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노벨상 여부 주목...바르함 살리 이라크 새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미시시피주 사우스에이븐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손을 흔들어 보이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 입니다. 지금 이 시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오는 금요일(5일) 노벨 평화상 수상자 발표일이 임박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선정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라크가 바르함 살리 새 대통령 선출과 함께, 5개월여 지속된 ‘무정부 상태’를 벗어나기 시작했고요. 유럽 동남부 마케도니아에서, 나라 이름을 바꾸는 국민투표를 한 뒤 갈등이 커지고 있는 이야기, 함께 전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올해 노벨상 분야별 수상자 발표가 진행되고 있죠?

기자) 네. 지난 월요일(1일) 생리·의학상, 어제 물리학상, 그리고 오늘 화학상 수상자를 차례로 발표했는데요. 금요일 공개될 평화상 주인공에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상할지 여부 때문인데요. 지난 6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과,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정세가 변하면서, 이 같은 상황 전개를 이끈 트럼프 대통령에게 노벨 평화상을 줘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됐습니다.

진행자) 현직 미국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을 탄 적이 있습니까?

기자)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사례로, 지난 2009년 바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핵무기 없는 세계’를 주창한 공로로 받았는데요. 훨씬 앞서 1906년에는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1919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도 재임 중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퇴임 후 받은 사례도 있는데요. 지난 2002년, 북한 핵 문제 해결에 노력한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수상했습니다.

진행자) 그렇다면, 트럼프 대통령 본인은 노벨 평화상 수상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말합니까?

기자) 지지자 모임과 언론 인터뷰 등에서 여러 차례 긍정적인 생각을 밝혔는데요.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 집회] “(Nobel! Nobel! Nobel!) That’s very nice, thank you. That’s very nice. Nobel, ha ha. I just want to get the job done. So,…”

기자) 지난 봄 집회 현장에서 지지자들이 ‘노벨상’을 수차례 연호했습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이 연설을 멈추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면서 “노벨상이라, 그거 좋네요”라고 말하는 장면인데요. 트럼프 대통령 외에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후보로 거론됩니다. 매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를 예측해온 영국의 합법도박업체 래드브록스는, 이들 세 정상을 올해 가장 유력한 후보로 점쳤습니다.

진행자) 하지만 반론도 있다고요?

기자) 네. 한반도 긴장 해소에 노벨 평화상을 주기에는, 올해는 좀 이른 감이 있다고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댄 스미스 소장이 오늘(3일) 언론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또한 김정은 위원장의 경우, 북한의 인권 문제 때문에 노벨 평화상을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도 있는데요.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노벨상에 관심이 없다는 뜻을 비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노벨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받으셔야 하고, 우리는 평화만 가져오면 된다"고 말한 것으로, 청와대 관계자가 앞서 밝혔습니다.

진행자) 노벨상이 어떤 상인지 짚어보죠.

기자) 주요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진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해마다 주는 상으로, 세계 최고 권위를 인정받습니다. 다이너마이트를 개발한 스웨덴 과학자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시작됐는데요.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문학, 그리고 평화상이 분야별로 제정돼서 노벨 사망 5주기였던 1901년부터 시상했고요. 1969년에 경제학상이 추가됐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최근 노벨상에 대한 비판이 높아졌다고요?

기자) 네. 특히 평화상을 둘러싼 논란이 커졌는데요.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자문역 겸 외무장관 때문입니다. 수치 자문역은 야당지도자였던 199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을 이끈 공로로 수상했는데요. 최근 국제현안으로 떠오른 ‘로힝야’ 소수민족 탄압 과정에 군부를 방조했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노벨상 박탈 운동이 벌어졌습니다. 하지만, 노벨재단 측은 오늘(3일) 기자회견을 통해, ‘수치 자문역의 행보는 유감이지만, 상을 박탈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진행자) 노벨상 주관기관에서도 잡음이 있었죠?

기자) 네. 노벨 문학상 주관기구인 스웨덴 한림원에서 지난해 11월부터 성 추문이 불거졌습니다. 최근 전 세계에서 빠르게 번진 성폭력 폭로 움직임, ‘미투(#MeToo)’ 운동과 맞물려 파장이 커졌는데요. 종신위원장이 사퇴하는 등 진통이 이어진 끝에, 결국 한림원 측은 1949년 이후 처음으로,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 선정을 취소했습니다.

진행자) 그래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데, 어느 나라가 수상자를 많이 배출하는지도 관심이 높죠?

기자) 그렇습니다. 각 부문을 합쳐,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인데요. 370명이 넘습니다. 100여 명인 영국과 독일이 뒤따르는데요. 아시아권에서는 30명가량 배출한 일본이 가장 많고요, 중국에서도 10명 가까이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지난 2000년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을 받았고요. 북한 출신 수상자는 아직 없습니다.

진행자) 오늘(3일)은 미국 과학자 2명이 영국인과 함께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됐군요?

기자) 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발표했는데요.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 스웨덴 왕립과학원] “2018 Nobel Prize in Chemistry, with one half to Frances H. Arnold, for the directed evolution of enzymes. And the other half, jointly to George P. Smith and Gregory P. Winter, for the phage display of peptides and antibodies.”

기자) 미국의 프랜시스 아널드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캘텍) 교수가 ‘효소의 유도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한 공로로 상금 절반을 받는다고 먼저 말했고요. 나머지 절반은 조지 스미스 미국 미주리대 명예교수와 영국 케임브리지 MRC 분자생물학연구소 그레고리 윈터 경이 ‘항체와 펩타이드의 파지 전시(phage display of peptides and antibodies)’를 연구한 공로에 돌아간다는 설명이었습니다.

진행자) 두 가지 연구 공로가 있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기자) “유전적 변화와 선택 원칙을, 인류의 화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단백질 개발에 활용했다”고 노벨위원회는 설명했습니다. 쉽게 말씀 드리면, 사람 몸속에 없는 항체를 생산하는데 활용하는 약을 만드는 연구들인데요. 류머티스 관절염을 비롯한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신약 ‘휴미라(Humira)’가 대표적인 결과물입니다. 미국 제약사 ‘애브비(AbbVie)’가 지난 2002년 출시한 휴미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처방약으로 꼽히는데요. 지난해 매출액이 180억 달러가 넘습니다.

진행자) 미국인 프랜시스 아널드 교수는 오랜만에 노벨 화학상을 받는 여성이라고요?

기자) 네. 여성으로서는 9년 만에 노벨 화학상을 받게 됐는데요. 어제(2일)는 캐나다의 도나 스트릭랜드 워털루대 교수가 55년 만에 여성으로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등, 올해 노벨상에서 여성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진행자) 앞으로 노벨상 분야별 수상자 발표가 이어지죠?

기자) 네. 평화상 발표를 오는 금요일(5일)에 하고요. 다음 주 월요일에는 경제학상 수상자를 공개합니다. 시상식은 오는 12월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진행하는데요. 평화상만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시상합니다. 각 분야 수상자들에게는 메달· 상패와 함께 900만 크로나(미화 약 100만 달러) 상금을 줍니다.

푸아드 마숨 전 이라크 대통령(오른쪽)과 새롭게 선출된 바르함 살리 현 대통령이 3일 이라크 바드다드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악수하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듣고 계십니다. 이라크에서 새 대통령을 선출했군요?

기자) 네. 어제(2일) 이라크 의회에서 진행된 대통령 선출 투표에서 쿠르드애국동맹(PUK) 소속 바르함 살리 후보가 승리했습니다. 살리 대통령은 곧바로 취임 선서 후, 아델 압둘 마흐디 총리를 지명했는데요. 지난 5월 총선에서 압도적인 의석을 차지한 정파가 없는 가운데, 부정선거 논란까지 겹쳐 미뤄져 온 정부 구성이 비로소 시작됐습니다.

진행자) 유권자 직접선거가 아니라, 의회에서 대통령을 뽑은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라크는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붕괴된 뒤 의원내각제를 확립했는데요. 이슬람 종파와 민족 간 비공식 합의에 따라, 대통령은 쿠르드계, 총리는 시아파, 의회 의장은 수니파가 각각 나눠 맡고 있습니다. 대통령은 상징적인 국가원수고요. 실권은 총리가 가지고 있습니다. 마흐디 신임 총리는 향후 30일 안에 내각 구성안을 의회에 제출해 승인 받아야 합니다.

진행자) 이라크 새 국가원수인 살리 대통령, 그리고 정부를 이끌 마흐디 총리, 어떤 사람들입니까?

기자) 살리 대통령은 영국에서 유학한 공학자 출신인데요. 쿠르드 자치정부 총리를 지냈습니다. 이어서, 이라크 부총리를 역임했는데요. 쿠르드 독립국가 건설을 고집하지 않기 때문에, 의원들에게서 두루 지지를 얻었다고 주요 매체들이 분석합니다. 살리 대통령이 지명한 마흐디 총리는 경제학자 출신인데요. 1969년 프랑스로 망명해 지내면서, 언론· 출판 활동에 힘썼습니다. 후세인 정권 붕괴 후 귀국해 부통령을 지냈습니다.

진행자) 두 사람 모두 서방에서 지낸 경험이 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래서 미국을 비롯한 서방 측은 이라크 새 정부에 기대감을 나타내는데요. 이라크에 무거운 국내 과제들이 쌓여있기 때문에, 외교에는 크게 신경 쓸 여력이 없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극렬무장단체 IS와의 전투로 피폐해진 경제 재건, 정치 부패 일소, 또 고질적 종파분쟁 해소 같은 것들인데요. 하지만, 앞으로 구성될 내각에 ‘친 이란’ 정파가 얼마나 진출하느냐에 따라, 중동 정세에 중요한 방향을 가늠할 수도 있을 것으로 서방 매체들은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난 30일 마케도니아 스코페에서 국가 명칭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위하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한 가지 소식 더 보겠습니다. 마케도니아에서 최근 국민투표가 실시됐는데, 그 결과를 놓고 계속 논란이 이어지고 있군요?

기자) 네. 유럽 동남부 발칸반도에 있는 마케도니아에서 국명 변경을 위한 국민투표를 지난 일요일(30일) 치렀습니다. 나라 이름을 ‘북마케도니아공화국’으로 바꾸는 안건이었는데요. 찬성 비율이 거의 92%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 결과에 효력이 없다고 발표하면서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진행자) 왜 결과를 인정받지 못하는 거죠?

기자) 투표율이 낮았기 때문입니다. 전체 유권자 180만 명 중 약 37%만 투표에 참가했는데요. 국민투표 성립 기준인 투표율 50%에 못 미쳤기 때문에, 인정 요건을 갖추지 않았다고 중앙선관위는 밝혔습니다.

진행자) 선관위 발표 뒤에도 갈등이 계속되는 이유는 뭔가요?

기자) 국민투표가 무효가 됐음에도, 정부가 국명 변경을 계속 추진하기 때문입니다. 마케도니아 정부는 이번 국민투표에서 ‘압도적 찬성’ 비율을 들어, 대다수 여론을 사실상 확인했다고 주장하는데요. 조란 자에브 총리는 1일 연설을 통해, “이것(국민투표)으로 국명 변경 노력이 끝난 게 아니다”라면서, “민심의 지지가 드러난 만큼, 헌법을 고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국민투표가 효력이 없어졌는데 개헌을 할 수 있는 겁니까?

기자) 국명을 바꾸는 개헌 과정에, 반드시 국민투표 결과를 반영해야 되는 건 아닙니다. 정부의 개헌 추진이 위법은 아닌 데요. 하지만,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야당과 반대 측은, 정부가 무리하게 개헌을 추진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이번 국민투표가 실시된 배경을 좀 설명해주시죠.

기자) 이웃나라 그리스와의 분쟁 때문입니다. 마케도니아는 1991년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했는데요.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 역사의 핵심인, 알렉산더 대왕의 ‘마케도니아 왕국’의 정통성과 연결돼있습니다. 그래서, 그리스 정부가 줄기차게 개명을 요구했는데요. 게다가 그리스 북부에 있는 국경지대 주 이름도 ‘마케도니아’이기 때문에, 나중에 독립한 나라가 이름을 바꿔야 한다고 그리스 측은 주장해왔습니다.

진행자) 그러니까, 지금까지 30년 가까이 나라이름을 놓고 분쟁이 이어진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특히 그리스는 마케도니아가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에 가입하는 것도 막았는데요. 이 때문에 마케도니아는 유엔 가입에도 어려움을 겪다가, ‘FYROM(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옛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회원국이 됐습니다.

진행자) 그러다가 마케도니아 정부가 국명을 바꾸기로 한 이유는 뭔가요?

기자) 경제 발전과 안보를 위해서, 서방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마케도니아 정부는 국민들에 호소했습니다. 이 과정에 EU와 나토 가입을 필수로 꼽았는데요. 결국 지난 6월, 당국간 합의를 통해, 그리스가 EU와 나토 가입을 반대하지 않는 조건으로, 나라 이름을 고치기로 했습니다. 이 합의에 대한 국민투표를 이번에 진행한 겁니다.

진행자)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현안에 국민투표 참여가 적었던 이유는 뭔가요?

기자) 반대 측이 그리스와의 합의를 인정할 수 없다며, 국민투표 거부운동을 벌인 영향이 큽니다. 투표 거부 운동 배후에 러시아가 있다고 마케도니아 정부는 주장했는데요.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이 지난달 마케도니아를 방문해 러시아의 개입을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진행자) 러시아가 이 문제에 개입하는 배경은 뭐죠?

기자) 나토의 확장을 경계하는 겁니다. 마케도니아가 속했던 옛 유고슬라비아는 러시아와 공산권 동맹이었는데요. 최근 동유럽 국가들이 속속 EU와 나토에 가입해 서방측과 힘을 합치는 게 러시아에서 볼 땐 불리한 상황입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