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조만간 5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잇달아 제기됐습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이 언제든 지하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관련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한국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최근 북한의 5차 핵실험 준비 상황이 포착됐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박근혜 한국 대통령] “최근에는 5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도 포착이 되고 있습니다. 북한이 고립 회피와 체제 결속을 위해 어떤 돌발적 도발을 감행할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지난 1월 4차 핵실험을 감행한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반발해 5차 핵실험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으며, 실제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차량과 인력의 활동이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국방부 문상균 대변인도 18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언제든지 5차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문상균 대변인 / 한국 국방부]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풍계리 일대에 대해서 면밀하게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15일에 빠른 시일 내에 핵탄두 폭발시험을 단행하라고 지시한 점에 우리 군이 주목하면서 그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지금 감시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언급한 핵탄두 폭발시험은 말 그대로 핵탄두를 터뜨리라는 것으로, 국제사회에 핵무기 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이와 관련해 한민구 한국 국방장관은 지난 6일 국방부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먼저 지하 핵실험 시설에서 미사일에 탑재하는 핵탄두를 폭파하고 다음으로 탄두에서 핵 물질을 제거해 기폭만 하는 실험을 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최근 이 같은 북한의 동향과 관련해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국제사회의 강도 높은 제재에 몰린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통해 국면전환을 노리기 위한 게 아니겠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통해 국제사회의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꺾고 미국과의 핵 군축 협상을 기대하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고려대 북한학과 임재천 교수는 북한의 5차 핵실험 의도에 대해 한 가지 목적이 아닌,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포석을 놓고 고려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임재천 교수 / 고려대 북한학과] “대외적으로는 핵 보유국이라는 사실을 기정사실화 하기 위해서 하는 것 같고요. 그 다음에 대내적으로는 5차 당 대회에서 뭔가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대외적인 상황이 어려워지면 대내적인 통합은 쉽거든요. 대외적인 위협을 강조하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을 일단 통제할 수 있고요.”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김동엽 교수는 풍계리 핵실험장의 차량과 사람의 움직임이 많아졌다고 해서 핵실험 징후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강조했습니다.
지금까지 핵실험장 움직임이 활발해질 때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하지는 않았다는 지적입니다.
김 교수는 다만 핵실험장의 움직임이 활발해진 만큼 도발 가능성을 예의주시할 필요는 있다면서, 실제로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7차 당 대회 이전에 ‘핵-경제 병진 노선’에서 부족한 경제 분야를 메우기 위해 안보 분야에 치중하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김동엽 교수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핵 무력과 경제 두 가지의 성과를 보여줘야 하고 이 두 가지 모습이 다 보여줘서 100점을 만들어주면 좋은데 핵 무력은 충분히 만들어졌는데 경제가 생각보다 안 올라오는 거죠. 이 두 개의 합이 90점은 돼야 하는데 경제가 안 올라가 주면 결국 안보적 측면을 더 많은 점수를 줘서 부족한 경제 분야를 지원하려는 방법이겠죠. 이 로드맵의 약간의 수정이 가해졌다고 봐야 하는 거거든요.”
김 교수는 김정은 정권이 경제가 뒷받침 되지 않는 상황에서 공세적인 대화와 협상 국면을 당 대회 이전으로 당겨버리는, 즉 대화와 협상 국면에 미국을 더 빨리 끌어들이기 위해 미사일과 핵실험 카드를 일찍 사용하려는 의도도 있을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