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연구원 "평양생물기술연구원 탄저균 생산 가능"


북한의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가운데)이 지난달 6일 평양생물기술연구원을 현지 지도했다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북한의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가운데)이 지난달 6일 평양생물기술연구원을 현지 지도했다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북한이 생물무기인 탄저균을 생산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평양생물기술연구원에서 탄저균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는 겁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살충제 연구소인 북한의 평양생물기술연구원에서 군사 규격의 탄저균 생물무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미국 비확산센터의 멜리사 해넘 연구원이 주장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최근 미국의 북한전문 매체 ‘38 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달 6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평양생물기술연구원 현지 지도에 나선 사진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북한 관영매체인 `노동신문'의 연구실 사진에서 확인되는 세균계수기(Colony counter), 배양기, 물 살균기, 발효기, 생물반응기 등은 탄저균을 대량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들 기구 대다수는 생화학물질 수출 통제를 위해 결성된 ‘호주그룹’의 통제품목이 불법 반입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생물무기 생산시설은 생물살충제 생산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위장 사례가 발견된다고 밝혔습니다. 과거 이라크의 알 하캄 (Al Hakam) 공장과 소련의 스테프노고르스크 공장이 미생물 살충제 (Bacillus Thuringiensis)와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을 동시에 생산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언제 생물무기 개발을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1968년 일본으로부터 탄저균을 확보했다는 주장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이후 국제 구호단체가 의도치 않게 북한의 생물무기 생산 능력 증대에 기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영국에 본부를 둔 농업생명과학센터 CABI의 스위스 지부가 지난 2005년 북한에 생물살충제 개발을 위한 소규모 시설을 세웠는데, 이 시설이 생물무기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고 해넘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단체가 세운 시설에서 불과 15km 떨어진 곳에 2011년 평양생물기술연구원이 세워졌다고 전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또 농업생명과학센터가 북한인들에게 전수한 미생물 살충제 배양기술은 탄저균 배양기술과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생물무기 시설은 이중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확인과 감시가 매우 어렵다며, 하지만 평양생물기술연구원은 민간용과 군사용으로 사용된 이라크와 옛 소련의 생물무기 시설과 동일한 모형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만일 식량안보에만 관심이 있었다면 합법적으로 살충제를 수입해 오면 되는데, 불법적으로 제재를 피해 이중용도 장비들을 들여가 굳이 살충제 공장을 세운 건 탄저균 생산을 위해서라고 주장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미국이 살아있는 탄저균을 주한미군 기지에 보낸 것이 알려진 지 불과 며칠 뒤에 김 제1위원장이 살충제 공장을 현지 지도한 것은, 미국과 한국을 은근히 위협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해넘 연구원은 탄저균은 무인기에서 가루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무차별 살포할 때 가장 파괴적이라며, 북한이 앞으로 무인기에 분무기를 장착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