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은 대북정책을 긴밀히 조율하고 있으며, 두 나라의 동맹은 전혀 흔들림이 없다고 미 국무부 고위 관리가 밝혔습니다. 이 관리는 또 두 나라는 대북 제재 해제나 완화 이전에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북한의 비핵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연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미 국무부의 마크 내퍼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 대행은 대북정책과 관련해 미- 한 동맹이 흔들리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내퍼 부차관보 대행] “I strongly disagree because if you look at the amount of coordination ...”
내퍼 부차관보 대행은 23일 서울에서 열린 ‘아산 플래넘 2019’ 행사 가운데 미-한 동맹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미국과 한국이 대북정책에서 같은 입장을 유지하기 위해 거의 매일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과 청와대, 국무부와 한국 외교부, 미 국방부와 한국 국방부 간의 긴밀한 교류가 사실상 매일 이뤄지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 이후에도 강경화 한국 외교장관과 마이크 폼페오 미 국무장관이 만났고, 정경두 한국 국방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국방장관 대행이 만났으며,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서로 만나 긴밀히 조율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내퍼 부차관보 대행] “So we’ve stayed in very close touch and we have very high level engagement...”
미국과 한국이 매우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고, 최고위급 교류도 계속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아울러 미-한 대북정책 워킹그룹이 남북관계와 미-북 관계 등에서 같은 입장을 유지하기 위해 대면회의와 화상회의를 통해 정기적으로 조율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내퍼 부차관보 대행은 최근 워싱턴에서 열린 미-한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의 근본적인 입장 차이가 확인됐다며 이같은 입장 차이를 어떻게 좁힐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일단 그같은 전제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습니다.
[녹취: 내퍼 부차관보 대행] “To be honest I don’t think I agree with fundamental premise of the question...”
워싱턴 미-한 정상회담에서 두 지도자가 제재 해제나 제재 완화가 이뤄지기 전에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북한의 비핵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겁니다.
내퍼 부차관보 대행은 미-한 동맹에서 북한 문제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부는 아니라며, 두 나라가 다른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드니 사일러 주한미군 수석분석관은 이날 토론회에서, 미국과 한국이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있다며 두 나라가 가는 길이 서로 다르다는 일각의 주장은 지나치게 과장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한 동맹은 이념과 정당을 초월하는 것이라며 워싱턴과 서울에서 어떤 바람이 불어도 견뎌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사일러 수석분석관] “It was not conservatives in the United States, conservatives in the Republic of Korea...”
미-한 동맹을 하나로 연결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의 보수파들이 아니라, 동맹관계에 대한 보다 깊고 심화된, 서로 공유하는 이익과 헌신이라는 겁니다.
6자회담 미국 측 차석대표를 지낸 사일러 수석분석관은 미국의 입장은 북한에 대한 관여와 압박을 둘 다 하는 것이라며, 이런 압박을 통해 북한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말했습니다.
사일러 수석분석관은 북한에 대한 군사적 준비태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제임스 스타인버그 전 국무부 부장관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한국 정부가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지 않으면서 긴장 완화를 위한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스타인버그 전 부장관] “While reducing inter Korea tensions is critical,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남북 간 긴장 완화가 중요하지만, 그동안 미국과 한국 간 안보관계가 제공한 안정화 역할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이같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한 동맹이 단지 서류 상의 동맹이 아니라 군사적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스타인버그 전 부장관은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미-북 대화를 촉진하려는 문재인 한국 대통령의 노력을 이해하고 환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와 동시에 북한과의 어떤 조율도 동북아시아의 장기적인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결정적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스타인버그 전 부장관은 가까운 장래에 북한의 비핵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없다며, 하지만 한국의 지도자들은 궁극적인 비핵화를 핵심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