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SLBM은 실질적 위협이 아닌 떠오르는 위협(emerging threat) 수준이라고 미국의 일부 군사 전문가들이 밝혔습니다. 북한의 SLBM 위협에 대한 과대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건데요.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문 기사 보기] Experts: North Korea’s Submarine Missile ‘Emerging Threat’
미국의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SLBM이 아직 초기 단계로 실전배치를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 군사 문제에 정통한 조셉 버뮤데즈 씨는 11일 ‘VOA’에 북한의 잠수함 탄도미사일은 떠오르는 위협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버뮤데즈 씨] “This is an emerging threat. It’s still going to take years….”
북한의 SLBM이 실질적 위협이 되려면 앞으로 많은 개발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적어도 수 년이 더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버뮤데즈 씨는 그 이유로 북한의 잠수함과 미사일 모두 검증되지 않은 점을 들었습니다.
북한은 잠수함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실전 능력이 있는지 조차 시험하지 않았고 미사일 발사 역시 겨우 시험단계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버뮤데즈 씨는 잠수함 탄도미사일은 연구 (research)- 시험 (Test)-개발 (development)-평가 (evalution)라는 고도의 기술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모의탄 1발을 쏘고 사출시험을 몇 번 한 것으로 실전배치 가능성을 운운하는 것은 너무 시기상조라고 지적했습니다.
게다가 북한은 잠수함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3천t 급 이상의 잠수함 조차 아직 보유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위협과는 거리가 멀다는 겁니다.
국방안보 연구기구인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 역시 북한의 잠수함 탄도미사일, SLBM이 당면한 위협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베넷 선임연구원] “I think it’s more an emerging threat. I mean first of all…”
기술적 특성을 볼 때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모의탄이 불과 150m에서 200m 정도 날아간 것은 연료용이 아니거나 점화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는 겁니다.
베넷 연구원은 미사일 사출 성공이 곧 잠수함 탄도미사일 발사 능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1000kg에 달하는 핵탄두 소형화 성공 여부와 여러 의미 있는 확인 과정들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의 잠수함은 미 해군이 1960년대 초반에 SLBM을 위해 진수했던 것보다도 못하며,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잠수함이 있는지 조차 불확실하다고 밝혔습니다.
미 전문가들은 이런 배경을 볼 때 북한의 최근 움직임은 무력 과시를 통한 관심끌기와 협상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의 SLBM 전력화와 실전배치 시기에 대해서는 적어도 수 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베넷 연구원은 기술적 측면을 고려하면 북한의 잠수함 탄도미사일 실전배치는 적어도 5-10년, 그 이상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버뮤데즈 씨는 잠수함 탄도미사일 개발의 모든 과정이 성공하는 것은 무척 어렵다며, 북한이 이를 모두 성공시키며 총력을 기울인다 해도 실질적인 전력화에 최소한2-5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국 국방부의 김민석 대변인은 앞서 11일 북한이 SLBM 실전배치에 4-5년은 걸릴 것으로 분석했었습니다.
[녹취: 김민석 대변인] “(SLBM의) 실전배치는 잠수함 탑재기술,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포함해서 수중발사 비행시험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 4-5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의 SLBM 위협에 대해 보다 시급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워싱턴의 보수 성향 연구기관인 해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입니다.
[녹취: 클링너 선임연구원] “Clearly they are working on developing this capability. Also when analysts say it still…
북한이 대함 미사일과 잠수함 탄도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은 명백하고 전문가들 조차 실전배치에 10년 이상이 아닌 수 년을 언급하고 있는 만큼 위험 신호로 보고 조속해 대응해야 한다는 겁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이를 위해 한국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THAAD의 배치 등 다층방어 시스템을 통해 미사일 방어체계를 확대하고 미-한-일 정보 공유를 더욱 긴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축구경기에서 문지기 (골키퍼) 뿐아니라 다양한 능력의 수비수가 있어야 골을 막을 수 있는 만큼 한국 정부가 보다 현실적인 방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겁니다.
랜드 연구소의 베넷 선임연구원은 미군과 한국 군이 북한 잠수함들의 움직임을 면밀히 추적하는 한편 패트리엇 미사일 (PAC-3)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베넷 선임연구원] “US and South Korea need to be prepare to regularly keep submarine……”
70여 척으로 추산되는 북한의 잠수함들은 매우 노후화되고 소리도 요란한 만큼 감시와 추적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미군과 한국 군이 북한 잠수함들의 움직임을 포착해 남하하면 이를 타격할 수 있는 태세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겁니다.
또 패트리엇 미사일 포대는 지역 (도시) 방어형인 만큼 주요 도시 방어를 위해서는 25개의 포대가 필요하다는 미군 보고서가 있다며, 규모를 확대하거나 방어 규모가 훨씬 큰 사드 배치를 통해 운용의 묘를 살릴 수 있다고 베넷 연구원은 지적했습니다.
군사 전문가인 버뮤데즈 씨는 현 상황에서는 기존의 미-한 연합군의 방어 능력으로 충분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버뮤데즈 씨] “At this point, the defense that South Korea is deploying……”
실전배치와 타격 능력이 없는 잠수함은 거의 무용지물이기 때문에 당장 변화를 줄 필요는 없어 보인다는 겁니다.
버뮤데즈 연구원은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잠수함을 실전배치하면 미-한-일이 이를 추적해 반잠수함이 타격할 수 있다며, 북한이 SLBM 개발을 확대하면 그에 맞춰 대응 능력을 조정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