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중국이 대북정책을 서서히 조정 중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당국자들과 관영 언론들이 나서 북한의 무모한 행동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주장을 잇따라 내놓고 있습니다.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가 정말 바뀌고 있는건지 백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순망치한’으로 불렸습니다.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린 것처럼 북한이 무너지면 중국도 위험하다는 인식입니다.하지만 북한의 호전적 태도를 바라보는 중국의 태도가 최근들어 심상치 않습니다.
미사일과 핵실험에 이어 정전협정 파기마저 주장하는 북한을 이젠 단호하게 다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에 대해 균형을 잡았다면서 지지 의사까지 밝힌 건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핵 선제 타격을 언급한 북한에 자제를 호소하는 중국 외교부 화춘잉 대변인의 지난 9일 발언입니다.
화춘잉 대변인은 새로 채택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는 말도 했습니다.
북한의 무모한 행동에 대한 중국의 피로감은 관영 언론과 당국자들의 발언에도 묻어납니다.
관영 `환구시보’는 지난 8일자 사설에서, 중국이 유엔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진 건 북한이 중국의 이익을 무시하고 외교와 안전을 곤란하게 했기 때문이라고 직언했습니다.
이 신문은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견지하고 북한의 핵실험을 분명히 반대한다는 점, 또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의 이번 사설은 북한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경고 신호로 읽혔습니다.
북한을 겨냥한 중국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의 발언은 더욱 직설적입니다.
특히 중국 군부에선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인민정치협상회’를 가리키는 양회 기간 동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를 지지하는 발언이 잇따랐습니다.
황훼진 중국 인민해방군 소장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행사에 참석한 류위안 총후근부 정치위원과 류청쥔 공군 상장도 안보리의 북한 제재안에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인줘 해군 소장은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북한은 군사동맹 관계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지도부가 북한에 짜증을 내고 있다는 미 의회 의원의 증언도 나왔습니다.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입니다.
[녹취: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 “China in my view is becoming increasingly irritated at this young leader’s…”
로이스 위원장은 지난 9일 미국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방문 중 리커창 신임 총리에게 직접 들은 내용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신문은 지난 10일 최근의 이 같은 기류를 중국이 대북정책을 미세하게나마 조정 중인 것으로 풀이하면서 중국 공산당 당교 기관지인 `학습시보’ 덩위원 부편집장의 한반도 전략 수정론을 소개했습니다.
덩위원 부편집장은 지난 달 이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중국이 북한을 포기하고 한국 중심의 한반도 통일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물론 중국 내 이 같은 기류가 한반도 정세와 북한 정권 안정을 우선하는 중국의 대북 접근법의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질진 미지수입니다.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여전히 중국에게 중요한 전제이기 때문입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도 지난 9일 안보리 제재가 끝이 아니고, 대화 등 외교적 방법으로 이를 풀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과의 관계를 정리한 게 아님을 내비쳤습니다.
중국이 과연 북한에 넘지 말아야 할 명확한 한계선을 제시할 수 있을지, 또 선을 넘을 경우 단호한 대응에 나설 것인지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입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순망치한’으로 불렸습니다.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린 것처럼 북한이 무너지면 중국도 위험하다는 인식입니다.하지만 북한의 호전적 태도를 바라보는 중국의 태도가 최근들어 심상치 않습니다.
미사일과 핵실험에 이어 정전협정 파기마저 주장하는 북한을 이젠 단호하게 다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에 대해 균형을 잡았다면서 지지 의사까지 밝힌 건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핵 선제 타격을 언급한 북한에 자제를 호소하는 중국 외교부 화춘잉 대변인의 지난 9일 발언입니다.
화춘잉 대변인은 새로 채택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는 말도 했습니다.
북한의 무모한 행동에 대한 중국의 피로감은 관영 언론과 당국자들의 발언에도 묻어납니다.
관영 `환구시보’는 지난 8일자 사설에서, 중국이 유엔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진 건 북한이 중국의 이익을 무시하고 외교와 안전을 곤란하게 했기 때문이라고 직언했습니다.
이 신문은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견지하고 북한의 핵실험을 분명히 반대한다는 점, 또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의 이번 사설은 북한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경고 신호로 읽혔습니다.
북한을 겨냥한 중국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의 발언은 더욱 직설적입니다.
특히 중국 군부에선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인민정치협상회’를 가리키는 양회 기간 동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를 지지하는 발언이 잇따랐습니다.
황훼진 중국 인민해방군 소장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행사에 참석한 류위안 총후근부 정치위원과 류청쥔 공군 상장도 안보리의 북한 제재안에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인줘 해군 소장은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북한은 군사동맹 관계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지도부가 북한에 짜증을 내고 있다는 미 의회 의원의 증언도 나왔습니다.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입니다.
[녹취: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 “China in my view is becoming increasingly irritated at this young leader’s…”
로이스 위원장은 지난 9일 미국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방문 중 리커창 신임 총리에게 직접 들은 내용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신문은 지난 10일 최근의 이 같은 기류를 중국이 대북정책을 미세하게나마 조정 중인 것으로 풀이하면서 중국 공산당 당교 기관지인 `학습시보’ 덩위원 부편집장의 한반도 전략 수정론을 소개했습니다.
덩위원 부편집장은 지난 달 이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중국이 북한을 포기하고 한국 중심의 한반도 통일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물론 중국 내 이 같은 기류가 한반도 정세와 북한 정권 안정을 우선하는 중국의 대북 접근법의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질진 미지수입니다.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여전히 중국에게 중요한 전제이기 때문입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도 지난 9일 안보리 제재가 끝이 아니고, 대화 등 외교적 방법으로 이를 풀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과의 관계를 정리한 게 아님을 내비쳤습니다.
중국이 과연 북한에 넘지 말아야 할 명확한 한계선을 제시할 수 있을지, 또 선을 넘을 경우 단호한 대응에 나설 것인지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입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