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북 핵실험 경계 만전 기해야"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미래기획위원회 오찬에서 이명박 대통령. (자료사진)

한국 정부는 북한이 언제든지 핵 실험을 할 수 있다고 보고,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마크 리퍼트 미 국방부 아시아 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한국을 방문해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핵실험 위협과 관련해 북한의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핵실험 징후에 철저히 대비 하는 등 경계 태세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유사시에 대비해 미국 등 우방국과의 협력체제도 다시 한 번 점검 하라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국방 정책 고위 당국자가 한국을 방문해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정부 소식통은 ‘VOA’에 마크 리퍼트 미 국방부 아시아 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지난 26일 방한해 임관빈 국방부 정책실장 등 한국 정부 고위 관리들과 만나 최근 북한의 행보를 평가하고, 두 나라의 공동대응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리퍼트 차관보와 임관빈 정책실장은 양국간 협의에 이어 일본으로 이동해 오는 30일부터 이틀간 도쿄에서 열리는 미.한.일 3국 안보대화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세 나라 안보대화 참석자들은 북한 핵실험 문제를 포함해 3국 공동 관심사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입니다.

한국 군 당국은 현재 미-한 정보감시 자산을 총동원해 북한의 풍계리 핵 실험장을 밀착 감시하고 있습니다.

또 유사시 위기 조치반을 즉각 가동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국방부의 지난 24일 기자설명회 내용 입니다.

[녹취: 국방부 위용섭 대령] “우리 군은 북한은 지도부의 결심만 있다면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고, 이에 대해서 우리 군은 확고한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의 핵실험 준비와 군사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국가적 중대 조치를 결심했다고 북한 매체가 보도한 데 대해 북한이 안보리 제재에 반발하며 언급한 물리적인 대응을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는 분위기를 조성한 것으로 분석 했습니다.

한국 정부 당국자는 핵 실험은 북한이 할 수 있는 여러 조치 중 하나로 김정은 제1위원장이 주재한 회의 참석자들의 면면을 볼 때 핵 실험뿐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실제적 조치도 암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의 추가 도발 강행 여부는 북한의 내부 요인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와 함께 추가 핵 실험을 막기 위해 국제 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정부는 모든 상황에 면밀히 대비 하면서 북한이 추가 핵 실험을 포기하도록 국제사회와 협조 해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이 설명한 통일부 간부회의 내용 입니다.

[녹취: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 “일치되게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해서는 안 된다, 이런 쪽의 메시지를 강하게 보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을 우리도 계속 일관되게 국제사회에 공조해서 하지만, 북한도 이런 상황의 엄중성을 보고 현명한 선택과 함께 국제 사회에 협력하는 자세로 나오기를 바라겠습니다. ”

류 장관은 또 현재 상황은 매우 엄중한 국면이라며 한국 국민과 국제사회가 북한 핵의 만성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는 매너리즘에 빠져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도 아직까지 특별한 공식 반응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외교국방통일분과 김장수 간사는 지난 24일 전방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현 정부의 대처를 본 뒤 새 정부에서 새로운 방침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북한의 의도와 추가 도발 여부를 예의주시하면서도 차분하고 신중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수위 안팎에선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온 박근혜 당선인 으로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행보에 나설 가능성이 낮아, 당분간 남북 간 경색 국면이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