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민간단체가 추진해온 6.15 공동선언 15주년 공동행사가 무산된 가운데 한국 정부는 남북 당국 간 대화가 재개되면 6.15 공동선언 이행 문제를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남북 당국 간 대화가 개최되면 남북 정상이 지난 2000년에 합의한 6.15 공동선언의 구체적인 이행 문제도 협의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의 12일 정례브리핑입니다.
[녹취: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남북한 간에 기존에 맺은 합의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는 존중을 해오고 있다라는 점을 말씀 드리고, 다만 남북 당국 간에 대화가 개최되면 구체적인 이행 문제에 대해서도 협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정부는 당국 간 회담이 열리면 북한이 원하는 5.24 제재 조치를 비롯한 남북 간 모든 현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당국 간 회담에 응할 것을 북한에 지속적으로 촉구해왔습니다.
특히 광복 70주년인 올해 들어서는 5·24 조치 이후 처음으로 민간 차원의 대북 비료 지원을 승인한 데 이어 민간 교류 확대 방침에 따라 역시 5.24 조치 이후 처음으로 6.15 공동행사 개최를 위한 사전접촉도 승인했습니다.
남북의 민간단체는 이에 따라 지난달 초 중국 선양에서 만나 6.15 공동행사를 서울에서 열기로 잠정합의했지만, 북한의 거부로 무산됐습니다.
순수 사회문화 행사로 치러져야 한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과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북한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2008년 이후 7년 만에 성사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공동 행사가 결국 불발된 겁니다.
북한은 이후 공동행사 무산의 책임을 한국 정부에 돌리며 비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임병철 대변인은 북한이 공동행사 무산의 책임을 한국 정부에 전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남북관계 발전에 도움이 되는 교류협력에 응할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측과 6.15 공동행사를 추진해온 남측 민간단체는 공동행사 무산을 공식화했습니다.
‘광복 70주년과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민족 공동행사 남측 준비위원회’는 12일 대변인 성명을 통해 공동행사 무산의 근본적 원인은 한국 정부의 대북 적대정책에 있다며 보다 유연한 정책을 취할 것을 한국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남측 준비위원회는 행사가 분산개최로 결론이 나고 한국 내에서의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확산에 따른 우려를 감안해 서울에서의 행사를 축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00년 6월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만나 합의한 6.15공동선언은 남북 교류협력 활성화와 당국 간 대화 개최 등 5개 항으로 구성됐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