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가 14년 연속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에 대한 책임 규명과 처벌을 강조했습니다. 이연철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총회가 17일 전체회의를 열고 북한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합의(consensus) 방식으로 채택했습니다.
[녹취: 현장음]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DPRK, the third committee adopted draft resolution one without the vote. May I take assembly wishes the same....It is so decided….”
이로써 북한인권결의안은 지난 2005년부터 14년 연속 유엔총회에서 채택됐습니다.
특히 2012년과 2013년, 그리고 2016과 2017년에 이어 5번째로 결의안이 표결 없이 합의 방식으로 처리됐습니다.
합의 방식은 투표를 거치지 않는 의사결정 방식으로, 개별 국가들이 합의에 불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장일치와는 다른 형식입니다.
앞서 북한인권결의안은 지난달 15일 유엔총회에서 인권을 담당하는 제3위원회에서도 합의 방식으로 채택됐습니다.
일본과 유럽연합이 공동 작성하고 미국과 한국 등 61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올해 북한인권결의안에는 북한 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ICC) 회부와 책임자 처벌이라는 강도 높은 표현이 5년 연속 포함됐습니다.
결의안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북한에서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유린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명시했습니다.
그러면서 고문과 그 밖의 가혹행위, 강간과 공개처형, 자의적 구금, 법치의 결여, 정치적 종교적 이유에 따른 사형선고, 연좌제, 강제 노동 등이 계속되고 있다는 보고들에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또한 북한 당국이 반인도 범죄에 해당하는 범죄 등 인권 유린의 책임자들을 기소하지 않는 것에도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는 그 같은 범죄가 처벌 받지 않고 넘어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유엔 안보리가 북한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인권 유린에 가장 책임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을 겨냥한 맞춤형 제재 개발을 검토하는 등 북한 인권 유린의 책임 규명과 처벌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밖에 올해 결의안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외교적 노력을 환영한다는 내용이 새로 들어갔습니다.
북한 정부에 대해서는, 모든 인권 유린을 중단하고, 정치범 수용소를 즉각 폐쇄한 뒤 모든 정치범들을 석방하라고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유엔주재 북한대표부의 김성 대사는 이날 결의안 채택 전 발언을 통해 강력히 반발했습니다.
[녹취: 김성 대사] “My delegation totally and categorically reject the draft resolution contained in the document…”
김 대사는 이번 결의안이 북한의 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북한의 정치 사회제도를 전복하려는 적대세력의 정치적 음모라고 주장하면서, 결의안을 완전하고 전면적으로 거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 이란, 베네수엘라, 쿠바 등 일부 국가들은 개별 국가의 인권 문제를 다루는데 반대한다는 이유를 들어 북한인권결의안에 대한 ‘합의’에 동참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편 수단은 이날 북한인권결의안 초안 내용 중에서, 북한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을 유엔 안보리에 권고하는 조항을 삭제할 것을 요구하는 수정안을 제출했지만 찬성 19표, 반대 95표, 기권 43표로 부결됐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