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풍경] 미국 내 탈북 여성, 암 투병 중 끝내 숨져

42세의 일기로 별세한 메이 주 씨.

매주 금요일 북한 관련 화제성 소식을 전해 드리는 ‘뉴스 풍경’입니다. 북한에 두고온 아들을 만날 희망을 놓지 않았던 탈북 여성이 오랜 투병 끝에 최근 숨졌습니다. 미 서부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면서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서도 적극 활동했던 메이 주 씨의 안타까운 사연을 장양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This Audio episode was created by automated software



지난 2018년 조지 워싱턴대학이 개최한 ‘세계 여성 인권의 날’ 행사에 증언자로 나섰던 탈북 여성 메이 주 씨.

당시 주 씨는 평양에서 나고 자라 외교관이 되고 싶었던 꿈이 어떻게 좌절됐는지를 설명했습니다.

[녹취: 메이 주] “평양시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던 저는 외교관이 될 꿈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꿈도 잠깐, 1988년 북한 당국의 인구 축소 조치로 가족이 모두 양강도 해산시 두메산골로 추방 당했습니다.”

결혼해 2명의 자녀를 낳고 살았지만 행복하지 못했습니다.

남편은 목을 조르는 등 주 씨에게 극심한 폭력을 일삼았고, 큰 아이는 기차에 치어 죽었으며, 둘째 아이는 화상을 입어 손이 오그라들었습니다.

아이 만이라도 제대로 살게 해주려고 수술비 마련을 위해 중국을 방문했던 주 씨는 북한으로 돌아간 뒤 더 큰 불행을 겪었습니다.

[녹취: 메이 주] “뇌물을 받고, 약속했었지만 경비대원들이 초소로 끌고 갔습니다. 온몸을 벗기고, 자궁안 검사 받았습니다. 강제로 책상에 엎드리게 해 성폭행을 강행했습니다. 아들 수술비니 봐달라고 했지만 나무 각목으로 때리고, 차고 때리고, 죄목은 돈이 나왔는데 거짓말을 했다는 이유였습니다.”

집결소를 나와 집으로 가보니 아들은 실종되고 없었습니다.

북한에서 살아갈 이유를 잃은 주 씨는 중국으로 탈북했지만 인신매매를 당해 중국인 남성과 살면서 딸을 낳았습니다.

중국인 남편 역시 폭력이 심했고, 주 씨는 한 살도 채 안된 자식을 두고 중국을 떠났습니다.

태국의 난민수용소에 도착해 미국행을 기다리게 된 당시 30대 초반의 메이 주 씨. 이제는 사람답게 살 수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미국 땅을 밟기도 전에 위암 선고를 받았습니다.

2012년 미국 콜로라도 주에 도착해 암 제거 수술을 받고 LA에 정착한 지 8년 만인 지난 4월 24일, 메이 주 씨는 42세 나이에 숨을 거뒀습니다.

주 씨의 미국 정착을 도운 미 서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탈북민 지원단체 엔키아 대표 김영구 목사입니

[녹취:김영구] ”위에 있는 암이, 간으로 한 번 가서 황달도 한 번 왔었고, 그 담에는 폐로 가고.. 먹는 게 다 복수가 차고..”

김 목사는 VOA에 주 씨의 마지막 모습에 대해 말했습니다.

[녹취:김영구] ”4월 24일 4시 였어요. 쫒아 들어갔더니 눈 감았는데, 따뜻하더라고요. 오랫동안 아팠으니.. 옆에 병간호사가 있었고. 대소변을 쏟으시니까.. 치워주고, 복수가 차니까, 물을 빼주고, 누가 옆에 있었는데, 돌아가신 지 10분 됐더라고요. 들어갔더니. 특별한 유언은 없었고 장례만 부탁한 거 같더라고요. 저한테 부탁해 달라고 했다고”

주 씨의 사망 소식은 가장 먼저 북한의 가족에게 전해졌습니다.

[녹취: 김영구] “돌아가시고 난 다음날 돌아가셨다고 이야기했어요. 엉엉 우시죠. 집사님이 탈북하실 때 그 어머니가 두만강 가에 와서 다시는 돌아오지 말라고.. 돌아오지 말고 가서 잘 살으라고.. 그랬다는데..”

코로나 사태로 조문객이 많지 않았지만 김 목사는 “정성스럽게 장례를 치르고 시신은 화장해 뼛가루를 납골당에 모셨다”며, “통일 후 북한에 가져가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습니다.

주 씨의 안타까운 죽음은 탈북민 사회에도 알려졌습니다. LA에 거주하는 50대 탈북 남성 박명남 씨는 뭐라 말할 수 없다고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녹취:박명남] “남의 일이 아니니까 얼마나 많은 한을 마음에 품고 갔겠어요. 처음으로 찢어지는 거 같아요. 저도 작년에 어머니를 하늘나라로 보냈는데. 90이었어요. 90대 할머니가 죽어도 마음이 이렇게 허전한데. 그 젊은 사람이 하늘나라 갔다니까, 뭐라고 표현해야 할까요. 하늘도 무심하지. 그 생각 밖에 없네요.”.

그러나 누구보다 충격을 받을 사람은 중국에 있는 어린 딸일 것이라며, 김 목사는 주 씨가 2년 전 딸을 만났다고 말했습니다.

2년 전 주 씨와 함께 중국에 간 엔키아의 사라 조 간사는 VOA에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녹취:사라 조] “2016년도에 치료 받고 있던 병원에서 할 수 있는 건 다 했으니까,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판정을 받고, 그 때부터 죽기 전에 딸을 꼭 만나고 싶다고 해서. 준비가 시작됐고..”

주 씨가 미국 시민권을 딴 2018년, 지역 한인과 탈북민들이 십시일반 모은 기금으로 2년 만에 이뤄졌습니다.

사라 씨는 주 씨의 보름 간의 여행을 이렇게 회상합니다.

[녹취:사라 조] “비행기 타고 가는데 이렇게 말하시는 거에요. 사라 씨. 제가 신분도 없이 숨어살던 제가 그 중국 땅에 미국 시민으로 간다는 것이 감격스럽다고.. 감회가 새로울 거 같다고. 중국말이 잘 나올까 걱정을 하면서 갔는데. 무섭다고 하시더라고요. 중국에서 겪었던 일이 떠오르면서 그때 감정이 되살아 나신다고..”

7년 만에 만난 딸을 안고 눈물을 흘렸던 메이 주 씨.

[녹취: 사라 조] “딸의 할머니가 마중 나오시고, 딸을 부둥켜 안으시면서 우시더라고요. 내가 엄마야 내가 엄마야. .중국말로 말씀하셨어요...”

사라 씨는 엄마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는 주 씨와 딸이 너무 잘 지내는 것을 보며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말이 실감났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딸의 고모가 늘 따라다녀 아쉬움이 컸다고 말했습니다.

딸을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 주 씨의 몸 상태는 더욱 나빠졌습니다.

주 씨의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에는 중국 여행을 준비하는 기간에 게시한 것으로 보이는 딸 사진이 한 장 올라와 있습니다.

자신의 상황을 수많은 북한 주민과 탈북민이 겪고 있는 인권 문제로 봤던 주 씨는 평소 북한 문제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주 씨의 페이스북 게시물은 대부분 북한의 인권과 핵 문제를 다룬 VOA 기사들 입니다.

김 목사는 주 씨가 아픈 와중에도 북한의 인권을 알리는 활동에 매우 적극적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영구] “평양에서 아버지가 상당히 높은 지위에 있었는데, 무엇보다 김정일 정권을 너무 잘 알아요. 거기에 대해서 광분하셨고, LA에서 증언했을 때 한 200명이 모였는데, 가장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강연하고..어디든지 북한을 알리는 거라면 몸이 아픈데도 다니셨어요..”

인권 사각지대인 북한과 중국에서 직접 목격하고 경험한 피해자로서, 그리고 아들을 잃어버려도 찾을 수 없는 엄마로서 할 수 있는 만큼 증언대에 섰다는 겁니다.

“어떻게 온 미국인데 죽지 않는다’며 투병 중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용감했던 주 씨의 모습을 떠올리는 사람들 중에는 워싱턴의 민간단체 ‘북한자유연합’의 수전 숄티 의장도 있습니다.

주 씨를 만났던 숄티 의장은 주 씨의 죽음을 큰 손실이라고 VOA에 말했습니다.

[녹취: 수전 숄티] “It's a huge loss, with the passing of May Joo, I can't emphasize enough how her bravery and courage in speaking out made us understand how much the women of North Korea's suffer. And we were able to be a given the opportunity to present her story before during the U. N. Commission…”

‘유엔여성지위원회’에서 주 씨가 증언할 기회를 마련했던 숄티 의장은 자신의 고통을 알린 주 씨의 용기가 사람들에게 북한 여성들의 고통을 이해하게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숄티 의장은 주 씨가 “북한에서 여성의 가치는 파리보다 못하다”고 말했던 것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 연방정부 공무원으로 주 씨의 암 치료를 위해 주 정부에 청원을 넣는 등 탈북민들의 인권을 위해 일해온 사라 조 간사는 주 씨의 생전의 꿈을 이야기 했습니다.

[녹취:사라 조] “좋은 남편 만나서 평범한 가정집 하나.. 살림하고 집안을 가꾸고 꽃같은거 가꾸고, 아이 키우고, 그게 내 꿈입니다. 말씀하시더고요. 들으면서 너무 평범한..것인데. 꿈이라고 하시니까. 너무 속상했고. 북한에 있었던 남편도 그렇게 좋은 남편이 아니었고, 중국 남편도 좋은 남편도 아니었고.”

보통 사람에게는 너무나 평범한 일상이 주 씨에게는 이뤄보지 못한 꿈이었다는 겁니다.

주 씨의 페이스북에는 “간절히 원하면 이뤄진다”는 글이 적혀있습니다.

VOA 뉴스 장양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