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개성공단 가동 중단 4개월만에 극적으로 정상화에 합의했습니다. 그 그동안 경과를 이연철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지난 4월 8일] "개성공업지구에서 일하던 우리 종업원들을 전부 철수한다."
북한은 지난 4월 8일 개성공단 내 북한 근로자들을 모두 철수시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어 하루 뒤인 9일부터 북한 근로자들이 출근하지 않으면서 개성공단은 가동을 완전히 멈췄습니다.
북한은 한국 정부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한 당국간 실무회담 제의마저 거부했고, 이에 한국 정부는 국민 보호 차원에서 개성공단에 남아있던 한국 측 근로자 전원을 철수시켰습니다. 류길재 한국 통일부 장관입니다.
[녹취: 류길재 장관] " 북한의 부당한 조치로 개성공단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들의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는 바, 정부는 우리 국민 보호를 위해 잔류 인원 전원을 귀환시키는 불가피한 결정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 뒤인 6월6일, 북한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정상화 등을 논의하자면서 당국회담을 전격 제의했고, 한국 정부도 서울에서 장관급 회담을 하자고 화답했습니다.
남북은 곧바로 실무접촉에 나섰지만, 회담을 하루 앞두고 대표단의 `격'을 둘러싼 견해차로 회담 자체가 무산됐습니다.
그리고 공단이 중단된 지 석 달째인 지난 달 4일, 남북한은 다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 개최에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달 6일부터 25일 사이 6차례에 걸친 실무회담에도 불구하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핵심적인 쟁점에 대한 이견을 전혀 좁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중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책임 인정과 구체적인 재발 방지 대책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5차 회담 직후 김기웅 한국 측 수석대표의 기자설명회 내용입니다.
[녹취: 김기웅 한국 측 수석대표] “재발 방지 부분에 대한 입장 차가 가장 크고, 우리 측은 재발 방지 보장을 위해 북한의 확고한 약속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구체적인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한 언급 없이 조속히 공단을 열어야 한다는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북한은 또 공단 가동중단의 책임을 한국에 돌렸습니다.
북한 측 수석대표인 박철수 단장은 개성공단이 파탄되면 공단에 군 부대를 복원할 것이라고 위협했고, 한국 통일부는 북한의 태도에 변화가 없으면 중대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히는 등
긴장이 고조됐습니다.
6차 실무회담이 결렬된 지 나흘 만인 지난 달 29일, 한국 통일부가 북한에 7차 실무회담을 제의했습니다.
한국의 회담 제의에 9일 동안 침묵하던 북한은 지난 7일 14일 7차 회담 개최를 전격 제안했고, 한국 정부가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한국의 당국간 대화 제의에 전향적으로 나온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입니다.
[녹취: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8월14일 개성공단에서 개최되는 실무회담에서 우리 국민 모두가 다 우려하고 있는 개성공단 문제 해결을 위한, 그리고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이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이런 방향으로의 북한에 전향적이고 성실한 태도도 우리가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결국 개성공단 사태는 4개월이 넘는 장기간의 대치와 협상 끝에 14일 남북한이 5개항의 합의서를 채택하면서 막을 내렸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지난 4월 8일] "개성공업지구에서 일하던 우리 종업원들을 전부 철수한다."
북한은 지난 4월 8일 개성공단 내 북한 근로자들을 모두 철수시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어 하루 뒤인 9일부터 북한 근로자들이 출근하지 않으면서 개성공단은 가동을 완전히 멈췄습니다.
북한은 한국 정부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한 당국간 실무회담 제의마저 거부했고, 이에 한국 정부는 국민 보호 차원에서 개성공단에 남아있던 한국 측 근로자 전원을 철수시켰습니다. 류길재 한국 통일부 장관입니다.
[녹취: 류길재 장관] " 북한의 부당한 조치로 개성공단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들의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는 바, 정부는 우리 국민 보호를 위해 잔류 인원 전원을 귀환시키는 불가피한 결정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 뒤인 6월6일, 북한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정상화 등을 논의하자면서 당국회담을 전격 제의했고, 한국 정부도 서울에서 장관급 회담을 하자고 화답했습니다.
남북은 곧바로 실무접촉에 나섰지만, 회담을 하루 앞두고 대표단의 `격'을 둘러싼 견해차로 회담 자체가 무산됐습니다.
그리고 공단이 중단된 지 석 달째인 지난 달 4일, 남북한은 다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 개최에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달 6일부터 25일 사이 6차례에 걸친 실무회담에도 불구하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핵심적인 쟁점에 대한 이견을 전혀 좁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중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책임 인정과 구체적인 재발 방지 대책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5차 회담 직후 김기웅 한국 측 수석대표의 기자설명회 내용입니다.
[녹취: 김기웅 한국 측 수석대표] “재발 방지 부분에 대한 입장 차가 가장 크고, 우리 측은 재발 방지 보장을 위해 북한의 확고한 약속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구체적인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한 언급 없이 조속히 공단을 열어야 한다는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북한은 또 공단 가동중단의 책임을 한국에 돌렸습니다.
북한 측 수석대표인 박철수 단장은 개성공단이 파탄되면 공단에 군 부대를 복원할 것이라고 위협했고, 한국 통일부는 북한의 태도에 변화가 없으면 중대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히는 등
긴장이 고조됐습니다.
6차 실무회담이 결렬된 지 나흘 만인 지난 달 29일, 한국 통일부가 북한에 7차 실무회담을 제의했습니다.
한국의 회담 제의에 9일 동안 침묵하던 북한은 지난 7일 14일 7차 회담 개최를 전격 제안했고, 한국 정부가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한국의 당국간 대화 제의에 전향적으로 나온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입니다.
[녹취: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8월14일 개성공단에서 개최되는 실무회담에서 우리 국민 모두가 다 우려하고 있는 개성공단 문제 해결을 위한, 그리고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이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이런 방향으로의 북한에 전향적이고 성실한 태도도 우리가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결국 개성공단 사태는 4개월이 넘는 장기간의 대치와 협상 끝에 14일 남북한이 5개항의 합의서를 채택하면서 막을 내렸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