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 이행 차원에서 북한 외교관 숫자를 크게 줄인 나라들이 대부분 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엔 사무국에는 1명의 북한 국적자가 근무 중이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북한대사관에는 지난 2016년까지만 해도 15명의 북한 외교관이 근무했습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외무부에 따르면 2017년 이 숫자는 10명으로 줄었고, 지난 8월을 기준으로 2명이 더 줄어 8명이 대사관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말레이시아 북한대사관은 2017년 2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 살해 사건을 계기로 대사 추방이 결정됐는데, 이후 지금까지 비대사급 외교관마저 절반으로 줄어든 겁니다.
현재 말레이시아 북한대사관은 대사가 공석인 상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북한 외교공관이 주재한 나라들은 2017년을 전후해 북한 외교관의 숫자를 줄인 이후, 2년이 지난 현재까지 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북한 외교관 감축에 앞장섰던 유럽 나라들은 추가 외교관 승인을 내주지 않는 등의 방식으로 북한이 소규모 대사관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경우 2016년 최대 6명의 북한 외교관이 주재했지만, 현재는 4명으로 줄어든 상태입니다.
앞서 이탈리아는 2017년 12월 유엔 안보리에 제출한 대북 제재 이행보고서에서 로마주재 북한 외교공관의 정치담당 참사관과 임시 대리공사를 대체할 3급 서기관의 승인 절차가 보류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문정남 당시 대사는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공식 추방됐고, 이후 대사 없이 4명의 외교관으로만 대사관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는 조성길 전 대사대리가 지난해 11월 잠적한 곳이기도 합니다. 이탈리아 외무부의 외교관 명단에는 새로 부임한 김천 대사대리 이름이 조 전 대사대리 자리에 올라있습니다.
그밖에 2014년 14명이 근무했던 독일 주재 북한대사관의 경우, 2017년 절반인 7명으로 줄어든 이후 이 숫자로 남아있습니다.
또 2017년 대북 제재 이행보고서에서 2명의 북한 외교관을 출국시켰다고 밝혔던 불가리아도 당시 축소된 9명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앞서 안보리는 2016년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응한 대북 결의 2321호를 채택하면서 북한 외교관이 파견된 회원국들에 외교관 규모를 줄일 것을 권고했었습니다.
이 조항은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북한의 도발이 잦아지면서 이들 나라들은 자발적으로 북한 외교관 감축에 나섰습니다.
페루와 쿠웨이트, 스페인, 멕시코, 이집트 등은 대사를 추방했고,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우간다는 일반 외교관을 줄였습니다.
이 중 페루와 멕시코는 북한 외교관의 숫자를 절반 이상으로 줄여 단 3명만이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졌었습니다.
이들 나라들의 북한 외교관 숫자는 현재 파악되지 않지만, 대부분 5명 미만의 ‘초소형’으로 운영되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전 세계 다양한 국적의 직원 3만7천여 명이 근무하는 유엔 사무국에 북한 국적자 1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18년 사무국의 직원 현황을 분류한 유엔 사무총장의 총회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북한 국적자는 남성으로, 알파벳 ‘P’로 시작하는 ‘전문직’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이 직원은 1~5단계의 직군 중 2단계에 소속돼 있었는데, 유엔의 직원 연봉 자료에는 2018년 한 해 2단계의 연봉을 5만6천에서 7만6천 달러로 적시하고 있습니다.
VOA 취재 결과 이 직원은 유엔 사무국 내 정무부서에 근무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