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문가인 한국의 신상진 광운대 교수를 전화로 연결해 오늘(27일) 열린 한-중 정상회담의 성과와 한반도 정세 전망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문) 한국과 중국 두 정상은 공동성명과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요, 이 정도 수위면 한국과 중국 모두 만족할 만한 수준인가요?
문) 양국의 미래비전 공동성명 채택이 앞으로 한-중 관계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십니까’
문) 이번 정상회담에선 공동성명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부속서가 첨부됐는데요,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
문) 두 나라는 또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의 외교담당 국무위원 간 대화체제를 신설하는 등 정치안보 분야에서의 전략적 소통도 강화하기로 했는데, 이렇게 되면 북한 문제에서 협력이 더욱 긴밀해진다고 봐도 될까요?
문) 중국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시진핑 체제의 중국이 이제 한반도 정책을 정립했다고 봐도 될까요? 그리고 이전 후진타오 주석과 차별성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
문) 공동 기자회견에서는 탈북자 강제북송 문제는 언급이 없었는데 정상회담에서도 논의가 안됐을까요?
문) 시진핑 주석이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점도 주목되는데요, 교수님께선 이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문) 한국과 중국 두 정상은 공동성명과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요, 이 정도 수위면 한국과 중국 모두 만족할 만한 수준인가요?
문) 양국의 미래비전 공동성명 채택이 앞으로 한-중 관계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십니까’
문) 이번 정상회담에선 공동성명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부속서가 첨부됐는데요,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
문) 두 나라는 또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의 외교담당 국무위원 간 대화체제를 신설하는 등 정치안보 분야에서의 전략적 소통도 강화하기로 했는데, 이렇게 되면 북한 문제에서 협력이 더욱 긴밀해진다고 봐도 될까요?
문) 중국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시진핑 체제의 중국이 이제 한반도 정책을 정립했다고 봐도 될까요? 그리고 이전 후진타오 주석과 차별성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
문) 공동 기자회견에서는 탈북자 강제북송 문제는 언급이 없었는데 정상회담에서도 논의가 안됐을까요?
문) 시진핑 주석이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점도 주목되는데요, 교수님께선 이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