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유나 리씨, 안녕하십니까?
답) 예, 안녕하세요.
문) 어렵게 저희 스튜디오로 모셨는데요. 나서서 인터뷰를 잘 안하시는 걸로 아는데 우선 여기까지 와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답) 네, 초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문) 다시 떠올리고 싶진 않으시겠지만, 두만강 일대에서 북한 군인에게 붙잡혔던 게2009년 3월이니까 꼭 3년이 지났습니다. 그리고 1백42일간의 억류생활, 그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으리라고 생각되는 데요. 3년이 지난 지금, 그 때를 돌아보면, 글쎄요, 어떤 기억으로 남아 있는지 궁금하네요.
답) 진짜 3년이라는 시간이 지금 너무 가물가물하게 너무 오래된 기억처럼 남아 있어요. 아마도 무의식 중에 생각하기 싫어서일 수도 있을 것 같고 잘 모르겠는데요. 금방 돌아왔을 때 빼놓고는 많이 기억을 안하면서, 안하려고 하면서 살았던 것 같아요.
문) 예. 그렇게 의식적으로 기억을 안하려고 하면서 살아도 어쩌면 살면서 잊혀지는 게 아니라 더 또렷해지는 그런 경험이 아닐까, 그런 생각도 드는데요. 당시 경험을 담은 책을 한 권 쓰셨구요. 하지만 이후에도 여전히 외부에 노출되는 걸 꺼리셨던 걸로 저흰 느꼈습니다. 함께 억류됐었던 로라 링 씨 보다도 더 그랬던 것 같은데. 사실 이번 인터뷰도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하셨던 걸로 아는데요. 쉽게 나서기 힘들었던 어떤 마음의 무게나 현실적인 사정 같은 게 있었을까요?
답) 저는 사람들이 각자의 소명의 있다고 생각해요. 앞에 나가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고 또 뒤에서 일을 더 잘하는 사람이 있는데 저는 후자에요. 제가 그렇다고 해서 밖에 아주 나가지 않은 건 아니구요. 학교들 다니면서 강의도 조금 했었구요. 제가 사람들한테 제가 겪었던 일에서 배운 것들, 또 북한의 상황들, 또 탈북자들의 상황들을 더 잘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이 사람들의 얼굴을 보면서 얘기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뒤에서 일하고 있었죠. 그리고 책을 쓴 것은 저희를 도와주신 분들, 저희가 집에 올 수 있도록 도와주신 분들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을 했어요. 그 분들이 무슨일이 있었는지는 아셨어야 되는 것 같아서요. 저희가 왜 그 곳에 감금됐었는지, 저희가 무슨 일을 했었는지, 자세하게 모르고, 저희가 기자라는 이유로, 또 저희가 좋은 일을 하려고 했다는, 결과가 아니라 동기를 보시고 저희를 서포트 해 주신 거잖아요. 그래서 그 분들에게 말씀드리는 게 도리라고 생각했어요. 탈북자들에 대한 상황을 저희가 다큐멘타리로 마무리를 못했기 때문에 책으로 마무리하고 싶었구요.
문) 말씀하신 뒤에서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잠시 뒤에 다시 여쭙기로 하구요. 무슨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부분부터 여쭙겠습니다. 어쩔 수 없이 3년 전 그 날 얘기로 돌아가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내가 지금 어쩌면 큰 위험에 빠질 수도 있겠구나, 점점 현장에 깊이 다가가면서요, 그런 예감 같은 건 혹시 들었습니까?
답) 항상 그 날이 마지막 날이었어요. 저희가 중국에서 촬영하는. 제 기억으로는 9일 정도를 중국에서 촬영했는데, 매일 매일 저희가 촬영하는 순간 순간마다 그런 두려움은 있었어요. 당연히 그 두려움이 북한 사람들하고 관계가 되는 것이 아니고 중국에서 저희가 혹시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라는 두려움이었죠. 그 날은 마지막 날이었고, 또 다큐멘타리라는 게 인터뷰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증거 자료들이나 또 배경화면들이 따라와 줘야지 설득력이 있거든요. 저희가 그 날이 마지막이어서 한순간도 일분 일초도 놓치고 싶지 않아서, 글쎄요 그걸 사명감을 갖고 했다고 해야 되나요. 최선을 다해서 자료를 수집하려고 하다 보니까…
문) 아마 그 때 기억을 다시 떠올리기가 상당히 고통스러우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그리고 나서 추격전이 시작됐습니다. 중간에 북한군의 추격을 받게 됐는데, 여기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안내인이 있습니다. 그 안내인이 고의로 함정에 빠뜨린 것 같다, 그런 말을 들었습니다. 그런 추리를 해 볼 만한 당시 정황, 어땠습니까?
답) 북한에 감금돼 있을 때도, 또 집에 돌아와서도 많이 생각해 봤어요. 혹시 그 분이 저희를 배반한 건가 라고 많이 생각해 봤어요. 그런데 그 때 상황에서는 그 분을 철저하게 믿고 있었어요. 저희도 그 분도 다른 배경에서 온 사람들이지만 탈북자들의 상황이, 중국에 있는 탈북자들의 상황이 참 처참하거든요. 그래서 같은 뜻을 가지고 일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어요. 그리고 그 분도 열심히 저희를 도와주려고 하셨구요. 촬영기간 동안에.
문) 예. 그리고 나서 이제 북한 군인에게 끌려가는 순간을 맞게 됐는데요. 아마 그 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지 생각해 볼 여유조차 없을 만큼 절박한, 급박한 순간이었을 것이라고 상상이 됩니다. 어떤 상황이었는지 어렵겠지만 떠올려 주실 수 있겠습니까?
답) 저희 안내자를 따라서 북한으로, 저희가 북한 땅을 밟았어요. 한 1분 정도 들어가서 촬영을 했습니다. 그리고 1분이 채 되기도 전에 저희도 이건 좀 위험한 선택이었던 것 같다, 빨리 돌아가자, 그리고 돌아오는 두만강 중간에서 저희 같이 일하던 프로듀서가 먼저 북한 쪽에서 오는 두 군인들을 봤죠. 그래서 그 분이 뛰어라, 군인들이다, 그래서 저희가 다 같이 뛰어서 중국 땅에 다 같이 도달했습니다. 남자들이라서 빠른 사람들은 먼저 도착하고 여자들은 좀 늦게 도착했어요. 그런데 그 때 로라가 제 앞에 쓰러져, 넘어져 있는 걸 봤어요. 그래서 너 괜찮니, 그랬더니 얼음판에서 넘어져서 움직일 수가 없다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거기를 떠나질 못하고 로라 옆에 서 있었는데 정말 순식간에 북한 군인들이 저희를 둘러쌌죠. 두 명인데 아주 키도 작고 체구도 작았는데 굉장히 강했어요.
문) 예. 결국은 어려움에 빠진 동료 앞에서 망연자실 서 있다가 함께 붙잡히신 건데요. 그렇게 해서 이제 1백42일, 그러니까 5개월 가까운 기나긴 억류생활이 시작됩니다. 초기에 특히 심문을 많이 받았을텐데 심문하는 측에서 어느 정도나 위협적이었습니까?
답) 북한은 탈북자들의 얘기를 한다는 자체에 굉장히 화가 나 있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서구 방송이라고 해야 하나요, 이 쪽에서 자기들의 이미지를 나쁘게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화가 나 있었어요. 사실 뭐 그런 정보가 그 사람들에게, 북한 정부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저희가 촬영을 했던 게. 또 저희가 만났던 사람들 자체가. 그런데 일일이 하나하나 다 알고 싶어 하셨죠. 그런데도 참 이상한게 제가 아무리 기억을 하려고 해도, 그 때 너무 충격을 받아서 그런지 사실 자세한 내용들이 잘 기억 안났어요. 또 그런 것에 대해서 제가 일부러 숨긴다고 하셔서 처음에는 협박을 많이 하셨죠. 신체적으로 때리거나 그런 건 없지만, 어떤 말로나 행동으로나 위협감을 느끼게 했죠. 또 제가 어린 딸이 있는데 그 때 아이가 4살이었는데 아이를 못 보게 될 거라는 협박도 하셨죠.
문) 예. 엄마한테는 가장 충격적인 위협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신체적인 위협은 없었으나 그런 위협에 대한 충격과 공포, 정신적인 것이었습니다만. 서구방송이 악의적으로 왜곡한다, 이런 걸 문제삼았다고 했는데 더군다나 지금 미국 시민이시지만 한국 출신이지 않습니까? 그런 사실 때문에 그 쪽에서 더 적대적으로 대했던 것으로 들었습니다.
답) 아마도 제가 말을 알아듣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니까 더 두려움이 컸던 것 같아요. 그리고 또 그 쪽에서 보기에는 제가 아무리 미국 시민이지만 한국에서 태어나서 한국 말도 하고 한국 부모들이 있고 하니까 한국인으로 취급을 하셨어요. 그러면서 같은 핏줄을 나눈 사람인데, 동족인데, 어떻게 같은 동족에게, 북한에서 보면 나쁜 짓이죠, 북한의 이미지를 떨어뜨리는 것이니까요, 나쁜 짓을 할 수 있느냐, 그래서 저에게 화가 더 많이 나셨죠. 또 재판을 받을 때도 재판장이 저에게 반역자라고 굉장히 노하면서 소리를 치셨어요.
문) 예. 한국말을 하셨다는 부분을 지금 말씀하셨습니다만, 그래서 로라 링 기자와는 달리 주변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본인이 알고 느낄 수 있는 상황이었단 말이죠. 그래서 그 부분 때문에 오히려 더 공포감이 컸을 수도 있었겠군요.
답) 저는 지금 생각해 보면 제가 그래서 더 공포감이 크지 않았었나 싶어요. 일일이 하나하나 다 저에게 말해주는 건 아니지만 서로 얘기하는 눈치, 텔레비전에서 뉴스를 틀어놓고 있으니까요, 감시자 들이. 그럼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소리나 뉴스를 듣고 가끔 국제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또 미국과 북한 관계가 어떤지 들리거든요. 그럴 때마다, 관계가 악화될 때마다 저희 상황에 영향을 미칠까봐 굉장히 두려웠어요.
문) 틀어놨던 북한 뉴스에서 자신들의 억류사실을 보도하는 내용을 직접 본 적이 있습니까?
답) 텔레비전에선 보도를 안 했던 걸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재판이 끝난 후에는 신문에 재판 상황과 저희에 대해 알렸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나 리 기자와의 인터뷰, 2편에서 계속됩니다.
문) 유나 리씨, 안녕하십니까?
답) 예, 안녕하세요.
문) 어렵게 저희 스튜디오로 모셨는데요. 나서서 인터뷰를 잘 안하시는 걸로 아는데 우선 여기까지 와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답) 네, 초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문) 다시 떠올리고 싶진 않으시겠지만, 두만강 일대에서 북한 군인에게 붙잡혔던 게2009년 3월이니까 꼭 3년이 지났습니다. 그리고 1백42일간의 억류생활, 그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으리라고 생각되는 데요. 3년이 지난 지금, 그 때를 돌아보면, 글쎄요, 어떤 기억으로 남아 있는지 궁금하네요.
답) 진짜 3년이라는 시간이 지금 너무 가물가물하게 너무 오래된 기억처럼 남아 있어요. 아마도 무의식 중에 생각하기 싫어서일 수도 있을 것 같고 잘 모르겠는데요. 금방 돌아왔을 때 빼놓고는 많이 기억을 안하면서, 안하려고 하면서 살았던 것 같아요.
문) 예. 그렇게 의식적으로 기억을 안하려고 하면서 살아도 어쩌면 살면서 잊혀지는 게 아니라 더 또렷해지는 그런 경험이 아닐까, 그런 생각도 드는데요. 당시 경험을 담은 책을 한 권 쓰셨구요. 하지만 이후에도 여전히 외부에 노출되는 걸 꺼리셨던 걸로 저흰 느꼈습니다. 함께 억류됐었던 로라 링 씨 보다도 더 그랬던 것 같은데. 사실 이번 인터뷰도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하셨던 걸로 아는데요. 쉽게 나서기 힘들었던 어떤 마음의 무게나 현실적인 사정 같은 게 있었을까요?
답) 저는 사람들이 각자의 소명의 있다고 생각해요. 앞에 나가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고 또 뒤에서 일을 더 잘하는 사람이 있는데 저는 후자에요. 제가 그렇다고 해서 밖에 아주 나가지 않은 건 아니구요. 학교들 다니면서 강의도 조금 했었구요. 제가 사람들한테 제가 겪었던 일에서 배운 것들, 또 북한의 상황들, 또 탈북자들의 상황들을 더 잘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이 사람들의 얼굴을 보면서 얘기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뒤에서 일하고 있었죠. 그리고 책을 쓴 것은 저희를 도와주신 분들, 저희가 집에 올 수 있도록 도와주신 분들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을 했어요. 그 분들이 무슨일이 있었는지는 아셨어야 되는 것 같아서요. 저희가 왜 그 곳에 감금됐었는지, 저희가 무슨 일을 했었는지, 자세하게 모르고, 저희가 기자라는 이유로, 또 저희가 좋은 일을 하려고 했다는, 결과가 아니라 동기를 보시고 저희를 서포트 해 주신 거잖아요. 그래서 그 분들에게 말씀드리는 게 도리라고 생각했어요. 탈북자들에 대한 상황을 저희가 다큐멘타리로 마무리를 못했기 때문에 책으로 마무리하고 싶었구요.
문) 말씀하신 뒤에서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잠시 뒤에 다시 여쭙기로 하구요. 무슨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부분부터 여쭙겠습니다. 어쩔 수 없이 3년 전 그 날 얘기로 돌아가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내가 지금 어쩌면 큰 위험에 빠질 수도 있겠구나, 점점 현장에 깊이 다가가면서요, 그런 예감 같은 건 혹시 들었습니까?
답) 항상 그 날이 마지막 날이었어요. 저희가 중국에서 촬영하는. 제 기억으로는 9일 정도를 중국에서 촬영했는데, 매일 매일 저희가 촬영하는 순간 순간마다 그런 두려움은 있었어요. 당연히 그 두려움이 북한 사람들하고 관계가 되는 것이 아니고 중국에서 저희가 혹시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라는 두려움이었죠. 그 날은 마지막 날이었고, 또 다큐멘타리라는 게 인터뷰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증거 자료들이나 또 배경화면들이 따라와 줘야지 설득력이 있거든요. 저희가 그 날이 마지막이어서 한순간도 일분 일초도 놓치고 싶지 않아서, 글쎄요 그걸 사명감을 갖고 했다고 해야 되나요. 최선을 다해서 자료를 수집하려고 하다 보니까…
문) 아마 그 때 기억을 다시 떠올리기가 상당히 고통스러우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그리고 나서 추격전이 시작됐습니다. 중간에 북한군의 추격을 받게 됐는데, 여기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안내인이 있습니다. 그 안내인이 고의로 함정에 빠뜨린 것 같다, 그런 말을 들었습니다. 그런 추리를 해 볼 만한 당시 정황, 어땠습니까?
답) 북한에 감금돼 있을 때도, 또 집에 돌아와서도 많이 생각해 봤어요. 혹시 그 분이 저희를 배반한 건가 라고 많이 생각해 봤어요. 그런데 그 때 상황에서는 그 분을 철저하게 믿고 있었어요. 저희도 그 분도 다른 배경에서 온 사람들이지만 탈북자들의 상황이, 중국에 있는 탈북자들의 상황이 참 처참하거든요. 그래서 같은 뜻을 가지고 일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어요. 그리고 그 분도 열심히 저희를 도와주려고 하셨구요. 촬영기간 동안에.
문) 예. 그리고 나서 이제 북한 군인에게 끌려가는 순간을 맞게 됐는데요. 아마 그 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지 생각해 볼 여유조차 없을 만큼 절박한, 급박한 순간이었을 것이라고 상상이 됩니다. 어떤 상황이었는지 어렵겠지만 떠올려 주실 수 있겠습니까?
답) 저희 안내자를 따라서 북한으로, 저희가 북한 땅을 밟았어요. 한 1분 정도 들어가서 촬영을 했습니다. 그리고 1분이 채 되기도 전에 저희도 이건 좀 위험한 선택이었던 것 같다, 빨리 돌아가자, 그리고 돌아오는 두만강 중간에서 저희 같이 일하던 프로듀서가 먼저 북한 쪽에서 오는 두 군인들을 봤죠. 그래서 그 분이 뛰어라, 군인들이다, 그래서 저희가 다 같이 뛰어서 중국 땅에 다 같이 도달했습니다. 남자들이라서 빠른 사람들은 먼저 도착하고 여자들은 좀 늦게 도착했어요. 그런데 그 때 로라가 제 앞에 쓰러져, 넘어져 있는 걸 봤어요. 그래서 너 괜찮니, 그랬더니 얼음판에서 넘어져서 움직일 수가 없다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거기를 떠나질 못하고 로라 옆에 서 있었는데 정말 순식간에 북한 군인들이 저희를 둘러쌌죠. 두 명인데 아주 키도 작고 체구도 작았는데 굉장히 강했어요.
문) 예. 결국은 어려움에 빠진 동료 앞에서 망연자실 서 있다가 함께 붙잡히신 건데요. 그렇게 해서 이제 1백42일, 그러니까 5개월 가까운 기나긴 억류생활이 시작됩니다. 초기에 특히 심문을 많이 받았을텐데 심문하는 측에서 어느 정도나 위협적이었습니까?
답) 북한은 탈북자들의 얘기를 한다는 자체에 굉장히 화가 나 있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서구 방송이라고 해야 하나요, 이 쪽에서 자기들의 이미지를 나쁘게 만든다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화가 나 있었어요. 사실 뭐 그런 정보가 그 사람들에게, 북한 정부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저희가 촬영을 했던 게. 또 저희가 만났던 사람들 자체가. 그런데 일일이 하나하나 다 알고 싶어 하셨죠. 그런데도 참 이상한게 제가 아무리 기억을 하려고 해도, 그 때 너무 충격을 받아서 그런지 사실 자세한 내용들이 잘 기억 안났어요. 또 그런 것에 대해서 제가 일부러 숨긴다고 하셔서 처음에는 협박을 많이 하셨죠. 신체적으로 때리거나 그런 건 없지만, 어떤 말로나 행동으로나 위협감을 느끼게 했죠. 또 제가 어린 딸이 있는데 그 때 아이가 4살이었는데 아이를 못 보게 될 거라는 협박도 하셨죠.
문) 예. 엄마한테는 가장 충격적인 위협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신체적인 위협은 없었으나 그런 위협에 대한 충격과 공포, 정신적인 것이었습니다만. 서구방송이 악의적으로 왜곡한다, 이런 걸 문제삼았다고 했는데 더군다나 지금 미국 시민이시지만 한국 출신이지 않습니까? 그런 사실 때문에 그 쪽에서 더 적대적으로 대했던 것으로 들었습니다.
답) 아마도 제가 말을 알아듣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니까 더 두려움이 컸던 것 같아요. 그리고 또 그 쪽에서 보기에는 제가 아무리 미국 시민이지만 한국에서 태어나서 한국 말도 하고 한국 부모들이 있고 하니까 한국인으로 취급을 하셨어요. 그러면서 같은 핏줄을 나눈 사람인데, 동족인데, 어떻게 같은 동족에게, 북한에서 보면 나쁜 짓이죠, 북한의 이미지를 떨어뜨리는 것이니까요, 나쁜 짓을 할 수 있느냐, 그래서 저에게 화가 더 많이 나셨죠. 또 재판을 받을 때도 재판장이 저에게 반역자라고 굉장히 노하면서 소리를 치셨어요.
문) 예. 한국말을 하셨다는 부분을 지금 말씀하셨습니다만, 그래서 로라 링 기자와는 달리 주변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본인이 알고 느낄 수 있는 상황이었단 말이죠. 그래서 그 부분 때문에 오히려 더 공포감이 컸을 수도 있었겠군요.
답) 저는 지금 생각해 보면 제가 그래서 더 공포감이 크지 않았었나 싶어요. 일일이 하나하나 다 저에게 말해주는 건 아니지만 서로 얘기하는 눈치, 텔레비전에서 뉴스를 틀어놓고 있으니까요, 감시자 들이. 그럼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소리나 뉴스를 듣고 가끔 국제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또 미국과 북한 관계가 어떤지 들리거든요. 그럴 때마다, 관계가 악화될 때마다 저희 상황에 영향을 미칠까봐 굉장히 두려웠어요.
문) 틀어놨던 북한 뉴스에서 자신들의 억류사실을 보도하는 내용을 직접 본 적이 있습니까?
답) 텔레비전에선 보도를 안 했던 걸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재판이 끝난 후에는 신문에 재판 상황과 저희에 대해 알렸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