 평양의 한 병원 연구소에서 직원들이 현미경을 사용하고 있다. (자료사진)
북한 평양의 한 병원 연구소에서 직원들이 현미경을 사용하고 있다. (자료사진)

국제사회의 제재 여파로 북한 의료인들이 전통적인 진료보다는 대안적 치료의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거 `고난의 행군’ 때와 비슷한 양상인데요. 북한의 의료 학술지를 토대로 보건의료 실태를 분석한 논문 내용을 조은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국제사회가 북한에 제재를 가한 이래 북한 의료인들이 전통적인 진료보다 대안적 치료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미국의 의학저널 ‘메디슨’ 7월호에 실린 ‘경제 제재 이후 북한의 의학연구 변화’에 따르면, 대북 경제 제재 발효를 전후해 북한의 의료 학술지인 ‘조선의학’에 실린 논문들의 성격이 크게 변했습니다.

제재 이전인 2000년과 2005년 ‘조선의학’에 실린 논문의 25%가 약물 치료, 9%가 수술을 주제로 했지만, 제재 이후인 2010년과 2015년에는 각각 16%와 5%로 줄었습니다.

한의학 역시 비중이 17%에서 8%로 줄었습니다.

반면 대안치료법 연구 비중은 7%에서 57%로 크게 늘었습니다.

대안적 치료는 의료 장비나 의약품이 부족한 상황에서 식이요법이나 명상요법 등 `자연치료’로 질병을 낫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연구진은 1995년과 1997년 사이 북한의 대기근 시절에 비슷한 의학연구 추세가 나타났었다며, 이런 지표는 북한의 보건의료 체계가 악화됐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이 늘어나면 전통적 진료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대안적 치료에 대한 연구가 줄어드는 반대의 경향이 나타난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의학연구는 사회의 필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밖에 2000년대 이후 발간된 북한 의학 논문들은 평균 2쪽으로 매우 짧은 경향을 보이며, 지난 30년 사이 러시아 참고문헌의 비중이 크게 줄고 미국 문헌의 비중이 급증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연구진이 1985년부터 2015년 사이 발간된 북한 ‘조선의학’의 논문 775개를 분석한 것으로, 연구진은 문헌을 통해 북한 의료 실태를 연구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대북 제재의 여파로 북한의 가장 취약한 계층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국제 구호단체들이 밝혔습니다.

홍콩의 대북 지원단체 코에이드(KorAid)의 카타리나 젤웨거 대표는 26일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 신문에, 2015년 코에이드를 설립한 이래 제재 때문에 기부금이 계속 줄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기업들이 북한과 거래하는 것을 꺼려 구호품 조달과 해상 운송을 맡아줄 거래처를 찾기가 힘들고, 모든 것이 매우 복잡해졌다고 말했습니다.

과거 스위스개발협력처 SDC 평양사무소장으로 북한에 5년 상주했던 젤웨거 대표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결핵환자 치료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세계기금’이 대북 지원을 중단한 이래 북한 내 수 천 명의 결핵환자들이 약을 구하지 못하고 있어 전염병이 확산될 위험이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에이즈와 결핵,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은 지난 2010년부터 북한 내 결핵과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1억 3천만 달러를 지원해 왔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북한 내 지원금 활용의 효율성과 위험 관리 수준이 요구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며 대북 사업을 중단했습니다.

한편, 1998년부터 대북 지원 활동을 펴온 국제옥수수재단의 김순권 이사장도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 신문에, 제재 발효 이후 기부금이 줄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북 제재로 일반인들 사이에 북한을 지원하는 데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졌다는 것입니다.

김순권 이사장은 또 제재로 인해 중국과 북한 사이 물품을 유통하던 채널이 최근 일부 단절됐다며, 북한이 더욱 고립되면 일반인들의 기초 식량 확보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VOA뉴스 조은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