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일본에서 청문회를 개최한 것을 계기로 납북자 뿐아니라 재일 한인 북송 문제도 적극 제기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엔 조사위원장도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촉구했는데요. 김영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일본에서 지난 29일과 30일 이틀간 열린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청문회는 첫째 날과 둘째 날의 분위기가 크게 달랐습니다.
두 청문회에 모두 참석했던 일본 내 탈북자 고정미 씨의 말입니다.
[녹취: 고정미 씨] “전날 일본인 납치자 청문회 할 때는 회의석이 꽉 찼었거든요. 기자들도 그렇구. 일반인이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꽉 들어찼는데요. 다음 날 직접 우리가 (증인으로) 할 때는 3분의 1도 없더라구요.”
이런 분위기는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서도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첫 날 열린 납북자 청문회는 방송과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됐지만 둘째 날 청문회 소식은 언론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청문회를 주최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마이클 커비 위원장도 이런 분위기에 놀란 듯 증인들에게 차이가 뭔지 따져 물었습니다. 다시 고정미 씨의 말입니다.
[녹취: 고정미 씨] “저한테는 위원장님께서 유엔에서도 이해가 안되고 관심으르 두고 있는 게 납북자 문제하고 재일교포 북송자들에 대한 차이가 왜 이렇게 심하냐. 같은 일본에서 북한으로 갔는데 너무 대비차가 심하게 있다고 생각하는데 거기에 대한 허심탄회한 의견을 듣고 싶다고 질문을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너무 고마웠어요.”
일본에서는 강제로 납치된 일본인들과 스스로 자원해 북한에 간 한인 귀국자들은 차원이 다르다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이는 납북자 문제가 지난 2002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납치 사실을 시인한 이후 일본에서 국가적 관심사로 떠오른 것과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현상입니다.
이에 대해 유엔 조사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던 일본 내 대북 민간단체 ‘노펜스’의 송윤복 사무국장은 여러 복합적인 이유들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녹취: 송윤복 국장] “북한과 관련해 타부가 있었다. 과거 몇 십 년 동안 일본 언론계에서 사회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의 힘이 강했고, 또 조총련이 압력단체로 힘이 있었고, 게다가 일본에 있는 재일 조선인들은 일본 언론과 사회에 자신들의 상황에 대해 호소한다는 것에 대해서 일정한 두려움이 있었다. 그 것은 물론 북한이 거기 간 친인척들을 인질로 잡고 있었기 때문이죠.”
송 국장은 또 재일 한인들은 일본인들에게 차별 반대를 외치는 정치적 이미지가 강해 호소에 한계가 있고, 납북자를 대표하는 요코타 메구미 씨처럼 상징적인 인물도 없다는 게 관심을 높이는 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일본과 지난 1959년 인도에서 ‘재일 한인 북송에 관한 협정’을 체결한 뒤 일본 내 친북단체인 조총련을 통해 대대적인 북송사업을 펼쳤습니다.
이에 따라 1959년부터 1984년까지 9만 3 천여 명의 일본 거주 한인들과 2천여 명의 일본인 처들이 ‘지상낙원’이란 북한의 선전에 속아 북송선에 올랐습니다.
귀국자들은 그러나 북한에서 많은 차별과 박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송윤복 국장은 특히 1970년대 초 국가안전보위부가 설립되면서 사상과 기강확립 차원에서 귀국자들을 대대적으로 처벌해 귀국자 중 20 퍼센트가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거나 처벌됐다는 자료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본 내 민간단체인 ‘북조선 귀국자의 생명과 인권을 지키는 모임’ 등 인권단체들은 이런 문제들을 지적하며 북한의 귀국자 사업은 북한 정부가 조장한 ‘집단납치’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조사위원회가 이 문제에 대해 적극 조사해 줄것을 요청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역시 이번 일본 방문조사를 계기로 재일 한인 북송사업의 반인도 범죄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마이클 커비 위원장은 30일 청문회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송사업을 통해 북한에 간 재일 한인과 일본인 처들에 대해 관심을 더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커비 위원장은 “북한에 간 사람들 대부분이 도착 직후 북한의 열악한 상황에 충격을 받았고 기본적인 인권을 박탈 당하는 고통을 겪었다는 증언과 증거자료들이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
일본에서 지난 29일과 30일 이틀간 열린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청문회는 첫째 날과 둘째 날의 분위기가 크게 달랐습니다.
두 청문회에 모두 참석했던 일본 내 탈북자 고정미 씨의 말입니다.
[녹취: 고정미 씨] “전날 일본인 납치자 청문회 할 때는 회의석이 꽉 찼었거든요. 기자들도 그렇구. 일반인이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꽉 들어찼는데요. 다음 날 직접 우리가 (증인으로) 할 때는 3분의 1도 없더라구요.”
이런 분위기는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서도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첫 날 열린 납북자 청문회는 방송과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됐지만 둘째 날 청문회 소식은 언론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청문회를 주최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마이클 커비 위원장도 이런 분위기에 놀란 듯 증인들에게 차이가 뭔지 따져 물었습니다. 다시 고정미 씨의 말입니다.
[녹취: 고정미 씨] “저한테는 위원장님께서 유엔에서도 이해가 안되고 관심으르 두고 있는 게 납북자 문제하고 재일교포 북송자들에 대한 차이가 왜 이렇게 심하냐. 같은 일본에서 북한으로 갔는데 너무 대비차가 심하게 있다고 생각하는데 거기에 대한 허심탄회한 의견을 듣고 싶다고 질문을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너무 고마웠어요.”
일본에서는 강제로 납치된 일본인들과 스스로 자원해 북한에 간 한인 귀국자들은 차원이 다르다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이는 납북자 문제가 지난 2002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납치 사실을 시인한 이후 일본에서 국가적 관심사로 떠오른 것과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현상입니다.
이에 대해 유엔 조사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던 일본 내 대북 민간단체 ‘노펜스’의 송윤복 사무국장은 여러 복합적인 이유들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녹취: 송윤복 국장] “북한과 관련해 타부가 있었다. 과거 몇 십 년 동안 일본 언론계에서 사회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의 힘이 강했고, 또 조총련이 압력단체로 힘이 있었고, 게다가 일본에 있는 재일 조선인들은 일본 언론과 사회에 자신들의 상황에 대해 호소한다는 것에 대해서 일정한 두려움이 있었다. 그 것은 물론 북한이 거기 간 친인척들을 인질로 잡고 있었기 때문이죠.”
송 국장은 또 재일 한인들은 일본인들에게 차별 반대를 외치는 정치적 이미지가 강해 호소에 한계가 있고, 납북자를 대표하는 요코타 메구미 씨처럼 상징적인 인물도 없다는 게 관심을 높이는 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일본과 지난 1959년 인도에서 ‘재일 한인 북송에 관한 협정’을 체결한 뒤 일본 내 친북단체인 조총련을 통해 대대적인 북송사업을 펼쳤습니다.
이에 따라 1959년부터 1984년까지 9만 3 천여 명의 일본 거주 한인들과 2천여 명의 일본인 처들이 ‘지상낙원’이란 북한의 선전에 속아 북송선에 올랐습니다.
귀국자들은 그러나 북한에서 많은 차별과 박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송윤복 국장은 특히 1970년대 초 국가안전보위부가 설립되면서 사상과 기강확립 차원에서 귀국자들을 대대적으로 처벌해 귀국자 중 20 퍼센트가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거나 처벌됐다는 자료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본 내 민간단체인 ‘북조선 귀국자의 생명과 인권을 지키는 모임’ 등 인권단체들은 이런 문제들을 지적하며 북한의 귀국자 사업은 북한 정부가 조장한 ‘집단납치’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조사위원회가 이 문제에 대해 적극 조사해 줄것을 요청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역시 이번 일본 방문조사를 계기로 재일 한인 북송사업의 반인도 범죄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마이클 커비 위원장은 30일 청문회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송사업을 통해 북한에 간 재일 한인과 일본인 처들에 대해 관심을 더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커비 위원장은 “북한에 간 사람들 대부분이 도착 직후 북한의 열악한 상황에 충격을 받았고 기본적인 인권을 박탈 당하는 고통을 겪었다는 증언과 증거자료들이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