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감행할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2017년의 강경 노선으로 급선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억제력과 외교력 등을 동원해 북한을 압박할 것이라는 건데, 북한의 도발 의도를 면밀히 파악한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김동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미 국익연구소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장은 19일 VOA에, 트럼프 행정부는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발사를 북한이 넘지 말아야 할 선, ‘데드라인’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일이 벌어지면 한동안 외교의 문은 닫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해리 카지아니스 / 미 국익연구소 국장
“ICBM은 이 정부에겐 ‘금지선’입니다. 복수의 정부 고위 관리들이 그렇게 말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ICBM을 시험하면 적어도 1년은 외교가 없을 겁니다.”
그리고 2017년처럼 강경 노선으로 돌아가 전략 자산 한반도 전개와 연합훈련 재개, 인권 문제 제기 등 전방위 압박을 가할 것으로 카지아니스 국장은 전망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 등 외교적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크리스토퍼 힐 /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안보리 결의안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다른 국가들과 협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독자적 행동으로는 역내에 함정을 보낼 수 있는데 이전에 했던 것입니다.”
힐 전 차관보는 특히, 중국도 북한의 ICBM 시험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며, 그런 일이 일어날 경우 중국과 적극 협력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화염과 분노’의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내 미국 민간인 철수를 지시하려 했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 해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
“브룩스 사령관은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민간인 소개령을 지시했던 것이 거의 우발적인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위협이 현실화 될 경우 미국이 취할 수 있는 선택지를 묻는 VOA의 질문에 말을 아꼈습니다.
다만, 북한은 협상에 앞서 입지 강화를 위해 무력시위에 나서는 경우가 많았다며, 북한의 무력시위에 대해선 항상 그 의도를 면밀히 살펴 대응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뉴스 김동현입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미 국익연구소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장은 19일 VOA에, 트럼프 행정부는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발사를 북한이 넘지 말아야 할 선, ‘데드라인’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일이 벌어지면 한동안 외교의 문은 닫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해리 카지아니스 / 미 국익연구소 국장
“ICBM은 이 정부에겐 ‘금지선’입니다. 복수의 정부 고위 관리들이 그렇게 말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ICBM을 시험하면 적어도 1년은 외교가 없을 겁니다.”
그리고 2017년처럼 강경 노선으로 돌아가 전략 자산 한반도 전개와 연합훈련 재개, 인권 문제 제기 등 전방위 압박을 가할 것으로 카지아니스 국장은 전망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 등 외교적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크리스토퍼 힐 /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안보리 결의안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다른 국가들과 협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독자적 행동으로는 역내에 함정을 보낼 수 있는데 이전에 했던 것입니다.”
힐 전 차관보는 특히, 중국도 북한의 ICBM 시험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며, 그런 일이 일어날 경우 중국과 적극 협력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화염과 분노’의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내 미국 민간인 철수를 지시하려 했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 해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
“브룩스 사령관은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민간인 소개령을 지시했던 것이 거의 우발적인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위협이 현실화 될 경우 미국이 취할 수 있는 선택지를 묻는 VOA의 질문에 말을 아꼈습니다.
다만, 북한은 협상에 앞서 입지 강화를 위해 무력시위에 나서는 경우가 많았다며, 북한의 무력시위에 대해선 항상 그 의도를 면밀히 살펴 대응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뉴스 김동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