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정권의 선전전에 이용당하고 있다고 전직 미 관리들이 지적했습니다. 천안함 폭침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을 백악관으로 불러 함께 환하게 웃는 모습은 북한 정권의 선전에 승리를 안겨주고 있다는 겁니다. 일부 전직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핵화보다 종전선언 등 부수적인 과정에 집중해 과거 실패했던 전례를 따라가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부시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국장을 지낸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1일 ‘트위터’에 “한국이 너무 빨리 움직여 미국을 상자 안에 넣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차 석좌는 문재인 한국 대통령의 종전 선언 제의를 너무 이른 시기에 양보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하는 행정부 내 일부 관리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일 것으로 보인다는 ‘워싱턴포스트’ 신문 기자의 글을 올리며 이 같은 우려를 보였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은 최대 압박을 약화시키기 위해 제재를 완화하고, 평화 협정 체결은 한국과 중국이 북한의 사회 기반시설 확충에 대한 기금 지원을 서두르게 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모든 게 북한의 비핵화 없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겁니다.
차 석좌는 2일 ‘뉴욕타임스’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상자 안에 갇힌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우려스럽다며 협상이 잘 안 돼 다시 대북 제재로 돌아가려 해도 한국과 중국은 따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일부 전직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정권의 프로파간다-선전전에 이용당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현직 미 지도자들이 과거 적대국 지도자를 만났을 때 표정과 행동 하나하나에 매우 신중을 기했던 전례와 달리 트럼프 대통령은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을 만나 환하게 웃는 등 우려스러운 모습을 보인다는 겁니다.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워싱턴포스트’ 신문에 이런 우려를 나타내며 “데이트가 너무 빠르다는데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외부에 보여주기 식 행보를 통해 북한 정권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모든 것을 얻었다는 겁니다.
빌 리처드슨 전 유엔주재 미국 대사도 이 신문에 비슷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웃으며 찍은 사진은 북한 내부에 두 지도자가 동등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배포될 것이란 겁니다.
실제로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 홈페이지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시진핑, 문재인, 마이크 폼페오 국무부 장관 등을 만나 악수를 하는 사진이 가장 앞면에 게재돼 있습니다.
빅터 차 석좌 등 여러 전직관리는 또 트럼프 대통령과 김영철 부위원장의 회동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는 주류 언론 기자들의 비판 기사와 트윗을 리트윗하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미 대통령이 동맹국인 한국의 천안함을 폭침시켜 46명 살해를 감독했고 악명 높은 정치범 수용소를 운영하며, 미 영화사 소니 해킹까지 주도한 김영철 부위원장 옆에서 환하게 웃고 있는 게 매우 부적절하다는 ‘CNN’, ‘BBC’ 등 여러 기자의 비난에 공감을 표시한 겁니다.
‘워싱턴포스트’ 신문은 과거 북한에 억류된 여기자 구출을 위해 평양에서 김정일 국무위원장을 만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수행원들에게 웃지 말라고 주의를 줬고 지난 2016년 쿠바를 방문한 바락 오바마 대통령은 기자회견장에서 함께 손을 치켜 올리며 승리를 과시하려는 라울 카스트로 국가평의회 의장의 제의를 뿌리쳤다고 지적했습니다.
모두 상대의 정치적 선전에 이용당하는 것을 경계해 이런 조치를 취한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우려입니다.
대니얼 러셀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워싱턴포스트’ 신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를 뉴욕의 부동산 거래하듯이 생각하고 있다며 현안보다 개인적 친분과 신뢰부터 쌓아 자신의 카리스마로 상대를 유화적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직 관리들은 또 최근의 진행 상황을 보면 비핵화에 집중하기보다 종전 선언과 평화 협정 등 부수적인 게 앞서고 있다며 이는 과거 실패를 했던 행보와 아주 비슷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러셀 전 차관보와 차 석좌는 클린턴과 부시 전 대통령이 과거에 실패했던 전례를 트럼프 대통령이 따르고 있다며, 지금 하는 것들이 과거에 이미 했던 것이란 것을 트럼프 대통령이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