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내 미군 기지에 대한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계기로 이란과 북한의 미사일 기술 협력이 새삼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북한은 오래 전부터 이란에 미사일과 관련 장비, 기술을 팔아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시영 기자입니다.
이라크 내 미 공군 기지에 8일 15발의 미사일 공격을 가한 이란의 탄도미사일 전력에는 북한의 기술과 장비가 적지 않은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란은 사거리 1,700km의 EMAD 중거리 미사일과 고체연료 기반의 사거리 290km M-11 배리언트(Variant) 단거리 미사일 등 다양한 제원의 탄도미사일을 실전배치하고 있습니다.
또 북한이 2005년 판매한 것으로 알려진 사거리 2,500km의 노동 B형 중거리 탄도미사일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란의 탄도미사일 역량이 이처럼 위협적일 수 있었던 데는, 북한이 단순히 미사일을 판매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기간에 걸쳐 관련 기술을 이전한 것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은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에 스커드 미사일을 제공했고, 이를 계기로 양국은 탄도미사일 기술에 관한 상호 협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미 정보당국은 “이란에 대한 북한의 지속적인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과 부품 수출이 이란의 군사력을 질적으로 향상시켰고, 이란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자국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자체 개발 목표 달성에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양국의 탄도미사일 기술 협력은 최근까지도 계속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국방부는 지난해 1월 공개한 ‘미사일 방어 검토보고서’에서, 북한이 이란과 시리아 등 다른 나라들의 미사일 프로그램을 돕는 과정에서 추가로 미사일 기술 판매를 시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의 휴 그리피스 조정관도 지난해 3월 미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비확산소위원회 청문회 증언에서 북한과 이란의 탄도미사일 협력 정황을 전했습니다.
탄도미사일 등 북한의 무기 거래를 담당하는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관계자들이 이란 테헤란 주재 북한대사관에 상주했었다는 겁니다.
앞서 미 국방장관이 2012년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는 북한을 이란에 대한 핵심 미사일 판매국 가운데 하나로 꼽았습니다.
또 2010년 미 국방부가 발표한 ‘탄도미사일 방어계획 검토보고서’는 전 세계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해 북한-이란 간 협력 현황에 가장 많은 양을 할애하기도 했습니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과 이란이 오랫동안 거래관계를 이어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란은 돈이 있고, 북한은 그 돈이 필요했으며, 이 때문에 북한은 보유하고 있는 군사 기술과 장비를 이란에 팔아 외화를 벌어왔다는 겁니다.
[녹취: 브루스 베넷 /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 “it's a business relationship with them as much as any, you know it's it is not as much political as it is business. The bottom line is, Iran has money and North Korea needs money. So North Korea can sell military and technology military equipment to Iran and make money.”
베넷 선임연구원은 자신이 국방부로부터 들은 바에 따르면, 이란의 이번 미군 기지 공격에 과거 북한이 이란에 팔았던 수 백 기의 스커드 미사일 중 일부가 사용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브루스 베넷 /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 “North Korea sold Iran several hundred Scud missiles. And the missiles that were fired at least what little I've heard from the Defense Department sounds like they were scud missiles.”
베넷 선임연구원은 탄도미사일뿐 아니라 관련 생산 시설과 기술도 북한이 제공했을 것이라며, 북한과 이란 간 미사일 협력은 일종의 “불량 야합(Rogue Cartel)”이라고 말했습니다.
VOA뉴스 김시영입니다.
독자 제보: VOA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사화를 원하는 내용을 연락처와 함께 Koreanewsdesk@voanews.com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뉴스 제작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제공하신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