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북 성향을 보여온 앙골라가 북한인 노동자를 모두 내보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북한의 입지는 점점 더 좁아지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앙골라 정부는 북한의 건설회사인 ‘만수대’와의 모든 거래를 끊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12월21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제출돼 이달 29일 공개된 앙골라의 이행보고서에 따르면 앙골라 건설부는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만수대 해외프로젝트 그룹’의 자회사인 ‘만수대 앙골라’와 국가 재건을 위해 맺은 계약을 해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따라서 ‘만수대 앙골라’는 지난해 11월13일부로 모든 활동을 중단했으며, 이 회사에 소속돼 있던 북한인 노동자와 고용인들에게도 떠날 것을 요구했다고 명시했습니다.
앞서 앙골라 국영매체 '저널 디 앙골라'는 지난해 11월21일 북한 노동자 153명 가운데 55명이 앙골라를 떠났다며, 이번 조치는 유엔 안보리 결의 2371호에 따른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또 'AFP' 통신도 같은 날 마누엘 아우구스토 앙골라 외무장관의 국영 TV 인터뷰를 인용해 나머지 북한 노동자들도 이미 귀환 조치됐다고 전했었습니다.
‘만수대 해외프로젝트 그룹’은 아프리카 등지에서 건물과 동상 등을 주로 건설해왔으며, 북한 정권이 이를 통해 외화수입을 거둔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됐었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8월 결의 2371호를 통해 ‘만수대 해외프로젝트 그룹’을 자산동결 대상으로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앙골라는 이행보고서에서 결의 채택 이후 내무부 차원에서 앙골라에 거주하는 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현황 파악에 나서는 등 결의 이행에 적극적이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7월 외무부는 안보리가 제기한 많은 우려사안에 대해 각 정부 기관들이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내부 문서를 만들었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국방부와 내무부, 앙골라 중앙은행이 북한 외교관을 포함한 북한 국적자의 은행이용 상황과 이민 신분에 대한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앙골라는 지난 1976년 북한과 수교한 뒤 지속적인 교류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잇단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로 도발을 계속하면서 대북제재 이행에 있어 국제사회와 발을 맞추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하면서 대북제재 결의 2270호와 2321호가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2016년에 제출한 대북제재 이행보고서에서는 이례적으로 외교관을 포함한 자국 내 북한 국적자 2명의 신상을 공개하며, 이들의 활동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도 최근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북 압박 조치를 강화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선 점도 앙골라 등 아프리카 나라들이 북한과의 관계에 변화를 주는 계기를 만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틸러슨 장관은 지난해 11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아프리카 지역 내 무역, 안보와 통치’ 관련 행사에서 앙골라 등 아프리카 30여 개국 외교장관들에게 북한에 추가적인 외교, 경제적 압박을 가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앙골라가 북한인 노동자 등에 조치를 취한 건 불과 며칠 뒤 일이었습니다. 또 같은 달 수단 정부 역시 북한과의 모든 군사와 무역 관계를 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