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뉴스] “미국·한국 ‘종전선언’ 이견 노출…북한 ‘선결조건’ 요구”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미국과 한국의 외교 당국이 한반도 종전선언 문제를 계속 논의하고 있지만, 워싱턴에서는 양국 간 입장차가 좁혀지기 어렵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북한이 무리한 선결 조건을 요구한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미국의 호응을 얻기 더욱 어려워졌다는 회의론이 우세합니다. 박동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미국과 한국의 외교 당국이 한반도 종전선언 문제를 계속 논의하고 있지만, 워싱턴에서는 양국 간 입장차가 좁혀지기 어렵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북한이 무리한 선결 조건을 요구한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미국의 호응을 얻기 더욱 어려워졌다는 회의론이 우세합니다. 박동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종전선언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이 완전히 다르며 절충점을 찾기도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종전선언이 북한 비핵화의 입구가 될 수 있다는 한국 정부의 주장은 바이든 행정부를 포함해 미국 역대 정부가 제시해온 한국전 종전 조건과 간극이 너무 크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달 26일 한국의 종전선언 추진 관련 질문에 “우리는 각각 다른 조치를 위한 정확한 순서, 시기, 조건에 관해 다른 관점을 갖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답변한 것은 이런 분석에 더욱 힘을 실었습니다.

패트릭 크로닌 허드슨연구소 아시아태평양 안보석좌는 ‘순서, 시기, 조건’ 문제를 제기한 설리번 보좌관의 발언을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이 핵무기를 점진적으로 철폐할 용의가 있다는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이런 선언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하면서, 북한 쪽에서 비핵화에 대한 진지한 의지가 없다면 종전선언은 무의미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종전선언에 대한 미국과 한국 사이의 시각차를 강조하는 진단이 쏟아지자 하루 만에 브리핑을 열고 종전선언은 한미 간 각급에서, 속도감 있고 지속적으로 그리고 진지하게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종전선언에 대한 미국과 한국 사이의 차이는 너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미국 정부는 종전선언을 ‘구속력 없는 정치적 선언’이나 ‘비핵화의 입구’로 보는 대신 비핵화 조치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져야 할 법적·정치적 구속력이 상당한 합의로 간주한다는 설명입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은 “바이든 행정부는 종전선언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제한하는 북한의 행동을 포함한 더 큰 조치의 일부라면 이를 지지할 준비가 돼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켄트 칼더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동아시아연구소장은 “미국은 단순히 북한 정권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든 분야에서 현 상태에 변화를 주는 것을 경계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경우, ‘변화’는 한반도에 주둔하는 미군과 한국군의 지휘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미국은 북한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변화도 안정을 흔들어 미군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종전선언에 대한 미한 간 이견이 노출된 시점에 북한이 미한 연합훈련 중단과 광물 수출 허용 등을 한반도 종전선언의 선결 조건으로 제시했다는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워싱턴 조야의 반응은 더욱 싸늘해졌습니다.

한국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28일 국정원에 대한 비공개 국정감사를 마친 뒤 “종전선언 논의를 하려면 만나야 하는데, 만남을 위한 선결 조건을 북한이 제시했다”며 “선결 조건에서 제재 해제를 요구했는데, 내용은 한미연합훈련 중단, 광물 수출 및 석유 수입 허용 등”이라고 전했습니다.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수석부차관보는 이에 대해 북한은 한국이 제공하고 싶어 하는 선물을 고려해보는 조건으로 중대한 양보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뻔뻔스러운 행보라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이런 행보는 일방적인 종전선언이 긴장을 완화해 비핵화를 끌어낼 것이라는 청와대의 주장을 본질적으로 무너뜨린다면서, 실제로 북한은 종전선언에 대한 초기 대화에도 미한 준비태세를 약화할 한국의 양보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종전선언 제안에서 거리를 두는 것은 당연하다고 평가했습니다.

VOA 뉴스 박동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