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공화당과 민주당 전당대회가 마무리되면서 본격적인 대선 선거 운동이 시작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와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앞으로 세 차례에 걸쳐 TV 토론에 등장할 예정입니다. 두 후보 진영은 이들 TV 토론회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쓸 것으로 보이는데요. ‘미국 대선 ABC’, 오늘은 ‘TV 토론’ 네 번째 시간으로 ‘토론 주최 기관’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정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1960년 대선 후보 TV 토론은 4회에 걸쳐 진행됐고, 미국 3대 방송사, 즉 ‘CBS’, ‘NBC’, ‘ABC’가 후원했습니다.
이후 1975년 미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이른바 ‘아스펜규정(Aspen ruling)’을 만들자, 과거 정당 예비선거에서 TV 토론을 주최한 경험이 있었던 ‘여성유권자연맹’이 1976년과 1980년, 그리고 1984년 대선 후보 TV 토론을 주관했습니다.
아스펜 규정은 대선 후보 TV 토론을 비방송 업체들이 주최하거나 완전하게 생방송으로 보도한다면 토론회에서 군소정당 후보에게 동등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여성유권자연맹은 1988년 대선에서 공화당과 민주당이 합의한 토론 조건이 토론의 기본정신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TV 토론 주최를 거부했습니다. 당시 여성유권자연맹 낸시 뉴먼 회장은 “정치 캠페인이 토론의 모든 것을 지배한다. 정치 후보자 측이 어떻게 카메라를 들이댈 것인지, 누가 어떻게 질문할 것인지를 정한다”라고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TV 방송사나 주요 정당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운 독립적이면서 공적 권위가 보장되는 토론 주최 기관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미국 안에서 조성됩니다. 결국 이를 근거로 1987년 ‘대통령 토론위원회(CPD: Commission on the Presidential Debates’)가 설립됐습니다.
비정치, 비영리 기관인 CPD는 현재 프랭크 파렌코프와 도로시 라이딩스, 케네스 월락 공동회장을 비롯해 이사진 10명과 자문위원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CPD는 1988년 대선 때부터 지금까지 TV토론 진행방식과 횟수, 참가 후보 결정 등 토론회 조직과 운영에 관한 모든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 토론의 효율성과 교육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구와 유권자 교육 등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독립적이고 초당파적인 역할을 자부하는 CPD도 대선 TV 토론 주최자로서의 권위를 위협받기도 했습니다.
그간 몇몇 후보 진영에서 CPD가 토론 주최자로 특별한 지위를 누릴 수 없다는 태도를 밝히기도 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CPD는 청렴성과 지속성에 대한 약속으로 이 위기를 넘겼습니다. 이후 CPD 안에서는 임원과 자문단 구성 과정이 더욱 투명하게 설명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네. 2020 미국 대선 특집, ‘미국 대선 ABC’, 오늘은 ‘TV 토론’ 네 번째 시간으로 ‘토론 주최 기관’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김정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