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10대 무역국이 유엔의 대북 제재 이전과 비교해 70%가 바뀐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정은 위원장 집권 후 특히 동남아 국가들의 교역이 급감한 반면 중남미 국가들과의 교역은 늘었는데, 전체 교역 국가 수는 절반 수준으로 급락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강양우)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에 따른 유엔의 대북 제재 강화 이후 북한의 지난해 수출은 4년 전보다 17분의 1로 줄어들었는데 교역 상대국도 크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VOA가 한국무역협회의 최근 보고서와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북한의 지난해 10대 교역국은 2015년 중국 한국 인도 러시아 태국 필리핀 파키스탄 부르키나파소 우크라이나 트리니다드 토바고 순이었습니다.
그런데 대북 제재가 본격화된 2017년 이후 지난해에는 중국과 인도, 러시아를 제외한 7개 나라가 바뀌었습니다.
북한의 10대 교역국에 브라질, 코스타리카, 독일, 폴란드, 페루, 사우디아라비아, 짐바브웨가 포함된 것입니다.
북한과 전통적으로 교역이 활발하던 동남아 국가들이 대북 제재 강화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반면 브라질 코스타리카 등 중남미 국가 3곳이 새롭게 진입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북한 전체 교역액 29억 5천만 달러 가운데 중국이 95.2%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기 때문에 나머지 나라들의 대북 교역은 러시아를 제외하면 비중이 모두 1% 미만이었습니다.
중국은 특히 지난 2001년 북한의 대외무역 비중이 17.3%에 불과했지만 18년 만에 북한 교역의 전체를 차지할 정도로 북한의 의존도는 심화됐습니다.
한국무역협회는 북한의 교역국이 2001년부터 140개국을 유지했지만, 김정은 정권의 핵·미사일 도발에 따른 유엔의 대북 제재 강화 이후 2018년에는 115개국, 지난해에는 62개국으로 급감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경제성장률은 김정은 집권 후 마이너스를 기록 중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김정일 집권 시기인 1998년~2011년까지 북한의 국가 수입 성장률은 연평균 12.6%였지만, 김정은 위원장의 거듭된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유엔의 수입 제재, 개성공단 폐쇄 등으로 수입이 -3.4%였다고 분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비핵화 결단과 개혁·개방을 통한 적극적인 대외 협력만이 북한의 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제롬 소바쥬 / 전 유엔개발계획(UNDP) 평양사무소장
“북한이 경제를 회복할 유일한 해법은 한국, 서방국들과 협력 방안을 찾는 겁니다.
소바쥬 전 소장은 북한이 이런 대외 협력을 통해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경제의 근본적인 체질을 바꿔야 투자를 유치하고 인민 생활도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