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뉴스] 북한 ‘정찰위성’ 최종 시험…촬영 수준 ‘조악’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북한 당국이 19일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쏜 발사체에 대해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이었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은 내년 4월 군 정찰위성 1호기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는데, 전문가들은 북한의 기술 수준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북한 대외 관영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국가우주개발국이 지난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19일 보도했습니다.

특히 관련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번 시험은 위성 촬영과 자료 전송 계통, 지상관제체계의 능력 평가에 목적을 뒀다면서, 20m 분해능시험용 전색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르 촬영기 2대, 영상 송신기와 조종장치 등이 설치된 위성시험품을 운반체에 탑재해 고도 500km까지 고각 발사시킨 뒤 우주환경을 모의한 최적의 환경에서 진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시험이 주요 기술 지표들을 확증한 중요한 성과이자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 관문 공정을 거친 것이라면서, 내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북한의 정찰위성 개발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위성을 개발할 때 극심한 온도 차와 방사능 등 가혹한 우주환경에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은 지상 시설에서 이뤄지는 데 북한은 위성 장비를 발사체에 실어 우주공간으로 쏘아 올려 해당 실험을 진행하는 방식을 쓰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신종우 /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대부분 나라들이 지상에서 우주 환경을 만들어놓고 거기서 실험하고 결국 마지막에 우주 발사체에 탑재해서 쏘는데 그냥 허공에 날려버리고 이렇게 쏘는 것을 가지고 그게 과연 정찰위성 개발에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인가? 게다가 미사일 자체가 거의 폐기된 수준의 노동미사일 갖고 한 것을 봐선 과연 이것을 우주개발 목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는가를 봤을 땐…”

또 북한이 이번 시험을 통해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과 인천항 위성사진 모습도 한국을 20m 분해능 다파장으로 촬영한 것으로 효용성이 떨어지는 조악한 수준이라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장영근 / 한국 항공대 교수

“요새 해상도가 정찰위성이 보통 0.3~0.5m 정도 돼요. 영상을 찍었다고 해도 해상도 20m면 아무 의미가 없다는 얘기에요. 요새 학생들이 학교에서 만든 위성발사에도 이 정도는 나와요. 그러니까 정찰위성이라고 말하기에는 낯간지럽다는 거죠.”

진위 여부를 떠나 사진 공개 자체는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한반도 긴장을 유지하면서 이달 하순으로 예고한 노동당 전원회의에 앞서 주민들에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치적으로 국방력 강화를 내세우기 위한 계산된 행동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북한 입장에선 전원회의를 통해서 김정은 업적을 선전하고 과시해야 하는 데 올 한 해 경제 분야에서의 업적을 찾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고 그렇다면 역시 군사적 분야에서 업적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서 연말, 12월 총화 결산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도발을 지속하고 있다고 판단되고요.”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의 홍민 북한연구실장도 미국의 정찰자산이 북한 곳곳을 탐지하고 있고 한국도 자체적으로 2024년까지 다수의 군 정찰위성을 쏘아 올릴 계획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들도 한국을 지켜보고 있다는 능력 과시 의도라며, 한국에 지지 않겠다는 경쟁심이 작용한 결과로 평가했습니다.

VOA뉴스 조상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