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헬로서울] 함경도 전통 퉁소 계승 연주·토론회 열려


북한 함경도의 독특한 전통 퉁소 음악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주회와 토론회가 23일 서울 이북오도위원회 통일회관에서 열렸다.
북한 함경도의 독특한 전통 퉁소 음악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주회와 토론회가 23일 서울 이북오도위원회 통일회관에서 열렸다.

‘퉁소’는 한민족의 전통악기인데요, 특히 함경도는 전통적으로 많은 퉁소 명인들이 배출된 곳입니다. 북한에서는 거의 전승이 끊겼고, 한국에서는 피란민들에 의해 겨우 명맥이 유지되고 있는데요, 이 퉁소를 다시 되살려 계승하고 보존하기 위한 연주회와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한반도 통일과 북한, 탈북민들과 관련한 한국 내 움직임을 살펴보는 ‘헬로 서울,’ 서울에서 박은정 기자입니다.

[헬로서울 오디오] 함경도 전통 퉁소 계승 연주·토론회 열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6:09 0:00

[녹취: 현장음]

23일, 이북오도위원회 통일회관 중강당에서는 퉁소 연주회와 토론회가 열렸는데요, 퉁소는 조선시대에 향악, 당악 편성의 궁중음악 연주에 두루 쓰였던 한민족의 전통악기입니다. 특히 함경도는 전통적으로 많은 퉁소 명인들이 배출된 곳인데요, 함경도 지역의 독특하고 수준 높은 퉁소음악을 계속해서 전승하고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함경북도민속예술보존회와 한국퉁소연구회가 함께 이번 행사를 기획했습니다. 이북오도위원회 함경북도 사무국장 강성조 씨입니다.

[녹취: 강성조, 이북오도위원회 함경북도 사무국장] “이번 포럼은 함경북도, 함경남도의 함경도 지방의 독특한 퉁소문화를 전승하고 발전시켜보자는 취지로 기획을 하게 됐고요, 이것을 통해서 우리 민족악기인 퉁소의 위상을 찾아가는 사회적 공감대로 조성을 하고 퉁소문화 계승을 통해서 우리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자는 차원에서 추진을 하게 됐습니다.”

[녹취: 현장음]

개막식을 거쳐 퉁소 연주회가 이어졌는데요, 함경도 지역의 박달퉁소 명곡인 영산길주도르름 연주를 시작으로 중국 연변 박달퉁소예술단 합주와 한범수류 튱애 산조, 그리고 함경도의 민속놀이까지 다양한 퉁소 공연을 펼쳤습니다.

[녹취: 현장음]

분단 이후 북한에서는 퉁소 전승이 거의 끊겼고,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 이후 자취를 감춰오다, 오늘날 북청사자놀이에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중국에서는 연변 지역의 동포들을 중심으로 복원 노력과 연주 활동이 활발히 이어지고 있는데요 연변에서 온 박달퉁소예술단의 량영자 단장입니다.

[녹취: 량영자, 중국 연변 박달퉁소예술단장] “박달퉁소예술단은 23인이에요. 김호국이라는 그 분이 박달퉁소를 깎아서 만들어서 지금 한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없어졌어요, 이 박달퉁소가. 그래서 남희철 교수님이 박달퉁소를 계속 계승하기 위해서 우리한테 증정했어요. 단장님이 돌아가셔서 그게 끊어졌어요. 지금 밑에서 하는 분들이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어요. 다음에는 다시 연습해서 다시 올게요.”

함경도 민속놀이인 애원성과 두만강 뗏목놀이는 한국의 무형문화재 이수자들이 공연했는데요, 애원성 이수자 김백광 씨입니다.

[녹취: 김백광, 퉁소 연주자] “남도민요나 경기민요 같은 것보다도 꾸밈음들이 그렇게 많지가 않아요. 그래서 담백하고, 그러면서도 다른 노래보다 신나는 것들도 있고 그래서 재미있게 구성을 하고 있죠. 함경도 지역의 노래나 이런 것들을 보면, 다른 지역을 보면 피리, 대금 이런 것들을 쓰는데, 이 쪽은 제일 많이 쓰는 악기가 퉁소예요. 그래서 퉁소를 주로 선율로 하고, 징하고 장구 반주로 들어가죠.”

한편, 중국 연변대학교의 남희철 교수는 소장하고 있는 전통 박달퉁소를 이북오도위원회 함경북도에 기증해, 이날 기증식이 함께 열리기도 했습니다.

[녹취: 현장음]

[녹취: 남희철, 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조선에 있었던 악기가 중국에 들어가서 계승되다가, 끊겨서 한동안 잠적됐다가, 제자인 김호국 씨가, 자기 스승이 연주를 하는데, 박달퉁소를 연주하더라, 이런 얘기를 해요. 그러면 그걸 복원할 수 있느냐고 했더니, 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래서 복원한 악기인데, 함경도 분들이, 한국에 계시는 분들이, ‘정말 우리 선조들이 옛날에는 대나무가 귀했지만, 악기를 불어야겠으니, 대신 구한 게 박달나무다, 우리 선조들이 이것을 불었으니, 오늘날 우리들도 이 악기를 되살려서 불어야겠구나.’ 하고 공부해 나갔으면 하는 그런 바람이 있습니다.”

연주회에 이어서는 박달퉁소와 북한의 퉁소음악, 그리고 한국 퉁소의 전통과 음악문화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이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북한의 퉁소문화에 대해 주제발표에 나섰습니다.”

[녹취: 이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북한 지역에서 함경도가 퉁소의 고장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북한 내에서는 함경도 퉁소의 연주가 그리 많이 진행되는 것 같지는 않아요. <혁명을 위하여>라는 새로운 창작곡 같은 데 퉁소가락이 쓰이기도 했지만, 사실은 전통적인 퉁소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모습은 보여지지 않거든요. 그러니까 남한 쪽에 내려온 피란민들에 의해서 전승되고 있는 북한의 퉁소음악 문화가 굉장히 소중하고, 북한지역에도 아마 녹음돼 있는 자료는 많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한민족이 힘을 합쳐서, 굉장히 전투적이고, 낙천적이고, 아름다운 이 퉁소음악 문화를 가꿔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행사가 열린 통일회관 입구에서는 이날 기증 받은 박달퉁소와 명인들의 퉁소, 대‧소 퉁소 등의 다양한 퉁소 전시회를 함께 진행했습니다. 이번 연주회와 토론회를 계기로 이북오도위원회 함경북도는 퉁소문화가 대중화 되고, 나아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박은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