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언론들 '북한 경제, 대북제재 불구 활기'

지난달 25일 북한 평양의 주택가. (자료사진)

북한경제가 오랜 고립과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성장하고 있다고 서방 주요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이런 결과는 유엔 등의 대북 제재를 무색하게 한다는 지적입니다. 김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경제가 수 십 년에 걸친 국제적 고립과 제재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활기를 보이고 있다고 미국의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스' 신문이 1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5년 전 권좌에 오른 뒤 지금까지 북한 전역으로 시장이 확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상인과 기업가들이 노동당의 보호 아래 번성하고 있고 평양에서는 건설 공사가 활발할 뿐더러 거리에 차가 넘친다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을 자주 찾는 사람들, 북한경제 전문가들을 인용해 이런 시장경제 활동이 북한경제의 모습을 바꾸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김정은 위원장이 오랫동안 빈곤에 시달린 북한 주민들에게 허리띠를 조여 맬 필요가 없다고 약속했고, 이를 위해 민간기업을 확대하는 등 시장경제 활동의 확산을 용인했다면서 김 위원장 체제 하에서 북한의 연간 성장률이 1%에서 5% 사이로 추정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큰 어려움 없이 성장하는 국가의 성장률과 맞먹는 수치라고 `뉴욕타임스'는 지적했습니다.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 신문도 최근 기사에서 통제경제에서 부분적으로 탈피한 북한 경제가 활력을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북한을 다녀온 사람들의 말을 인용해 평양에서 건축 공사가 활발하고 중국에서 수입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상점이 늘었다면서, 유엔의 경제 제재가 별 효과가 없어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파이낸셜 타임스'도 북한 내 두드러진 시장경제 활동을 지적했습니다. 지난 1990년대 이른바 `고난의 행군' 이후 생성된 장마당 같은 시장경제 요소를 김정은 정권이 용인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통일부는 북한 전역에 시장이 404개에 달하고 여기에서 일하는 사람이 110만 명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한 탈북자의 증언을 인용해, 시장을 통해 생활할 수 있게 자신들을 내버려 두라고 요구하는 것이 북한 주민들의 일반적인 생각이라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시장경제 활동을 허용하는 것은 김정은 정권에 일종의 도박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지적했습니다. 시장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가 위협받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외국 상품과 함께 각종 정보가 북한사회에 스며들어 김정은 위원장 일가에 대한 개인숭배가 약해지고 있고 사람들이 장마당에서 스스로 필요한 것들을 얻으면서 당국에 의지하는 것도 예전보다 덜하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북한경제의 또 다른 변수로 중국을 꼽았습니다.

중국은 현재 북한의 붕괴를 원하지 않아 대북 교역을 계속하고 있지만, 한반도정세가 더 나빠지면 원유 공급을 중단하는 등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VOA 뉴스 김정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