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언론 "북-중 연대 강화, 미-한 동맹과 대북압박 약화시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에서 회담한 사진을 10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미 주요 언론은 김정은 위원장의 최근 중국 방문은 양국 모두 미국과의 외교에서 협상력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북한과 중국의 연대가 강화되면 결과적으로 미-한 동맹과 대북 압박이 약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AP' 통신은 10일 김정일 위원장의 최근 방중은 2차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과 사전 조율을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유엔의 대북 제재 완화와 관련해 중국 측의 지지를 얻으려는 시도로도 풀이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1년 넘게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을 중단했지만, 체제 생존의 수단인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겠다는 실질적인 의지는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AP 통신은 또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이 북한 비핵화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했지만, 두 정상의 개인적 관계는 미-중 무역 전쟁으로 퇴색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김 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은 북-중 외교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과 북한은 서로를 지렛대 삼아 국내적으로 정치적 궁지에 몰린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북-중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합의를 이뤄내길 모색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신문은 또 윌슨 센터의 밴 잭슨 연구원의 기고를 통해, '리얼리티쇼'와 비슷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외교가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싱가포르 정상회담처럼, 준비 없는 2차 정상회담은 또다시 후속 실무 회담을 교착 상태에 빠뜨린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렇게 정상 외교가 결렬되면 양측은 다시 서로를 비난할 것이고, 특히 미국은 자국 영토를 위협할 수 있는 핵 역량을 가진 핵보유국 북한을 다뤄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또 세부적인 합의 없이 회담이 끝나면, 이후 검증 단계에서 북한이 과거처럼 '지연전술'을 쓸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보여주기식' 외교는 결국 앞으로 미국의 정책 결정권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대북 지렛대를 약화하고, 그러는 동안 북한은 무기 프로그램을 강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국제 문제와 대미 협상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을 강조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북한은 비핵화 협상에서 타결을 원하면 제재 완화 등 이를 위한 토대를 준비해야 할 것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다시 상기시키는 목적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미국과 북한 모두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중국의 지지가 핵심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NN' 방송은 이번 북-중 정상회담은 북한엔 미국과 한국 이외에도 파트너가 있다는 것을, 중국엔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여전히 중국이 주요 '플레이어'임을 부각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은 북한의 비핵화를 담보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가장 큰 외교적 승리로 남아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험난했던 중간선거를 치르고 '셧다운' 사태에 대한 비판을 받는 트럼프 대통령은 또다시 미-북 정상회담을 재현하려는 의지를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외교협회의 스콧 스나이더 선임연구원은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미국과의 협상을 앞두고 '몸값'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빈번한 중국 방문은 김정은의 취약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스나이더 연구원은 김정은이 국제사회에서 '정상국가 지도자'의 면모를 부각하기 위한 전략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과 외교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김정은이 그들과 동등하게 서기 위해서는 전략적 토대가 필요한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중국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것이라는 겁니다.

또 이런 전략이 한편으로는 김정은의 취약성과 대중 의존도를 드러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정박 선임연구원은 김정은 위원장은 신년사와 중국 방문을 통해 자신은 외교를 지속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자신감'을 과시하려 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평화협정과 미국의 전략자산 철수 등을 언급하며 자신이 원하는 조건과 방법을 계속 고수할 것임을 시사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것은 앞으로 미-한 동맹과 중국의 대북 제재 이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것을 미국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