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21일 백악관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서 대북 전략에 대해 광범위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미 정부 고위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이 고위 당국자는 북한에 대한 과정이 도전적일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최대한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정부 고위 당국자는 19일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전략과 관련해 “목표는 이 과정이 도전적일 것이란 점을 이해하고 여기에 최대한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고위 당국자] “I think the goal here is to understand that this process is likely to be challenging and to give ourselves maximum flexibility in the process, with ultimate goals that we will continue to strive for.”
이 고위 당국자는 이날 21일 열리는 미-한 정상회담에 관한 전화회견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밝힌 북한에 대한 ‘세밀하게 조정되고 실용적인’ 조치가 무엇인지 이번 회담 후 구체적 내용이 발표될 것이냐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바이든 행정부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계속해서 분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외교전략을 공개적으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 고위 당국자] “I think it is unlikely that we will detail our diplomatic strategy in public. I think what we will attempt to do appropriately, first privately and carefully with our allies and subsequently with key interest groups and folks up on Capitol Hill, is underscore our overall approach, our general parameters for how we want to engage, and a general sense of what we'd like to accomplish.”
이어 “우리가 적절하게 시도하려 할 것은 우리의 전반적인 접근방식과 어떻게 관여하고 싶은지에 대한 일반적인 척도, 그리고 달성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분명히 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것들을 “먼저 동맹국들과 비공개적으로 신중하게, 그리고 이후 의회 주요 인사들과 함께 분명히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2018년 미-북 싱가포르 합의를 토대로 한다는 것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의미인지, 또 한국전쟁 종전 선언 가능성도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말을 아꼈습니다.
다만, “우리는 싱가포르 합의뿐 아니라 이전 행정부에서 한 다른 합의들도 기반으로 하려고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이 시점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종전 선언과 같은 특정 사안들에 대해 미리 공개하거나 논평하는 것은 우리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담의 상당 부분이 북한의 도전과, 미-한 양국이 어떻게 (북한과의) 대화에서 함께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는 데 할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반도 비핵화’의 정의를 놓고 논란이 제기된 데 대해 “(의미가) 꽤 명확하다고 생각한다”며 “한반도의 전반적인 지리에 대해 우리가 시도하고 있는 것, 핵 없는 환경이라고 명확히 밝히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 고위 당국자] “I think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pretty clear. And it states clearly what we're attempting on the overall ge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a nuclear free environment.”
이 당국자는 “우리가 (이번 미-한 정상회담을 통해) 하고자 하는 것은 (북한과 관련해)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한국과 관여하는 것”이라며 “여기서 우리의 외교전략을 정확히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이어 “우리는 (대북 전략을) 유연하게 설계하도록 노력했으며, ‘세밀하게 조정된’이라고 표현했듯이 과거의 노력이 어려웠던 부분을 이해하고 과거로부터 배우기로 결심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우리에게 외교적 성공을 위한 최고의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에 대한 “우리의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로 남아 있다”며 바이든 행정부의 기존 입장을 거듭 분명히 했습니다.
미국의 대북정책은 과거 행정부의 노력이 이런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는 점을 이해하고 `일괄타결' 달성에 초점을 맞추지도, ‘전략적 인내’에 의존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겁니다.
또 미국의 정책은 세밀하게 조정된 실용적 접근법을 요구한다며, 이는 북한과의 외교에 열려있고 미국과 동맹국들, 그리고 주둔 미군의 안보를 증진시키는 실질적 진전을 이루기 위한 외교를 모색할 것이라고, 이 당국자는 강조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한국과 긴밀하게 논의해왔고, 또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며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이에 대해 광범위하게 이야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방미는 양국 간 철통같은 동맹을 강조할 것이라고, 이 당국자는 강조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두 번째로 갖는 대면 양자 회담이 한국과 이뤄진다는 사실은 우리의 초점과 한국과의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말한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동맹 강화 방안과 긴밀한 공조 확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출 것이며, 역내 안보와 기술, 보건, 북한 등 많은 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의제가 다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 안보에 대한 미국의 철통 같은 의지와 미-한 동맹이 동북아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 또 전 세계에 걸친 평화, 안보, 번영의 핵심축임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상회담 외 행사에서는 한국전쟁에서 공을 세운 퇴역 미 육군 랄프 푸켓 대령에 대한 명예의 훈장 수여식에 해외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앞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한국, 일본 방문에 이은 이번 정상회담 등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시작된 우리의 가장 중요한 관여의 일부”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역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며 “‘더 나은 재건’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문제 해결, 중국을 포함한 공동의 도전에서 동맹과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은 우리의 전반적인 접근방식의 중요한 구성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