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10월 중 메르스 종식 가능...한국인 식생활 점수, 59점


5일 서울에서 열린 '제1차 메르스 손실보상위원회'에서 장옥주 한국 보건복지부 차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5일 서울에서 열린 '제1차 메르스 손실보상위원회'에서 장옥주 한국 보건복지부 차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한국의 이모저모를 알아보는 ‘서울통신’, 오늘도 VOA 도성민 기자 연결돼 있습니다.

진행자) 한국이 드디어 메르스 환자 ‘0’ 상태가 되었군요? 이제 종식을 위한 카운트 다운이 남아 있다구요. 오늘은 이 소식부터 들어보겠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 1일부터 음성판정을 받은 후 격리 치료를 받아왔던 한국의 80번째 메르스 환자가 지난 3일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35살의 남성 환자는 지난 5월 말 메르스 감염자를 접촉한 뒤 확진 판정을 받았고, 이후 계속 병원 치료를 받아왔는데요. 무려 116일 동안이나 양성반응을 이어왔었습니다. 전세계에서도 최장 메르스 양성기간 환자에 해당하는 기록인데요. 지난달 30일 이후 두 차례 메르스 확인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판정됐구요. 메르스 청정지역을 원했던 한국에 반가운 소식을 전했습니다.

진행자) 이렇게 되면 10월 안으로 메르스 청정국이 되는 겁니까?

기자) WHO의 기준으로는 통상 감염병 잠복기의 2배 이상 시간이 지날 때까지 추가 환자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를 해당 감염병의 종식으로 보고 있습니다. 메르스는 잠복기는 통상 14일이기 때문에 28일이 지나야 종식선언을 할 수 있는 것인데요. 마지막 퇴원 환자의 최종 음성 판정일은 지난 1일이고, 28일 이 지난 종식 기준일은 10월 29일입니다.

진행자) 올 봄과 여름, 한국사회를 마비시킨 메르스 그 동안의 경과를 잠깐 짚어보지요. 메르스 감염자가 180명을 넘었었지요?

기자) 메르스 확진 환자가 186명이었습니다. 한국을 메르스공포에 빠뜨린 사람은 지난 5월 20일 바레인에서 농사일을 하나다 입국한 남성이었구요. 이후 그 부인을 비롯해 옮겨 다는 병원의 입원환자들과 보호자 등이 대량으로 감염되고, 한국 최대규모의 병원 응급실에서도 감염사태가 일어나 국가적인 비상상황을 불러왔습니다. 환자 186명에 1만명 넘게 격리가 됐습니다. 그리고 36명이 메르스로 인해 숨졌는데요. 메르스 바이러스에 무방비 상태로 점령당한 한국은 메르스를 이겨내면서 아직도 체계를 잡아야 하는 한국 의료체계의 수준과 민낯을 절감해야 했습니다.

진행자) 서울통신, 함께 하고 있습니다. 한국사람들의 식생활이 낙제점을 받았다는 소식이 있는데, 이것은 무슨 이야기인가요?

기자) 흰 쌀밥과 짠 음식을 즐기는 식생활 때문입니다. 한국 성인의 절반이상이 가지고 있는 비만이나 고혈압 등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이 바로 흰 쌀밥에 나트륨, 육류 등의 과다 섭취가 원인이라고 분석한 질병관리본부의 ‘식생활평가지수’가 발표됐습니다.

진행자) ‘식생활 평가지수’라는 것이 한국사람들의 식생활을 점수로 매긴 것이군요?

기자) 얼마나 건강한 식생활을 하는지 100점 만점으로 표현한 수치입니다. 미국에서 발표하는 건강식 생활점수(Health Eating Index)라는 것과 유사합니다. 한국은 이번에 처음 이런 자료를 발표한 것이구요. 그런데 한국 사람들이 워낙 쌀밥과 김치 위주의 식사가 많아서 점수가 그리 높을 것이라는 예상은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낙제점 수준인 59점은 상당히 놀라운 점수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습니다.

진행자) 건강한 식생활은 어떤 기준을 생각하면 좋을지 궁금하군요?

기자) 크게 14개 영역으로 나뉘고 10점 만점, 5점 만점의 항목이 있습니다. 과일이나 채소를 충분히 섭취할수록, 붉은 고기보다 흰살 고기를 더 많이 먹을수록, 흰쌀밥보다 현미밥을 많이 먹을수록 점수가 높아지는데요. 반면 소금(나트륨)은 적게 섭취하는 것이 좋은 점수를 받게 됩니다. 또 주류나 탄산음료 등 고열량 저영양식품은 적게 먹을수록 좋은 점수로 평가 되는 겁니다. 흰 쌀밥을 즐겨먹는 한국 사람들 전곡류(현미 등 도정이 덜 된 곡식) 항목에서 0.63점이었습니다. 흰고기 붉은 고기 섭취 비율 항목에서도 1.67점, 하루 나트륨 섭위량은 2000mg이 기준인데, 기준치 이상을 먹는 한국사람이 80%로 10만점에 5.69점을 받았습니다.

진행자) 서울통신, 오늘 마지막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낭만의 계절, 가을의 상징이라고도 불리는 은행 나무도 요즘 한국에서 골치거리라는 소식이군요?

기자) 노랗게 물든 은행잎, 보기는 좋은데 땅에 떨어지는 순간부터 곤란입니다. 은행이 떨어지는 동네마다 인상을 찌푸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고 까치발로 다니게 돼 불편하다며 은행 나무를 없애달라는 민원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가을의 낭만 은행이 요즘 한국에서 천덕꾸러기 대접을 받고 있습니다.

진행자) 땅에 떨어진 은행, 밟으면 아주 고약한 냄새가 나기는 하지요.

기자) 불에 잘 구워진 은행은 말랑하면서도 고소한 맛이 있고, 치매에 야뇨증 치료, 혈관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해서 약성분으로, 음식재료, 술안주로도 널리 쓰이는데요. 며칠 전 강한 비바람에 은행나무 열매가 상당수 떨어졌고, 지나는 사람들에게 짓밟힌 은행에서 나는 악취에 전국 곳곳에서 민원이 빗발치고 있는 정도입니다.

진행자) 가을 낭만이 아니라 가을 낭만을 깨고 있는 은행이군요? 그런데 한국 거리에 은행나무가 그렇게 많습니까?

기자)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도심 경관을 꾸미기 위해 대대적으로 심었던 나무 중 하나가 은행나무입니다. 자동차 배기가스를 잘 흡수하고, 병충해에도 강해서 가로수로도 많이 쓰이는데요. 전국적으로 은행나무는 98만 7천 여그루가 되고, 서울에는 11만 4060그루의 은행나무가 가로수로 심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은행나무가 악취를 만들어내지 않습니다. 은행열매를 맺는 암나무가 문제인데요. 서울에는 모두 3만 376그루가 있는데 잠실인근과 여의도, 그리고 청와대 인근 삼청동 길에도 은행나무들이 많은데 한 외국인 ‘개똥 냄새’가 난다고 말했다는 신문기사가 자꾸 생각이 납니다..

진행자) 은행나무 악취, 빨리 처리를 해야겠군요? 어떻게 처리를 합니까?

기자) 한 대에 6000달러 정도하는 비싼 기계를 동원하기도 하구요. 각 지역구청 별로 은행 나무 열매를 줍고 털어내는 공공근로인력을 배치하기도 합니다. 가장 근본적인 조치는 은행열매를 맺는 암은행나무를 없애는 방법인데요. 뽑아낸 자리에 새로 심어야 할 가로수 값이 못해도 1000달러 정도여서 서울에 있는 암은행나무 3만 그루를 교체 하는데에도 상당한 경비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진행자) 예전에는 사람들이 은행을 주워가기도 하지 않았습니까? 요즘은 안 줍는가 보군요?

기자) 한때 가로수로 쓰이는 은행나무 열매는 중금속이 잔뜩 들어있다는 소문이 났었습니다. 또 은행나무 가로수는 시의 재산이니 개인 소유가 아니니 그 열매를 함부로 주우면 벌금을 내야 한다는 소문도 있었는데요. 떨어져 냄새를 피우는 은행이 많아지자 각 구청에서 은행열매 줍기 행사도 열고 있지만 반응은 신통치 않아 아예 폐지된 지역도 있다고 합니다. 서울에서 매년 가을에 수거하는 은행열매는 4톤 가량이 되구요. 중금속 검사를 한 뒤 문제가 없으면, 까서 말린 뒤에 복지관이나 푸드 마켓 등에 무상으로 기증되고 있답니다.

진행자) 서울통신, 지금까지 도성민 기자였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