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에서 나오는 강경한 입장을 북한에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한국이 미국과 같은 대북 정책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카니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헤리티지지단이 10일 ‘한반도에서의 다음 단계’라는 주제로 연 토론회에서 이번 미한 정상회담을 토대로 북한 비핵화 협상의 동력을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스콧 스나이더 미 외교협회 선임연구원은 특히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듣게 될 미국의 비핵화 의지와 제재 해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북한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스나이더 연구원] “He can hear from trump what we’ve heard from Pompeo: that there is no sanctions relief until after we are on a pathway to denuclearization, and he can take that message to Pyongyang.”
문재인 대통령은 폼페오 국무장관이 줄곧 해왔던 얘기를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듣게 될텐데 그것은 바로 비핵화의 길로 나아가지 않는 이상 제재 해제는 없다는 얘기라는 설명입니다. 문 대통령은 이 메시지를 평양에 들고 가야 한다고 스나이더 연구원이 덧붙였습니다.
스나이더 연구원은 또, 미국과 북한 사이에 여전히 비핵화 정의와 완전한 비핵화 방안에 대한 격차가 크다면서, 문 대통령은 미국 입장을 토대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다시 나오도록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박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는 미한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북한에 줄 양보들을 거론하기보다 한국은 미국과 같은 대북 정책을 갖고 있다는 점을 보여 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정 박 석좌] “It also shows North Korea that it can’t separate or create cleaves within and between our alliances and with our partners and to know that the sanctions regime continues to be in place.”
강한 미한 동맹을 강조함으로써 북한이 동맹국과 파트너 간 균열을 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고 제재 국면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박 석좌는 이어 미국과 한국은 향후 북한의 대외 정책 기조에 빠르게 대비할 수 있는 전략들을 세워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헤리티지 재단의 올리비아 에노스 연구원은 미국과 한국은 비핵화 협상이 진행됨에 따라 북한의 인권 문제를 거론하는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면서, 북한의 인권 문제는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연관돼 있기 때문에 별개로 다뤄선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VOA 뉴스 김카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