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뉴스해설] 중국 대북 제재 갈수록 이완 전망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중국 당국의 대북 제재가 느슨해질 것을 우려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중국의 제재 완화는 북 핵 협상에서 미국의 지렛대가 약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반도 현안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뉴스 해설’, 윤국한 기자와 함께 합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정부의 대북 제재와 관련해 무슨 얘기를 한 건가요?

기자) 중국의 대북 제재가 최근 들어 느슨해지고 있어 우려된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에서 열린 공화당 선거유세에서 대북 제재와 관련해 “중국이 더 이상 우리를 돕지 않을지도 모른다”며 “그 것은 애석한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지난 21일 열린 각료회의에서는 “유감스럽게도 현재 북-중 국경이 조금 약해졌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이 왜 이런 발언을 한 건가요?

기자) 북-중 간 세 차례 정상회담과 미-북 정상회담 이후 북-중 국경 지역에서 이미 제재 이행이 느슨해진데다, 앞으로 이런 상황이 계속될 가능성을 경고한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중국의 대북 제재 완화가 미-북 핵 협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진행자) 북-중 국경 지역에서 실제로 제재가 느슨해진 상황인가요?

기자)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그런 상황이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국 당국이 유엔 안보리의 제재와는 별도로 취했던 조치들이 완화되고 있다는 겁니다. 가령, 화학과 금속 제품 등 안보리 제재 품목이 아니지만 중국이 막았던 물품의 거래가 상당히 풀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유엔의 제재로 수출이 금지된 북한산 해산물 판매가 눈에 띄게 늘어났고, 북한인 노동자 고용도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진행자) 단둥 등 국경과 인접한 중국 도시들은 부동산 가격이 들먹일 정도로 활기를 띠고 있다는 보도도 있던데요?

기자) 단둥과 신의주를 잇는 신압록강대교를 완전 개통하기 위한 북측 지역 공사가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 때문에 대교와 인접한 중국 측 지역들에서 그런 분위기가 있다는 겁니다. 이들 지역에서 비공식 무역이 공공연하게 성행하고 있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진행자) 이런 상황이 중국 당국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건가요?

기자) 그런 건 아닙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의 세 차례 만남이 북-중 간 비공식적인 경제협력을 추진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중국 중앙정부는 여전히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있지만, 지방정부와 민간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두 나라 최고 지도자들의 잇따른 만남이 대북 제재 이완의 신호탄이 됐다는 지적입니다.

진행자) 중국 정부도 공식적으로 대북 제재 완화를 주장하고 있지 않은가요?

기자) 네, 시 주석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경제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재와 무관한 인도적 지원과 교역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또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한 점을 들어 안보리 대북 결의의 변경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중국 당국은 이미 북한 고려항공의 정기노선을 확대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나요?

기자) 그렇습니다. 고려항공이 내일(28일)부터 주 2회 평양-청두 직항노선을 신설하고, 다음달 중에는 평양-시안 노선도 열립니다. 이로써 고려항공의 중국 내 노선은 베이징 상하이 선양에 이어 5개 도시로 확장되고, 이에 맞춰 중국인들의 북한 관광이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진행자) 중국의 대북 제재는 시간이 갈수록 느슨해지지 않을까요?

기자) 미-북 간 핵 협상이 계속되는 한 그럴 겁니다. 더구나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점차 악화되고, 북-중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중국이 미국의 대북 제재에 적극 협조할 이유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진행자) 중국의 이런 기류에 대해 미국은 어떤 입장인가요?

기자) 미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 제재가 완화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정상회담을 전후해 대북 `최대 압박’이란 말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재 완화로 북한과의 핵 협상에서 중요한 지렛대가 약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현안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뉴스 해설’ 이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