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체제 갈등 악화 새 변수”.. ‘세계 평화지수’ 연구자가 밝힌 북한 최하위권 의미

 로리 스몰렌스키 호주 경제평화연구소 IEP 원조 개발 담당관이 20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에서 세계 평화지수 (GPI)를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연설하고 있다. 출처: CSIS

로리 스몰렌스키 호주 경제평화연구소 IEP 원조 개발 담당관이 20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에서 세계 평화지수 (GPI)를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연설하고 있다. 출처: CSIS

북한은 호주의 연구소가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평화지수 평가에서 올해도 최하위권을 기록했습니다. 올해는 `기후변화’가 평가항목으로 추가됐는데요, 북한의 재해 상황이 이번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김동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최근 공개된 ‘세계 평화지수’ (GPI)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로리 스몰렌스키 호주 경제평화연구소 IEP 원조 개발 담당관은 20일, 올해 처음으로 ‘기후변화’가 중요 계량 지표로 추가된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스몰렌스키 담당관은 이날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에서 열린 강연에서 “기후변화가 자동적으로 높은 수준의 폭력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사회 역동성, 인구 이동, 자원, 식량 등과 관련해 체제 내 갈등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중요 계량 지표로 추가됐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로리 스몰렌스키 담당관]“Climate change doesn’t automatically lead to higher levels of violence but it can exacerbate existing conflict around social dynamics, migration, resources, food, and so forth”

북한은 지난 13일 호주의 경제평화연구소 (IEP)가 공개한 세계 평화지수 (GPI) 보고서에서 조사 대상 163개국 중 최하위권인 149위를 기록했습니다.

보고서는 ‘대내외 분쟁’, ‘사회 안전과 안보’, 군사화’ 등 평화와 관련한 3개 분야에서 기후변화 외에 무기 수출입, 핵무기, 중화기 역량, 국내총생산 대비 군비 지출 등 23개 지표를 계량화해 점수를 산정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 인구 10% 이상이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위험 지역에 살고 있으며, 폭력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이 국내 총생산 (GDP)의 34%에 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스몰렌스키 담당관은 “전 세계적으로 평화지수가 낮고,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4억 정도”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10년 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종합적 국제 평화 지표 순위가 높지만, 기후변화 충격에 대처하는 사회적 기반이 낮은 `긍정적 평화 지표 적자 국가’에서는 불과 수 년 안에 갈등이 증폭됐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로리 스콜렌스키 담당관]“The data indicates that over the last decade, countries with positive peace deficit,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deteriorate into increased levels of violence within just a few years”

보고서는 평화지수가 낮고 고도의 자연재해 발생 국가 최하위 25개 나라 중 북한 등 8개 나라는 인구의 약 10%에 해당하는 1억 37만여 명이 위험에 처해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같은 분석은 북한처럼 국제 평화 지표 순위가 최하위권이면서, 기후변화 대처 수단 역시 매우 낮은 경우, ‘긍정적 평화 지표 적자 국가’보다 더 빠른 시간 내에 갈등이 증폭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북한은 매년 가뭄과 홍수를 겪고 있으며, 이런 상황은 기후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올해 세계 평화지수 보고서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중 유일하게 최하위 25개국에 포함됐습니다.

여기에는 국내총생산 GDP 대비 군사비 지출이 24%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상황이 중요하게 작용했습니다.

스몰렌스키 담당관은 GDP 대비 군비 지출은 공포에 대한 위협이나, 이런 위협으로 발생하는 또다른 공포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이 같은 지표가 과도한 나라들에 감점을 부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로리 스몰렌스키 담당관] ”IP is not suggesting that military expenditure should be zero and military should be abolished but we think it’s accurate to say that militarization is favored or is disfavored in the indexed because it is measuring either a threat of violence or the threat of fear of violence. So we’re penalizing countries that have much higher levels of militarization as a percentage of GDP a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올해 북한의 순위가 최하위권으로 기록된 또다른 이유는 1년 이상 진행된 한국,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변화가 적었기 때문이라고 스몰렌스키 담당관은 밝혔습니다.

VOA 뉴스 김동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