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민간단체, 탈북민 대상 아코디언 강습

'새롭고 하나된 조국을 위한 모임(새조위)'가 주최하는 아코디언 교실에서 탈북자들이 아코디언을 배우고 있다. 사진출처 = 새조위 제공.

탈북민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돕고 있는 서울의 민간단체가 탈북민들을 대상으로 문화 강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매주 토요일, 탈북민들에게 아코디언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박은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오디오 듣기] 서울 민간단체, 탈북민 대상 아코디언 강습


[녹취:현장음]

서울 종로에 있는 `새롭고 하나된 조국을 위한 모임.' 매 주말, 이 곳에서는 탈북민 3 명을 포함해 모두 6 명이 아코디언을 배우고 있습니다. 새롭고 하나된 조국을 위한 모임, 즉 새조위의 신미녀 대표는 탈북민들의 정서적 안정과 취미활동을 위해 아코디언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신미녀, 새조위 대표] ”음악 하면 마음이 안정되고 정서적으로도 풍요롭게 될 수 있잖아요. 이 분들이 배우면서 아마 고향에 대한 향수도 있는 것 같아요. 북쪽에선 자기가 뭐 아코디언 배우고 싶다고 다 배우는 건 아닌데, 이 분들이 지금 여기 와서 배우는 분들 보니까요, 취미활동으로 아니면 직업으로 예술활동을 하시는 분들인데 자기가 악기를 하나 더 배워서 자기의 어떤 기량을 더 넓히려고 하는 부분도 있어요. 저희가 처음에는 마음의, 정서 안정을 했는데 목표가 또 생기더라고요. 아, 이 거는 보통 이제 남한 사람들이 아코디언 배우면 기초를 닦기 전에 유행가 먼저 해서, 유행가를 하는데요. 저희는 그러지 않고 기초를 먼저 탄탄히 한 다음에 그 다음에 동요하고 가곡을 위주로 좀 하면 오히려 더 정서 함양에 더 좋을 것 같아요. 지금 저희다 5 명으로 시작이 됐는데요, 지금 올해 두 달 째거든요.”

[녹취: 현장음]

한국에서는 아코디언이 일부 어르신들이 연주하는 악기로 인식되고 있는데요, 북한에서는 대중적으로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그러다 보니 탈북민들은 아코디언을 연주하면서 고향이 떠오르게 마련인데요, 탈북민 수강생들을 만나봤습니다.

[녹취: 탈북민 수강생] “저는 북한에서는 이런 지식도 없었고, 투자해야지만 하는 거니까 못했거든요.”

“북한에서 아코디언을 했는데, 교과서대로 못 배웠어요. 뭐 이것 저것 아마추어처럼 하다보니까 하나를 전공을 못했는데.”

어디든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악기 아코디언. 배워두면 활용하기 좋지만 익히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코디언은 오른편에 아흔 개가 넘는 단추가 있고 가락은 왼손으로 연주해야 하는데요, 피아노는 건반을 보면서 연주를 할 수 있지만 아코디언은 보지 않고 감각으로 연주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익숙해지기까지 1년 가까운 시간이 걸립니다. 이 때문에 일대일로 지도 후 일주일 간 개인연습을 하고 다시 강사가 점검하는 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녹취: 현장음]

강사인 고정희 씨 역시 탈북민인데요, 고정희 씨는 평양에서 아코디언을 체계적으로 배웠고 탈북해서는 예술단 단장으로 활동하면서 4년 째 아코디언 강사로도 일하고 있습니다.

[녹취: 고정희, 아코디언 강사] “북한에서는 이거를 대중악기로 사용을 했어요. 그래서 아무 공장, 기업소나 선전이나 아코디언이 빠지면 안돼요. 다 아코디언으로 반주를 했어요. 그런데 그게 한국에 오니까 여기는 문화가 발전해서 오케스트라나, 드럼이나. 아코디언이 별로 필요 없을 줄 알았는데, 갑자기 몇 년 전부터 인가는 흘러간 옛 노래를 아마 아코디언으로 하는 그런 또 추세가 지금 온 것 같아요. 그래서 갑자기 저도 이렇게 시세가 날 줄 몰랐어요. 이제는 아, 어떤 방법으로 가르쳐야 되고 어떻게 이 순차적인 것도 또 새롭게 얻고. 요새는 일이 좀 너무 즐거운 것 같아요. 우리는 통일 아코디언이잖아요. 그러니까 여기에 맞게 남북한이 모여서 이제 연주회 노래도 거기 맞는 통일 노래를 하나 선정해가지고 남북한이 같이 무대에서 통일 노래를 하면 조금 더 의미 있을 것 같고, 모든 걸 다 떠나서. 돈이나 이런 걸 떠나서 남북 사람들이 하나가 되는 그런 장소에서 무대에서 같이 한 번 같이 공연하고 같이 통일 노래 부르고.”

회원들 중에도 한국에서 예술단원으로 활동하는 탈북민이 있는데요, 이 곳에서 체계적인 연주법을 배울 수 있어서 좋다고 합니다.

[녹취: 탈북 예술단원 수강생] “여기 새조위에서 지금 이 아코디언 교육을 하니까 이해 안 가는 부분을 보충을 할 수 있어서 너무 좋고요, 언어장벽이란 게 있잖아요. 그런데 이렇게 대화를 하면서 같이 시간을 보낸다는 게 너무 즐겁고요, 우리가 한국 문화를 더 빨리 정착을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삶의 여유를 누리고 싶어 시작한 50대 탈북 여성도 있습니다.

[녹취: 탈북민 수강생] “50이에요. 여기 대한민국에 와서는 자기가 열심히 해서 손에 자그마한 돈이라도 있으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얼마든지 할 수 있고. 자기가 열심히 시간을 쪼개면 성공할 수 있는 길, 얼마든지. 여기서 취미생활, 한국 분들이 회사를 그만 두고도 그 취미생활도 하면서 즐겁게 지내는 걸 보니까 너무 부럽고 본받아야 된다고 생각이 들거든요. 그래서 제가 마음 먹었어요.”

수강생들 중에는 탈북민이 아닌 사람도 있는데요. 춘천에서 아코디언을 배우기 위해 매 주말 서울에 온다는 어르신을 만나봤습니다.

[녹취: 한국인 수강생] “공무원 정년 퇴임을 했어요. 내 시간이 많잖아요. 뭔가를 좀 해야 되겠다. 취미활동도 해야 되겠고, 자기 개발도 해야 되겠고. 여러 가지 시간을 보내기 위한 걸 생각을 하다가 우연히 기회디언을 접하게 됐어요. 그래서 이제 아코디언을 배우게 됐지요. 보통 힘든 게 아니에요. 대개가 그렇게 말을 해요. 악기 중에서 제일 힘든 게 아코디언이라고. 해 보니까 진짜 쉽지가 않아요. 많으면 한 시간 정도 혼자 연습을 하고 그렇게 해요.”

[녹취: 현장음]

새조위에서는 앞으로도 아코디언 강습을 계속 이어나갈 예정이고요, 올해 연말에는 아코디언 공연으로 봉사활동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박은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