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원 정보위원장이 북한의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을 것이라는 판단을 공개적으로 밝힌 가운데 미국의 전문가들도 이런 평가에 대체적으로 동의했습니다. 다만 대륙간탄도미사일의 경우 소형화보다는 대기권 재진입 기술과 정확도가 중요한데, 북한은 아직 이 부분에서 미흡하다는 지적입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리 하이노넨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은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는 미국 하원 정보위원장의 평가와 관련해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을 지낸 하이노넨 특별연구원은 6일 VOA와 전화통화에서 이같이 말하며, 특히 "소형화를 위해 광범위한 실험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또한 유념해야 한다"면서 인도와 파키스탄의 사례를 언급했습니다.
[녹취: 하이노넨 특별연구원] "We cannot exclude that possibility. We have also to keep in mind that miniaturization may not require extensive testing as India and Pakistan have demonstrated with their limited tests in 1998. Both countries claim that they got enough data from those tests to design smaller nuclear devices using simulations and tests without nuclear material.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North Korea cannot do the same."
인도와 파키스탄이 1998년 제한적인 실험만으로 '소형화 기술'을 입증했으며, 핵물질 없이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소형 핵무기를 설계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주장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북한도 그렇게 못하리라는 법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하이노넨 연구원은 이어 "북한은 2022-23년 동안 점점 더 적은 실패 속에 미사일 능력을 입증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장거리 순항 미사일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상태는 불분명하지만, 이들 미사일도 진전을 보이는 것 같다"고 진단했습니다.
[녹취: 하이노넨 특별연구원] "During 2022-23 they have demonstrated their missile capabilities with increasingly few failures. The status of long-range cruise missiles and ICBMs is unclear, but they seem to make progress with those as well...For ICBMs, they may need to conduct tests with a simulated payload re-entering atmosphere, but in some shorter-range missiles they seem to have done such tests. However, the flight and return with those missiles is less stressful than that with the ICBMs."
하이노넨 연구원은 이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경우 대기권에 재진입하는 모의 탑재체로 실험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일부 단거리 미사일의 경우엔 그러한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단거리 미사일의 비행과 귀환은 ICBM보다 스트레스가 적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마이크 터너 미국 하원 정보위원장은 4일 미 ‘ABC’방송 시사 프로그램 '디스 위크'에 출연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는 북한의 주장을 사실로 보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그렇게 믿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녹취: 터너 위원장/ABC 방송 인터뷰] "I think this is what we believe right now. North Korea has nuclear weapons capability. We've gotta hit the United States you've got to hit New York city itself.”
북한은 미국을 타격하고 뉴욕시를 타격할 수 있는 핵무기 능력을 보유했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반 밴 디펜 전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5일 VOA와 전화통화에서 "미국은 수년 동안 북한이 ICBM과 다른 탄도미사일에 핵무기를 탑재하고 성공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 "The US has assessed for quite some time for years that North Korea is capable of mounting and successfully delivering nuclear weapons on its ICBMs and on its other ballistic missiles..."
북한이 2016년 핵탄두 ‘소형화와 경량화’를 이뤘다고 주장한 가운데 일정 수준 진전을 이뤘을 것이라는 관측은 여러 차례 나왔습니다.
미국 국방부는 '2022 미사일 방어 검토 보고서'에서 "대부분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국방부도 ‘2020 국방백서’에서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 능력이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는 북한이 지금까지 공개한 최소형 탄두는 직경이 18인치인 반면 미국은 6인치 정도의 소형 탄두를 보여하고 있다며, '소형화'의 기준은 다르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 "you've got this you know sort of 18 inch diameter warhead that's the smallest one that we've seen. You know the US in the past has had warheads you know as small as you know 6 inches in diameter...The KN-23 and its variants KN-24, K-25 the new smaller short range ballistic missile that they've unveiled that they claim has you know they're developing for nuclear weapons delivery purposes. So and at least you know in terms of physical you know physically fitting in there you know it's pretty credible that warhead would be able to fit into all those different delivery systems.”
그러면서 북한은 핵무기 관련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충족하는 수준에만 이르면 될 것이라며, 자신들의 정치,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핵탄두가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는 KN-23, KN-24, KN-25 등 북한이 핵무기 운반 목적으로 개발 중이라고 주장한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거론하며 적어도 외형적으로는 탄두가 이런 모든 다른 운반체계에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북한 관영매체 노동신문은 지난 3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무기연구소를 방문해 북한이 개발한 전술 핵탄두 ‘화산-31’을 시찰했다며 관련 사진을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
공개된 사진에 따르면 핵탄두 직경은 40-50cm(약 15~19인치)로 추정됐습니다.
북한은 당시 ‘화산-31 ‘로 명명된 전술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투발 수단(무기) 8종도 제시했는데, ‘북한판 이스칸데르’ 로 불리는 KN-23과 KN-23 개량형 미사일, KN-24 미사일, 600㎜ 초대형 방사포, 핵 장착 무인수중공격정 (핵어뢰), 화살-1과 화살-2 순항미사일, 단거리 지대지미사일 등이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핵 전문가인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소장은 이런 모든 전술핵무기 투발 수단에 이용 가능한 '소형화'에 성공했는지 회의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올브라이트 소장] "Well in terms of miniaturizing nuclear weapons, I certainly believe North Korea can do that to a point where it could fit warheads on a wide variety of missiles. I think for some tactical systems I mean the warhead is going to have to have a pretty small diameter and it's not clear they can do that. I don't think North Korea can do that. So there is I think a limit to what North Korea can achieve with miniaturization."
올브라이트 소장은 전반적으로 "북한이 다양한 미사일에 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수준까지 핵무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술무기의 경우 탄두 직경이 매우 작아야 하는데 그 수준에 이르렀는지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북한이 소형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올브라이트 소장은 또 대륙간탄도미사일의 경우 소형화보다 대기권 재진입 기술이 더 난제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올브라이트 소장]"ICBM platform is going to be pretty large. So it's not so much a question of miniaturization of a warhead to fit on top or inside an ICBM re-entry vehicle. It's more of a question can the warhead survive and detonate over a target? And here I would probably disagree with the assessment that North Korea can target New York."
ICBM 플랫폼은 상당히 클 것이기 때문에 ICBM 재진입체 상단이나 내부에 장착할 탄두를 소형화 하는 것은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올브라이트 소장은 "탄두가 살아남아 목표물에서 폭발할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라면서, 그런 측면에서 "북한이 뉴욕을 공격할 수 있다는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