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심층취재] 미국 내 탈북자들 “새 한국 대통령, 미한동맹-안보강화 기대”


문재인 한국 대통령 당선인이 9일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진행된 '시민들과 함께하는 개표방송'에서 지지자들의 손을 잡고 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 당선인이 9일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진행된 '시민들과 함께하는 개표방송'에서 지지자들의 손을 잡고 있다.

미국 내 탈북자들은 새 한국 대통령에게 더욱 굳건한 미국과 한국의 동맹을 바탕으로 북한 핵과 인권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또 한반도 평화를 위해 더욱 강력한 안보정책을 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매주 깊이 있는 보도로 한반도 관련 주요 현안들을 살펴보는 심층취재, 김현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한국의 제19대 대통령에 대한 미국 내 탈북자들의 기대는 한결 같았습니다. 더욱 굳건한 미-한 동맹을 바탕으로 대북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의 핵과 인권 유린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겁니다.

지난 2014년 탈북해 시카고에 거주하는 김해성 씨는 새 한국 정부가 북 핵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의 공조를 더욱 강화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탈북자 김해성] “한국의 새 정부는 한-미 동맹의 굳건한 힘을 바탕으로 북한을 압박하고, 특히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미국과 함께 공조해 나감으로써, 북한이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에 대항을 못 하게끔 해주길 바랍니다.”

6년 전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 제시카 김 씨도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할 절호의 기회라며, 새 한국 대통령은 미국과 공조해 트럼프 행정부 임기 중 북 핵 문제를 꼭 해결하기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탈북자 제시카 김] “지금 트럼프가 들어앉아서 김정은을 압박하지 않습니까? 이게 기회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압박할 때 같이 협력해서 압박했으면 좋겠습니다.”

탈북자들은 또 미-한 동맹을 초석으로 강력한 안보정책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지켜주길 간절히 호소했습니다.

미 남부에 정착해 사는 탈북 난민 아브라함 조 씨는 새 한국 정부가 한반도 문제 해결의 주인으로서 출범 직후부터 좀 더 강력한 지도력을 갖고 북한을 다뤘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탈북자 아브라함 조] “군 기강도 바로잡고 북한이 언제든지 도발하면 징벌할 수 있는 강력한 안보를 구축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국민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데 지장이 없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

탈북 난민들의 미국 정착을 지원하는 단체인 ‘재미탈북민연대’의 조진혜 대표도 북한에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이 주도해 대북억제력 강화에 힘써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탈북자 조진혜] “김정은이나 북한 정부에 끌려 다니는 맥없는 그런 대통령이 되지 마시고 북한이 잘못했을 때, 북한이 한국을 위협했을 때 북한에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전쟁을 불살라서라도 국민을 대표해서 북한에 당당히 맞서는 대통령이 되시길 바랍니다.”

탈북자들은 특히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 배치를 유지해 북 핵 위협에 대응하는 강력한 억지력과 방위력을 구축해 주길 호소했습니다. 미주탈북자선교단체 마영애 대표입니다.

[녹취: 마영애 미주탈북자선교단체 대표] “대한민국의 사드는 대한민국의 사활적 문제입니다.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고, 시도 때도 없이 핵실험을 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을 보호하는 차원에서라도 사드는 꼭 배치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브라함 조 씨는 한국이 사드 배치에 따르는 10억 달러가량의 비용을 부담해서라도 사드 배치는 꼭 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녹취: 탈북자 아브라함 조] “사드 배치해야죠. 미사일 방어를 해서 국민을 보호해야지, 그걸 왜 반대합니까? 백기 들고 투항하자는 겁니까? 북한에서 핵이 고도화되고 정밀화되는데 거기에 대비해 대비태세를 갖춰야지. 국민을 위해 아까운 게 뭐가 있습니까? 생명을 잃은 후에 무슨 중요한 게 있습니까?”

탈북자들은 한국 내 탈북자들의 인권과 처우 개선에도 한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한국에 정착했다 지난 2010년 미국에 온 탈북자 김영희 씨는 탈북자들이 한국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취업에서 차별을 받지 않도록 개선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영희 씨는 “정착의 힘은 교육인 것 같다”며 “새터민들이 교육을 마음껏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010년 러시아에서 미국에 난민으로 입국한 앤드류 조 씨도 새 대통령이 탈북자들의 목소리 하나하나에 귀 기울여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들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제3국이나 다른 나라로 망명하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

[녹취: 탈북자 앤드류 조] “3만 명의 탈북자들이 남한에 정착을 제대로 못 하고 세계나라로 망명하거나 한국사회에서 물의를 일으키거나 하는 거는 북한이 원하는 거예요. 남한에서 탈북자들에 대한 일자리 문제나 삶, 자발적으로 정착하고 나갈 수 있도록 교육하고 가르쳐 주길 바랍니다.”

실제로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이후 이민으로 출국한 탈북자는 33명, 제3국에 위장 망명을 신청해 보호가 중지된 탈북자도 53명에 이릅니다.

마영애 대표도 한국 내 탈북 청년들이 취업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녹취: 탈북자 마영애] “탈북자라는 이유로 우리가 주요 기관에 들어갈 수 없고, 대기업에 들어갈 때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대한민국에 정착하고 있는 탈북 청소년과 청년 문제에 많은 관심을 보여줄 것을 부탁드립니다.”

탈북자들은 북한 주민들은 대부분 인권이라는 개념조차 모르고 살아가고 있다며, 새 한국 정부가 이들의 인권 개선을 위해 앞장서 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탈북자 김해성 씨는 특히 북한 주민들이 지금 절실히 필요한 것은 식량이 아니라 정보라며, 새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도록 노력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녹취: 탈북자 김해성] “대북 정보 유입이 들어가야지, 대북 지원을 하는 것은 북한 사람들이 핵 개발을 한 것을 잘했다고 생각하게끔, 그들에게 자부심만 느끼게 하는 겁니다.”

난민 자격으로 10년 전 미국에 입국한 탈북 대학생 조은혜 씨는 새 한국 정부가 북한에 정보를 보내는 탈북단체에 지원은 못해 줄 망정 반대는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탈북자 조은혜] “정보를 보내는 이유는 우리가 이렇게 자유롭게 사니까 당신들이 사상을 바꾸고, 올바른 사상을 보내서 나중에 통일이 됐을 때 갈등이 생기지 않도록 정보를 보내는 거거든요. 이런 부분에서 한국 정부가 지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탈북자들은 이밖에 김대중 대통령 정부 시절 햇볕정책 같은 대북 지원정책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되며, 김정은 정권과의 조건 없는 대화에도 적극적으로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VOA 뉴스 김현진 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