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 위원장의 이모부인 리강 씨가 미국으로 망명한 뒤 처음으로 한국 언론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리 씨는 자신의 망명은 권력의 비정함을 느꼈기 때문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병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말 서울을 방문해 명예훼손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의뢰하고 곧바로 출국한 김정은 북한 국방위 제1 위원장의 이모부인 60살 리강 씨는 지난 1998년 부인과 함께 스위스에서 미국으로 망명했습니다.
리 씨의 부인 고용숙은 김 제1 위원장의 생모인 고용희의 여동생입니다.
현재 미국에 머물고 있는 리 씨는 지난 8일 `연합뉴스'와의 국제전화 인터뷰에서 자신은 권력에 대한 무서움 때문에 미국으로 망명을 결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리 씨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옆에서 거의 20년을 보내며 30살 전후에 권력의 꼭대기에 올랐지만, 김정일이 물러나고 나서 벌어질 일이 걱정됐고 처의 언니인 고용희와 가까이 있는 게 좋지 않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리 씨는 또 미국 망명 당시 김 제1 위원장의 생모인 고용희의 치료를 주선하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자신의 처가 미국의 의학 수준이 높다며 희망을 품었다는 것입니다. 유선암 진단을 받은 고용희는 2004년 6월 프랑스 파리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습니다.
리 씨는 이와 함께 `KBS'와의 인터뷰에서는 처와 함께 스위스에 머물 당시 10대였던 김 제1 위원장과 여동생 김여정의 뒷바라지를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자신과 아내가 유학 중인 유년기의 김정은과 김여정의 숙식을 돌본 게 사실이며 김정은은 운동을 좋아했고, 김여정은 사람들과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성격이었다고 기억했습니다.
리 씨는 김 제1 위원장이 고모부인 장성택을 처형한 것과 관련해 `KBS'와의 인터뷰에서는 답변을 피했지만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는 ‘상상이 안 간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김 제1 위원장의 배다른 형인 김정남과 그의 아들 김한솔이 장기간 해외에 머물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장성택 부장이 이들을 책임져 자신들은 간섭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김정남은 북한에서는 없는 존재’라고 표현했습니다.
리 씨는 또 논란이 된 김 제1 위원장의 생모의 이름은 고영희가 아니라 고용희가 맞고, 이모, 그러니까 자신의 처의 이름은 고용숙이라고 말했습니다. 자매의 이름의 돌림자가 한자로 ‘얼굴 용(容)’자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첫 번째 부인의 언니인 성혜랑과 딸 부부는 프랑스로, 아들 이한영은 1980년대 초반 한국으로 망명했습니다.
또 리 씨 부부마저 미국으로 망명해 김 제1 위원장의 가까운 친인척의 상당수가 해외를 떠돌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박병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