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에 외국 투자 누계 40억 달러 수준”


[VOA 뉴스] “북한에 외국 투자 누계 40억 달러 수준”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2:29 0:00

북한에 대한 외국인의 직접투자 누계 규모가 40억 달러 수준밖에 되지 않는데, 북한이 외국 투자 주체와의 계약을 제대로 지키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북한에는 시장 자본주의도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김영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출판사가 발간한 ‘아시안 퍼스펙티브’ 2019년 여름호에 “북한의 특징에 기반한 아래로부터의 자본주의”라는 글이 실렸습니다.

피터 워드와 안드레이 란코프, 김지영 등 3명의 공동저자는 이 글에서 북한에 유입된 외국인 직접투자 (FDI) 규모가 누계 기준으로 4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2015년까지 중국이 북한에 투자한 10억 달러와 2016년까지 개성공단에 투자된 10억 달러, 금강산 관광에 투자된 15억 달러 등 총 35억 달러에, 북한의 라진과 러시아의 하산을 잇는 철도 사업에 러시아가 투자한 금액과 중국 외 다른 나라 투자자들이 투자한 소규모 사업의 금액을 합할 경우 40억 달러에 달한다는 겁니다.

이런 규모는 한국은행이 추정한 북한의 지난해 국내총생산 GDP 290억 달러의 13퍼센트에 해당합니다.

저자들은 주로 정책적 투자를 하는 한국과 중국을 제외하고는, 북한에 투자하는 나라가 놀라울 정도로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2011년 김정은 위원장이 정권을 승계한 뒤 외국인 투자를 늘리기 위한 정책을 선보이기도 했지만,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북한 정권은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경제특구 25개를 지정했지만, 외국인 투자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핵과 미사일 시험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 제재와 외국인 투자에 대한 북한 당국의 비현실적인 기대가 큰 이유였습니다.

북한 당국은 투자를 조금만 하고도 해당 사업 전체를 통제하려 든다는 겁니다.

저자들은 또 지난 25년간 북한이 고강도 ‘스탈린주의’ 국가에서는 보기 드문 ‘복합 형태’의 경제를 보이는 나라로 변해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공식적인 사유화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고 형식상 모든 생산물의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되지만, 북한은 더 이상 기존의 ‘계획경제’ 국가가 아니라는 겁니다.

자본주의 국가처럼, 생산물과 노동력, 자본 등이 유통되는 시장의 역할이 자원 분배와 소비, 그리고 계층 형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VOA 뉴스 김영교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