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우크라이나의 친러시아 지역 재건 사업에 북한 노동자들이 참여할 수 있다는 러시아 측 발언은 우크라이나 주권에 대한 모욕이라며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또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최근 한국 방문 중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에 책임을 묻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동남부 돈바스 지역 재건에 북한 노동자들이 투입될 수 있다는 러시아 측 발언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돈바스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루한시크인민공화국(LPR)의 재건을 북한의 건설 노동자들이 지원할 수 있다는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의 구상이 대북 제재 위반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습니다.
[녹취: 프라이스 대변인] “I couldn’t speak to specific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but it certainly is an affront to the sovereignty of Ukraine. The Donbass, eastern Ukraine belongs to Ukraine and Ukraine alone. Decisions about who should be there, decisions about projects that should be ongoing there, those are decision for the Ukrainian government, not for any other government.”
프라이스 대변인은 “특정한 유엔 안보리 제재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지만, 이것은 분명히 우크라이나의 주권에 대한 모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크라이나 동부의 돈바스는 오직 우크라이나에만 속해 있다”며, 그 곳에서 누가 어떤 계획을 추진할 지는 다른 정부가 아니라 우크라이나 정부가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마체고라 대사는 앞서 18일 러시아 일간 ‘이즈베스티야’와 인터뷰에서 북한과 돈바스의 친러시아 공화국들간 협력 가능성이 상당히 폭넓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어려운 환경에서도 일할 준비가 돼 있는 양질의 북한 건설 노동자들은 (돈바스의) 파괴된 기간시설과 산업시설을 복구하는 과제 해결에서 아주 중요한 지원군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의 에릭 펜튼 보크 조정관은 이날 VOA의 서면 질의에 “북한 노동자들의 해외 고용은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 2397호 위반”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재무장관 방한, 양국 경협∙러시아 논의
한편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19일 한국을 방문했을 당시 대북 제재를 다뤘느냐는 질문에 프라이스 대변인은 즉답을 않은 채 미국과 한국의 경제 협력이 논의됐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프라이스 대변인] “She did recently have a meeting with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economy Choo Kyung-ho. She of course spoke about the close alliance between the U.S. and our ROK ally. She at some length discussed the friendship and the alliance and the partnership between the American people and the Korean people that has been guided by shared values and shared interests over the course of decades.”
프라이스 대변인은 옐런 장관이 추경호 한국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만나 “미국과 한국간 긴밀한 동맹, 두 나라 국민간 수 십년 동안 같은 가치와 공동의 이익을 기반으로 맺은 우정과 동맹, 협력 관계 대해 길게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세계 경제 10위인 한국이 첨단 기술 상품을 제조해 미국 등 전 세계에 수출하며 세계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옐런 장관이 언급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옐런 장관과 한국 당국자들은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러시아의 책임을 묻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논의했다며, ‘러시아산 유류 가격 상한제’ 등이 포함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지금까지 함께 러시아에 대해 취해온 조치들과 앞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들에 대해 논의했으며, 앞으로도 주요 20개국(G20) 등 국제 포럼들에서 한국과 함께 이 문제를 다룰 것이라고 프라이스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