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뉴스] “유엔…재일한인 ‘북송 피해자 생사 확인’ 촉구”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유엔 강제실종 실무그룹이 재일 한인 북송사업 62주년을 맞아 북한 정부에 이들의 생사 확인과 가해자에 대한 책임 추궁을 촉구했습니다. 북한 인권단체들은 유엔이 책임 규명을 촉구한 것을 환영하며 헤어진 가족들의 상봉과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박동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강양우)
유엔 강제실종 실무그룹이 재일 한인 북송사업 62주년을 맞아 북한 정부에 이들의 생사 확인과 가해자에 대한 책임 추궁을 촉구했습니다. 북한 인권단체들은 유엔이 책임 규명을 촉구한 것을 환영하며 헤어진 가족들의 상봉과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박동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강양우)

유엔 강제실종 실무그룹은 13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14일 지상 낙원 북송 사업 시작 62주년을 맞아 북한 정부에 강력히 촉구한다며 3가지 사안을 지적했습니다.

실무그룹은 현재까지 실종된 많은 북송자들의 생사와 행방을 밝힐 것과 효율적인 수사를 시작할 것 또 가해자에게 책임을 물으며 헤어진 가족 사이의 소통을 재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진상규명의 권리는 위반 행위 재발에 대한 중요한 보호 수단으로 개인의 권리일 뿐 아니라 집단적 차원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COI는 앞서 2014년 최종보고서에 재일 한인 북송사업을 납치와 강제실종으로 분류하고, 북한 지도부의 지상낙원 선전을 믿고 1959년 12월부터 1984년까지 북한으로 이주한 재일 한인과 가족이 25년간 9만 3천 340명, 이 가운데 1천 831명에 달하는 일본인 아내도 포함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시민사회단체인 북한인권시민연합은 14일 북송사업 62주년을 맞아 발표한 성명에서 유엔이 재일 한인 북송 사업에 대해 북한 정부의 책임 규명을 요청한 것은 2014년 COI 보고서 발표 이후 처음이라며 의미가 크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의 요안나 호사냑 부국장은 북한 지도부가 북송사업을 둘러싼 진실을 밝히지 않는 현실에 우려한다며, 북송 사업으로 인해 헤어진 가족들이 서로 교류하고 만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북한을 탈출해 일본으로 돌아온 북송 피해자 5명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북한 정부를 상대로 1인당 90만 달러에 달하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으며, 지난 10월 일본 도쿄지방재판소가 처음으로 재판을 열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가와사키 에이코 / 재일 한인 북송사업 피해자 (지난 10월)

“정말 오랜 시간이 걸려서 여기까지 왔어요. 모두가 변론할 때 눈물을 흘렸어요. 정말 3년이면 일본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말에 속아서 갔는데 정말 어렵고 힘든 고통을 거쳐 일본으로 왔습니다.”

한편 북한인권시민연합과 일본의 북조선 귀국자의 생명과 인권을 지키는 모임, 아시아 연합 비정부기구인 비자발적 실종 반대 아시아연합 등 여러 단체는 최근 북송 사업 62주년을 맞아 이 사업의 실체를 고발하는 메모리얼 토크 콘서트를 공동으로 열었습니다.

단체들은 이 행사에서 북송 사업은 사실상 강제이주와 노예화, 현대적 개념의 인신매매에 해당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소희 / 북한인권시민연합 선임간사

“북한의 잡지라든지 신문, 환등기 같은 것을 가지고 다니면서 재일동포들에게 굉장히 화려한 거짓 정보를 주입하고 북한이 지상낙원이라는 단어로 그들을 굉장히 현혹했습니다.”

단체들은 북송사업이 시작된 지 62주년이 됐지만 여전히 귀국사업으로 포장되어 역사 속에서만 존재하는 사건이 됐다며 이 사업이 반드시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VOA뉴스 박동정입니다.