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공동성명 불발...상하이협력기구 "보호무역 반대"

지난 9일 캐나다 퀘벡주 샤를부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 (G7) 정상회의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왼쪽)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화 하고 있다. 메르켈 총리 주위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서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 입니다. 지금 이 시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캐나다에서 막을 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가 미국의 반대로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못했습니다. 고율 관세를 주고받는 통상 현안이 여전히 문제로 남았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등은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신형 국제관계’ 건설에 뜻을 모았고요. 이어서, 인도의 물 부족이 심각하다는 이야기,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진행자)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서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못했군요?

기자) 네. 미국과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주요7개국(G7) 정상들이 캐나다 퀘벡주 샤를부아에서 주요 국제 현안을 논의했는데요. 지난 토요일(9일)까지 이틀 동안, 통상과 한반도 문제 등에 의견을 나누고 공동성명을 만들었지만, 미국의 반대로 채택하지 못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정상회의 일정이 끝나기 전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이 예정된 싱가포르로 떠났는데요. 샤를부아 현지에 남아있는 미국 대표단에, 공동성명에 서명하지 말라고 지시했습니다.

진행자) 왜 그렇게 지시한 거죠?

기자) 무역 갈등 때문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가 미국 농업인들과 노동자· 기업들에 막대한 관세를 매기고 있는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이에 대해 거짓 발언을 했다고 공동성명 거부 배경을 ‘트위터’에 적었습니다.

진행자) 어떤 발언이 문제였나요?

기자)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샤를부아를 뜬 뒤,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가 동맹국인 캐나다에 “모욕적”이고, 여기에 “휘둘리지 않겠다”고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습니다. “보복하겠다는 뜻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했다”고도 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 발언들이 매우 부정직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관세 부과는 캐나다가 미국 유제품에 270% 관세를 매기는 데 대한 대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캐나다 총리가 관세 문제에 옳지 않은 주장을 했다는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G7의장국 캐나다 총리의 발언에 대해, 백악관 고위 관계자들은 비판 수위를 더 높였는데요. 국가경제위원회(NEC) 래리 커들로 위원장은 “당초 좋은 믿음을 갖고 G7 정상들과 공동성명에 합의했었다”면서, 트뤼도 총리의 회견은 “배신”이고, “우리 등에 칼을 꽂은 것과 같다”고 CNN방송에서 말했습니다. 피터 나바로 무역·제조업 정책국장은 “지옥에는 배신의 외교를 하는 사람들을 위한 자리가 있다”고까지 했습니다.

진행자) 백악관 당국자들이 격한 어휘들을 사용했네요.

기자) 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트위터’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 사이 무역·통상 현안을 조목조목 짚었습니다. “캐나다 발표에 따르면 그들은 미국과 교역에서 1천억 달러를 벌어들인다”고 적으면서 불균형을 강조했는데요. 캐나다는 미국산 유제품에 270% 관세를 매기고 있으면서, 오히려 상처 입은 척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리고, ‘공정한 무역(fair trade)’이라는 개념은 ‘바보 같은 무역(fool trade)’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이어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외 다른 G7 국가들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습니다.

진행자) 다른 G7 국가들에 대한 비판은 어떤 내용인가요?

기자) “1천510억 달러 무역흑자를 낸 유럽연합(EU)은 군비에 훨씬 더 많이 돈을 내야 한다”며, 특히 “독일은 국내총생산(GDP)의 1%만 지출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지적했습니다. 미국은 “엄청난 재정손실을 보며 유럽의 안보를 지켜주면서도, 무역에서는 불공정하게 당하고 있다”고 덧붙였는데요. 이제는 이런 현실이 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의 비판에, 해당 국가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

기자) 먼저 캐나다의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외무장관은, “우리는 인신공격으로 외교를 하지 않는다”며 백악관 당국자들의 거친 언사를 비판했습니다. 이어서, 캐나다는 앞으로 절제된 방식으로 미국의 철강관세 등에 대응하겠다고 했는데요. 캐나다 쪽을 두둔하는 국제사회 지도자들의 입장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프랑스 대통령궁은 “국제협력은 분노에 의존해선 안 된다”며 미국을 비판했고요. 도날트 투스크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천국에 트뤼도(캐나다 총리)를 위한 자리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캐나다의 G7 개최를 감사하고, 백악관 나바로 국장의 ‘지옥’ 발언을 비난한 겁니다.

진행자) 군비에 돈을 덜 쓴다고 비판받은 독일에선 뭐라고 답했나요?

기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초안 작성에 관여한 G7 공동성명을 지지하지 않은데 “정신이 번쩍 들었다”며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이어서 “유럽연합(EU)은 미국의 철강· 알루미늄 관세에 맞서 보복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공영 ARD방송 인터뷰에서 밝혔는데요. 독일의 군비 지출 문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해명하지 않았습니다.

진행자) 채택이 불발된 G7 공동성명에 어떤 내용이 들어있었나요?

기자) 통상과 북한 문제를 비중 있게 다뤘는데요. 먼저 통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보호무역에 나머지 6개국 견해가 부딪히는 점을 반영했습니다. 그래서, “과제는 있었지만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시스템을 발전시켜가면서 해결을 목표로 한다”고 명시했고요. 북한에 대해서는 “대량파괴무기와 탄도미사일 관련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를 요구하고, 완전한 비핵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적었습니다. 특히 핵 폐기 외에 대량파괴무기를 명기한 것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강력한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오늘(11일) 일본 언론이 설명했습니다.

중국·러시아·인도 등 8개국이 참여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가 산둥성 칭다오에서 열렸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듣고 계십니다. 지난 주말에 정상회의가 또 하나 있었죠? 상하이협력기구(SCO) 소식 살펴보죠.

기자) 네. 중국과 러시아, 인도 등 8개 나라가 참여하는 ‘상하이협력기구’가 어제(10일)까지 이틀 동안 중국 칭다오에서 정상회의를 열었습니다. ‘칭다오 선언’을 공동성명으로 채택했는데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항하고, ‘이란 핵 합의’ 유지를 강조하는 한편, 한반도 문제는 대화로만 해결할 수 있다는 세 가지 주제에 합의했습니다.

진행자) ‘칭다오 선언’ 구체적인 내용 들여다보죠.

기자) 오늘(11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공개한 전문을 보면, “우리는 국제 무역관계의 파기와 어떤 형식의 보호무역주의도 반대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어서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의 권위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를 비판하고, 미국의 철강관세 부과를 WTO에 제소한 중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내용으로 외신들은 해설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이란 핵 합의’에 대한 내용도 있다고 하셨죠?

기자) 네. “이란 핵 합의의 지속적인 이행이 매우 중요하다”며 “합의 당사국들이 의무를 지켜 세계와 지역 평화안정을 지키길 촉구한다”고 적었는데요. 얼마 전 이란 핵 합의에서 탈퇴한 미국을 비판하는 동시에, 유럽 각국과 경제교류를 유지하길 바라는 이란의 입장을 지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도 이번 정상회의에 참관국 대표 자격으로 참가했는데요. 이어서, 공동성명은 “한반도 문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정치외교방식으로만 해결할 수 있다”며 내일(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지지도 표시했습니다.

진행자) ‘상하이협력기구(SCO)’가 어떤 모임인가요?

기자) 지난 2001년 7월 중국과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등 6개 나라가 만든 지역 안보 보장 조직입니다. 지난해 인도와 파키스탄이 가입해 회원국 수가 늘었는데요. 중국이 주도하는 지역연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어제(10일) 폐막연설에서 “상하이 정신을 드높여 운명공동체를 만들자”면서, "신형 국제관계 건설을 추진하고, 평화, 공동 번영, 개방 포용을 위해 손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발언에 대해 홍콩 봉황TV는 “미국을 겨냥해 중국이 지역질서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진행자) 국제사회에서는 ‘상하이협력기구’를 어떻게 보고 있나요?

기자) 안보조직으로 출발했지만, 외부에서는 경제적인 면에서 ‘상하이협력기구’를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경제성장이 빠른 두 나라가 이 모임에 참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바로 중국과 인도입니다. 중국은 향후 10여 년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증가의 30%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는 나라고요. 인도는 10%를 맡을 것으로,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이 내다봤습니다. 그래서 CNN방송은, “G7은 잊어라, 정말 중요한 정상회의는 중국에서 열리고 있다”는 기사 제목으로, G7과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를 비교하기도 했습니다.

진행자) 주로 아시아 국가들의 모임인데, 러시아가 참여한 게 눈에 띄는군요?

기자) 네. 그렇지 않아도 G8의 일원이었다가, 지난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병합 후 퇴출된 러시아를 다시 주요국 모임에 불러야 한다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촉구했는데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G7과 다시 대화하기보다는, 상하이협력기구에 더 비중을 두겠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SCO 인구와 구매능력은 이미 G7을 넘어섰다”면서, “G7은 실없는 소리를 그만두고 진정한 협력을 위한 구체적 행동에 나서라”고 어제(10일) 공동기자회견에서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상하이협력기구’를 주도하는 중국이 러시아에 공을 많이 들이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행사기간 중 ‘우의훈장’이란 걸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수여했는데요. 이 훈장은 ‘중국 사회의 현대화와 세계평화 수호에 기여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새로 만든 겁니다. 푸틴 대통령이 첫 수훈자인데요. 이 밖에도 양국 정상 간 합의를 통해, 랴오닝성 후루도에 있는 쉬다바오 원전 3 ·4호기와, 장쑤성 롄윈강시에 있는 톈완 원전 7· 8호기에 러시아제 신형 원자로 VVER-1200을 들이기로 했습니다. 쉬아바오 원전 1 ·2호기에는 미국제 웨스팅하우스 AP-1000가 탑재됐었습니다.

인도 라자스탄주 아지메르 외곽의 호수가 가뭄으로 인해 바짝 말랐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한 가지 소식 더 보겠습니다. 인도가 극심한 물 부족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요.

기자) 네. 인도는 중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나라입니다. 현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중국을 넘어서서, 인도를 세계의 공장, 세계의 시장으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고질적인 물 부족 현상이 인도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진행자) 고질적이라면, 물 부족 현상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라는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인도는 현재 13억 인구를 가진 인구 대국으로서, 전세계 인구의 18%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인도가 갖고 있는 수자원은 4%에 불과해 절대적인 물 부족 사태를 겪어왔습니다. 최근 인도 북부의 한 유명 휴양지 주민들은 물 부족으로 관광객들의 방문 금지를 요구하고 나서기에 이르렀습니다.

진행자) 주민들이 왜 관광객들의 방문을 원하지 않는 거죠?

기자) 인도 북부 '히마찰 프라데시'주의 주도인 '심라(Shimla)'는 히말라야 인근 고산지대에 자리 잡고 있어, 세계적인 여름 휴양지로 각광을 받는 곳인데요. 하지만 오랜 가뭄으로 물 부족 사태가 계속되자 2주 전부터 당국이 한 가정 당 3통씩 물을 공급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학교도 일시 휴교에 들어갔는데요. 주민들은 당국이 급증하는 관광객들을 수용하는 데만 급급해 있다면서, 인터넷 사회연결망 서비스(SNS) 등에 '심라 방문 금지'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진행자) 인도의 다른 지역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대도시들도 상황이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뉴델리, 벵갈 루루, 뭄바이 등 대도시도 지하수가 고갈되고 있고요. 호수와 강이 말라붙어,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강우량과 강설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이유 외에도, 지하수 유출과 낙후된 수도관 시스템 등 빈약한 사회기간시설 때문에 물부족 현상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인도의 급속한 경제성장에서 원인을 찾는 전문가들도 있는데요. 보통 한 나라의 경제성장은 농업 등의 1차 산업에서, 제조업 등의 2차 산업을 거쳐, 3차 산업인 서비스업으로 옮겨가는데, 인도에서는 이 세 분야가 동시에 성장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진행자)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을 지적하는 전문가들도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인도 인구의 거의 70%가 지하수에 의존해 식수를 해결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지난 40년 간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로 인도의 물 사정이 위험한 수준에 달했다는 지적입니다. 지방 정부를 신뢰하지 못해 마당에 직접 우물을 파는 주민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고요. 또 산업폐기물 때문에 하천 오염이 심각하자 지하수를 직접 뽑아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민들이 늘고 있는 실정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웃 주민의 물을 훔치는 일까지 발생하는 등 물 분쟁이 끊이지 않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